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애비28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8-14
    방문 : 285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istory_17236
    작성자 : 애비28호
    추천 : 18
    조회수 : 1317
    IP : 39.7.***.109
    댓글 : 6개
    등록시간 : 2014/07/21 20:22:36
    http://todayhumor.com/?history_17236 모바일
    꼬장왕(王) 태조 이성계(2부)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1부에 이어 재미 없는 2부가 이어집니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humorbest_917587" target="_blank">1부 다시 보기 ☞ 꼬장왕(王) 태조 이성계(1부)</a></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 </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2부 시작함.</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 </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태조 할배가 한양의 도성 신축공사에 사활을 걸고 있을때임.</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당시 도성 감역관(都城監役官)인 전 사재감(司宰監)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박이(朴理)</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가 군인(軍人)을 시켜서 도성 축조에 필요한 큰 돌을 운반하던 중임.</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돌을 옮기다 골목의 담벼락 때문에 길이 좁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나는야 태조 임금의 명령을 받은 도성 축조 감독관임^^. 얘들아~ 걸리는 거 다 때려 부시고 돌 옮기자!"</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할 수 없이 담장 한켠을 좀 허물고 나서야 돌을 운반 할 수 있었음. </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그런데 그 허문 담장의 집 주인이 마침 고려 말 고위직 관리를 지낸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사위(李士渭)</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란 사람임.</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퇴임한 관리가 뛰어나와 "왜 너네들 멋데로 담장을 허무느냐?"고 화를 내며 박이에게 상큼하게 약 2,400rpm으로 꿀밤 세례를 줌.</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열받은 박이가 상급자인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성문 제조(城門提調)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최유경(崔有慶)</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에게 이 사실을 일러 바침.</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게 태조 할배의 귀에까지 들어감.</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할배 하시는 말씀이,</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오!!!^^ 너네 집 담장 무너트린거 내가 다 고쳐줄께. 그러나 임금의 명령을 받은 군사를 패다니... 그건 좀 아니라고 본다^^*</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 개념을 성벽 밑에 주출돌로 깔고 사는 놈을 봤나!!!"​</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하며 이사위의 집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가노(家奴,개인 노비)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20</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명을 무급으로 차출하여 도성 축조 공사가 끝날때까지 부려 먹었음.</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그런데 이 이사위네 집의 노비들이 무급으로 꾸역꾸역 일했던 곳이 바로 지금의 남대문(南大門)임.</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태조 7년(1398년) 3월. 뭐 이제 임금 노릇도 슬슬 지겨워진 태조 할배.</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날씨도 화창하니 온천에나 한번 다녀 와야지. 하고는 온천으로 출발함.</span><br><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그런데 사간원 쪽의 관리들이 너무 많이 따라 오는게 맘에 걸림. 이 쉥키들도 온천에 때 불리러 가는건가...???</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저 자식들 온천에 도착 할 때까지 이거해라. 저거하지마라. 또 온천에 오래 있으면 잔소리 또 할꺼 아냐...?"</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임금이 괜히 심술이 나신듯.</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사간원 관리들 그냥 돌아가라고 하기는 좀 뭣해서인지,</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야! 니네들 수행하는 비서며 몸종이 왜 그렇게 많냐? 그러다가 보리 익고 있는데 다 밟고 지나가겠다. 다 돌려 보내!"</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원래 벼슬을 하던 관리들에게 몸종이 없으면 시체나 다름 없음.</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 관리들 온천까지 가면서 먹고 자고 하려면 관리들 이불 보따리나 갈아 입을 팬티 같은거 담을 가방이며...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거를 몸종들이 들고 다녀야 하고 타고 가던 말 사료도 줘야 하고... 이걸 관리들이 할 수 는 없는 노릇 아님?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코너에 몰린 사간원 관리들이 도승지를 째려봄. 