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모카초코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8-14
    방문 : 216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military_61165
    작성자 : 모카초코
    추천 : 14
    조회수 : 7023
    IP : 115.89.***.146
    댓글 : 25개
    등록시간 : 2016/02/08 14:54:08
    http://todayhumor.com/?military_61165 모바일
    탈덕한 밀덕이 쓰는 외인부대/용병부대 이야기
    옵션
    • 창작글
    • 외부펌금지
    <div>안녕하세요. 실로 오래간만에 다시 글 올립니다..-_-;;</div> <div> </div> <div><strike>기억하시는 분 계실려나</strike>?</div> <div> </div> <div>사실 그동안 야간근무를 뛰다보니 근무 후 시간이 많이 남아돌아 탈덕 시리즈를 올렸는데요.</div> <div> </div> <div>다른 직장으로 이직하면서 업무에 쫓겨 글쓰기를 중단했었습니다만......오늘 당직인 관계로 다시 돌아왔습니다.</div> <div> </div> <div>아마 이 글의 제목을 보고 클릭하신 분들은 99% 프랑스 외인부대를 생각하고 들어오셨겠죠.</div> <div> </div> <div>하지만 의외로 프랑스뿐 아니라 비공식적으로 외인부대를 운용하고 있는 나라들은 좀 있습니다.</div> <div> </div> <div>문제는 자료 찾기가 쉽지 않다는거지요..-_-;;</div> <div> </div> <div>그래서 이 글에서는 일단 비교적 많이 알려진 3가지의 외인/용병 부대를 다루겠습니다.</div> <div> </div> <div><span lang="la">기준은 제 마음대로 정했습니다. "자국의 국적을 가진 국민이 아닌자가 자국의 군대에 복무하는 부대"</span></div> <div><span lang="la"></span> </div> <div><span lang="la"></span> </div> <div> </div> <div><span lang="fr"><font size="2"></font></span> </div><span lang="fr"> </span><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프랑스 외인부대12345.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3051w9XGgEnLrm8d5IJIlxEJIbgGTrWOzsD5.jpg" width="196" height="200"></div> <div style="text-align:center;"><1. 프랑스 외인부대 "<span lang="fr"><font size="2">Légion Étrangère"></font></span></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lang="fr"><font size="2"></font></span> </div>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lang="fr"><font size="2"></font></span>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width:320px;height:194px;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구르카 상징.gif"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3082YQZd9rJnM6vdSzjjYgzT6qXNDF4A.gif"></div> <div style="text-align:center;"><2. 영국의 "Gurkhas"></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width:320px;height:320px;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class="chimg_photo" alt="근위.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6158Kq5WyaQQq7.jpg"></div> <div align="center"><3. 바티칸 시국의 "<span lang="la">Pontificia Cohors Helvetica"></span></div> <div><span lang="la"></span><span lang="la"></span> </div> <div> </div> <div> </div> <div>가장 첫번째로 나오는 부대는 역시 외인부대의 대명사 프랑스군 소속의 외인부대입니다.</div> <div> </div> <div>케피 블랑이라는 하얀색 모자로 유명한 이들은 군대에 관심이 없는 일반인조차도 그 존재를 알고 있죠</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케피.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895119wrNlJiooDk7OjRkywxqUqGSrZISpmOV.jpg" width="579" height="345"></div> <div style="text-align:center;"><사진속의 하얀 모자가 케피블랑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전 세계 여러나라에서 알게 모르게 외인부대를 운용하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활동하는 외인부대들 중에서 가장 외인부대답다고 평가해도 좋은것이</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이 레종 에트랑제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바로 외국인의 비율 때문이죠. 두번째로 다룰 스페인 외인부대의 경우 시작만 외인부대고 나중에 외국인의 입대를 금지시켰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반면 프랑스 외인부대의 경우 장교를 제외하고는 외국인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고 특정 국적을 가진 사람만 받아들이는 옆나라하고는 달리 모든</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외국인 지원