그러자 도승지(都承旨)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문화(李文和)</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가 태조 임금에게,</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대간(臺諫)은 번다(煩多)하다고 하여 돌려보낼 수는 없습니다.”라고 하자</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임금이 살짝 삐지면서,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비록 너네가 나를 따라 온다해도 너네들 온천에 몸 담글 생각은 말어라!"</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러쿵 저러쿵 임금과 관리들이 티격태격 말싸움을 하다가 관리들의 일부 몸종들이 다시 한양으로 돌아가게 하는 걸로 결정이 남.</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그래도 만족하지 못한 태조 임금이 싹 다 돌아가라고 그러심.</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그러자 몇몇 관리들이 임금에게 자기네들끼리는 그나마 최후의 일격이라는 것을 날림.</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몸종들이 없어도 우리는 따라감!!! 솥이며 이불 보따리는 우리가 이고지고 갈꺼임!!!"</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도승지(都承旨)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문화(李文和)</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가 다시 임금께,</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임금님 행차에 대간(臺諫)과 몸종들이 없을 수 없사오니 다 돌려보내는 것은 불가합니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임금이 행차 인원을 쭈욱 들러 보시다가 이문화를 처다보며,</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야! 너 부터 몸종 다 줄여야 겠다. 네가 몸종이 많으니까 밑에 애들이 다 따라하는거 아니냐!"</span></div></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온천에도 잘 다녀 오신 태조 할배. 그러나 그때 온천물에 목욕을 못한 신하들은 심술이 났음. 많이많이...</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뭐 하나 걸리면 바로 상소 올려야지 하고 벼르고 있는 와중에 태조 할배가 나이가 많이 들어 조회를 자주 빼먹게 됨.</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것을 놓칠리 없는 신하들...</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회에 빠질 때마다 매일매일 잔소리를 함.</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임금이 어쩔수 없이 조회에 억지로 나가시게 됨.(이거 1부에서 상소 올리자 태조 임금께서 삐져서 조회 나간 그 이야기임.)</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신하들이 조회 순서에 따라 국민의례, 애국가 제창 등 을 하고는 다음 순서로 임금에게 절을 하는 차례가 됨.</span></div> <div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막 절을 하려는데 태조 임금께서 "잠깐 스톱!!!. 나 3점 났어^^; 아 이게 아니고 아무튼 일단 스톱!!!"</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할배께서 "내가 조회날 참석하는건 절 받기 위한게 아님"</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예조의 조회 사회자를 보던 신하에게 명하여,</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각 부서별 자질구레한 사무는 니네들이 알아서 처리해라. 그런거까지 내가 알 필요도 없고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또 그런거 미주알 고주알 하면 가오 상하지 않느냐?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대신 나라를 다스리고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백성</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을 다스리는 데 말할 만한 일은 마땅히 각기 지금 이 자리에서 내 얼굴 처다보며 아뢰게 하라.”</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라고 말씀을 하심. 원래 이 때까지 조회는 그냥 형식적인 행사 절차였을 뿐이었나 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신하들이 갑작스런 임금의 지시에 전혀 준비가 안된 눈치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임금이 옆에 서 있던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정도전에게,</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내가 뭐 말한게 잘못됐냐? 왜 아무도 뭐라 말을 안하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정도전도 "아, 뭐, 그, 저, 어흠..."하고 말을 얼버무리자,</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할배가 짜증 폭발 하시며</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여러 신하들이 일찍이 내가 조회를 보지 않는다고 지랄들을 하더니, 오늘은 어찌 한 사람도 면전(面前)에서 아뢰는 이가 없는가?"</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할배가 좀 더 짜증이 유지되면 또 이거 뭔가 사건이 생길것은 뻔한 이야기임. 정도전이 재빠르게,</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속된 말로써 이를 비유한다면, 말 많은 놈들 멍석 깔아 주면 오히려 먼저 나서는 놈 없다는 이치와 같은겁니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하물며 임금 앞에서 정사를 아뢰는 것이 어찌 쉽겠습니까?”라고 궁색하지만 그나마 타이밍빨은 끝내주는 이야기를 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임금께서 듣고 보니 그것도 맞는 말이라</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그렇다.”하고 신하들의 말을 기다리심.</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에 대사헌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성석용(成石瑢),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형조 전서(刑曹典書)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유관(柳觀) 등 이 좀 뜬금 없는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꺼내 놓음.</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주제야 뭐 어떻든 태조 할배가 대충 신하들 하는거 보니 모양새도 어느정도 나는것 같고 해서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앞으로 조회는 항상 이런식으로 진행 하라고 신하들에게 명령하심.</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게 매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육</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아일</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六</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衙日</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마다 하던 조회, 혹은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참</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朝參</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의 시작임.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세종 대마왕 때 이 조회의 전반적인 형식이 법제화되긴 하지만...</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div></div></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이런저런 많은 사건이 있은 후 태조 할배도 임금 자리를 정종에게 물려 준 어느날.</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할배는 태상왕(太上王)이라는 존호</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尊號</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도 받으셨는데 태조 할배가 가만 보니 자기만의 궁궐이 따로 없음</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때는 1차 왕자의 난 이후 개경으로 다시 환도를 한 후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짜증이 슬금슬금 나신 태조 할배가 이곳저곳 절간이며 고려때 친하게 지내던 관료들 집으로 떠돌이 생활을 하시게 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정종 임금과 태종이 할배가 자꾸 밖으로 나돌자 아예 개경에도 아버지 태상왕이 살수 있도록 번듯한 궁궐을 따로 지어드리게 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궁궐 뿐만 아니라 태상왕의 경호 및 의전 담당 전용 부서도 확대 개편 하여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승녕부(承寧府)</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라는 부서를 신설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승녕부에는 태조 임금과 예전부터 친하게 지내던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우인렬(禹仁烈)을</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판사(判事)를 삼고,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손흥종(孫興宗)</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정용수(鄭龍壽)</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로 윤(尹)을 삼고, 소윤(少尹)·판관(判官)·승(丞)·주부(注簿) 각각 2원(員)을 배치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그러나 태상왕이 너무 늦게 자기 궁궐을 지어준 것 때문에 꼬장이 풀리지 않으셨나 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내가 왕위를 물러난지 3년이 다 되가는데 인제 이런거 해주냐? 다 필요 없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우인렬이</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상전(太上殿)</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에 나아가 인사도 드리고 앞으로 잘 모시겠다고 어르고 달래다 보니 태상왕의 노여움이 조금 풀렸다고 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그런데 잠시후 다시 태조 할배의 꼬장이 폭발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지금 이미 내 부(府)를 세웠으니, 왜 인장(印章)을 만들지 않는가? 내가 일찍이 보니,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공민왕(恭愍王)</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 그 어머니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홍씨(洪氏)</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를 태후(太后)로 봉하고, 인장을 만들어서 양(兩) 시중(侍中)으로 하여금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복을 갖추고 바쳤었다. 옛 예(禮)인데, 어찌 폐지할 수 있겠는가?”결제 도장 안 만들어 줬다고 노발대발 하심.</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정종 임금이 화달짝 놀라 다급하게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의정부(議政府)에 명하여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상전(太上殿)</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에 옥책(玉冊)과 금보(金寶)를 갖추어 바쳤다고 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때 지어진 태조 할배 전용 궁궐의 이름이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덕수궁(德壽宮)</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라 하였는데 지금 서울에 있는 덕수궁이 아님.</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 덕수궁은 개경에 있었던 덕수궁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태조 할배의 궁궐도 완성 되고 하니 많은 신하들이 알아서들 집들이 인사하러 가고 그럼.</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할배가 한달동안 인사 하러 오는 관리들 이름 적은거 쭉~ 읽어 보다가 예전에 자기가 키워줬던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온(趙溫)</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 아직 집들이 하러 오지 않은 것이 사냥왕 태조 할배에게 포착이 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마침 태종 이방원이 임금에게 문안 인사를 하러 왔는데 태종을 앞에 세워 놓고 폭풍 가임을 시전 하심.</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너희들이 나를 아비라고 하여 존호를 가(加)하고자 하니 참으로 가상하다. 그러나, 내가 할 말이 있으니, 너희는 들어라!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온(趙溫)</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은 본래 내 휘하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사람이다.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내가 일찍이 발탁하여 지위가 재보(宰輔,재상)에 이르렀는데,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내가 손위(遜位,임금 자리를 물려줌)한 이래로 한번도 와서 보지 않으니, 사람이 은혜를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배반하는 것이 이보다 더 심할 수 있겠는가!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신하로서 두 마음이 있는 자는 예전부터 죄가 용서할 수 없는 것이다. 에헴!”</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종 임금이 덕수궁을 나서시며 "아놔 조온 이양반은 좀 알아서 인사 하러 좀 오고 그러지... ㅠ"</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얼릉 아버지 태조 할배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형님인 정종에게 이 이야기를 알리러 가는 찰나.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다시 태조 할배가 이방원을 불러세움,</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아들아~~ 잠깐 스톱!!!" "왜요? 아버지? 또 벌써 3점 나셧어요?"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아니 그게 아니라 이거 인사 하러 오지 않은 놈들 명단 보니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무(李茂)랑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영무(趙英茂)도 있구나~~~^^*"</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영무랑 이무는 말야 얘네들 콧물 질질 흘리며 다닐때 부터 내가​ 거두어서 옷도 주고 밥도 주고 키우워준 애들인데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거 너무들 하는거 아니냐?^^"</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당시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무(李茂)는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동북면 도순문사 영흥 윤(東北面都巡問使 永興 尹)이었고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영무(趙英茂)는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서북면 도순문사 평양 윤(西北面都巡問使 平壤尹)</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이었음.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 양반들이 너무 먼 곳에 있어서 함부러 인사하러 못오는 처지였지만 어쩔수 없음.</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종이 추가된 괘심죄에 걸린 관리들 명단을 가지고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형님인 정종 임금에게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알리게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뭐 당연히 그날로</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온 대감.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완산부(完山府)로 일단 귀양 가셔서 목숨을 보전 하시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무(李茂) 대감, 일단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강릉부(江陵府)로 가셔서 좀 쉬다 오세요"</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조영무(趙英茂) 대감,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곡산부(谷山府)</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에 가면 새로 개업한 주점 있답니다. 가셔서 물관리 좀 하다 오세요"</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러고 전부 귀양 가게 됨.​</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 </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종 임금이 왕위에 오른 어느날.</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할배가 별장을 하나 지으실라고 마음을 먹으심.</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별장 지을 인부들이야 뭐 못 구하면 스님들 콜 하면 언제라도 달려와주니 걱정이 없지만 기둥을 세울 나무 같은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질 좋은 재료는 쉽게 구하지 못함.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조 할배가 질 좋은 나무를 어디서 구할까 고민 중이신데 그때 태종 임금이 우리도 이제 공자도 모시고 맹자도 모시고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뭐 그런 삐까번쩍한 사당 같은거 좀 지어볼까~ 하시며 질 좋은 나무며 재료들을 궁궐 옆 공터에 쌓아 놓으셔나 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이걸 확인한 태조 할배가 자기 별장 짓는데 이 나무들을 싹 다 갖다 써버림,</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누구하나 말리는 사람(말릴수 있는 사람), 혹은 말리고 싶은 사람(죽고 싶은 사람) 하나 없기 때문에 그 나무들이며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질 좋은 재료들은 태조 임금이 홀라당 다 가지고 가버림.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태종 임금도 다른 신하들 처럼 아버지 꼬장 보기도 싫고해서 한마디도 하지 않으심(못하심?)</span></div></div></div></div></div></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7/21 20:36:15  222.116.***.166  의람  373588
    [2] 2014/07/21 20:49:04  112.121.***.199  Nabu  12717
    [3] 2014/07/21 21:15:27  121.149.***.164  영웅볼색  178945
    [4] 2014/07/21 21:34:09  14.63.***.11  pandadog  554008
    [5] 2014/07/21 21:42:09  14.46.***.232  리볼버오셀롯  109457
    [6] 2014/07/21 21:46:44  115.86.***.111  전기수  122731
    [7] 2014/07/21 22:04:26  117.111.***.130  GwangGaeTo  124470
    [8] 2014/07/21 22:12:14  1.253.***.237  쥬엔류  119505
    [9] 2014/07/21 23:54:19  203.226.***.194  조냐  116641
    [10] 2014/07/21 23:55:32  211.178.***.105  GalaxyExpres  44564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꼬장왕(王) 태조 이성계(2부) [3] 애비28호 14/07/21 20:22 52 18
    121
    별장(別將) 권응수(權應銖) [3] 애비28호 14/07/20 09:24 56 12
    120
    꼬장왕(王) 태조 이성계 [9] 애비28호 14/07/17 22:06 57 16
    119
    평해 황씨(平海黃氏) [1] 애비28호 14/07/16 22:41 40 8
    118
    창원 황씨(昌原黃氏) [5] 애비28호 14/07/15 20:45 46 12
    117
    광주(廣州) 안씨(安氏) [2] 애비28호 14/07/14 22:05 57 6
    116
    세종 대왕이 임질(淋疾)에 걸려 죽었다구? [3] 애비28호 14/07/12 22:07 48 16
    115
    조선시대 최악의 악덕 기업주 이도(李祹) 대마왕(월간 행사편) [4] 애비28호 14/07/12 21:34 56 11
    114
    역사의 객관성에 대한 짧은 생각 - 김덕생(金德生) [2] 애비28호 14/07/09 21:20 32 11
    113
    "세월호, 관할 떠넘기다 ‘골든타임’ 21분 날렸다"의 기사를 보고 [2] 애비28호 14/07/08 22:47 31 11
    112
    나는 황희(黃喜) 정승이다(진짜 마지막. 넋두리 있음) [4] 애비28호 14/07/07 21:14 50 15
    111
    나는 황희(黃喜) 정승이다(7부.정승의 역습2) [4] 애비28호 14/07/06 22:25 48 13
    110
    조선왕조실록 - 시호(諡號) 이야기 [6] 애비28호 14/07/05 17:21 39 12
    109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사후(死後) 평가(주의:재미 드럽게 없음) [5] 애비28호 14/07/04 21:46 66 11
    108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의 사후(死後) 평가(주의:재미 없음) [9] 애비28호 14/06/30 22:18 49 14
    107
    조선왕조실록 - 나는 황희(黃喜) 정승이다(6부, 정승의 역습) [14] 애비28호 14/06/30 21:58 35 19
    106
    조선왕조실록 - 하위지(河緯地)의 과거시험 답안지 사건 [9] 애비28호 14/06/25 22:50 56 16
    105
    조선왕조실록 - 나는 황희(黃喜) 정승이다(5부 마지막) [10] 애비28호 14/06/19 23:06 33 13
    104
    조선왕조실록 - 나는 황희(黃喜) 정승이다(4부) [11] 애비28호 14/06/18 22:08 20 16
    103
    조선왕조실록-한양 대화재사건(세종) [6] 애비28호 14/06/17 22:51 45 24
    102
    나는 황희(黃喜) 정승이다(3부.번외) 황중생 사건 [8] 애비28호 14/06/15 21:15 43 34
    101
    조선왕조실록 - 나는 황희(黃喜) 정승이다(3부) [10] 애비28호 14/06/15 13:20 39 45
    100
    조선시대 간단하게 읽는 범죄자 처벌법 [12] 애비28호 14/06/15 10:34 54 37
    99
    조선왕조실록 - 나는 황희(黃喜) 정승이다 (2부) [2] 애비28호 14/06/15 00:15 29 45
    98
    조선왕조실록 - 나는 황희(黃喜) 정승이다 (1부) [9] 애비28호 14/06/14 21:21 37 57
    97
    조선왕조실록 - 나는 지신사 안숭선이다(1부) [5] 애비28호 14/06/13 07:11 53 22
    96
    조선시대 세종 대마왕 시절 고을수령 [19] 애비28호 14/06/13 00:13 68 31
    95
    (재업)조선시대 최악의 악덕 기업주 이도(李祹) 대마왕(두번째) [14] 애비28호 14/06/10 21:00 39 102
    94
    조선시대 최악의 악덕 기업주 이도(李祹) 대마왕(두번째) [1] 애비28호 14/06/08 23:46 42 22
    93
    조선시대 최악의 악덕 기업주 이도(李祹) 대마왕 [40] 애비28호 14/06/08 09:40 111 62
    [1] [2] [3] [4] [5] [6]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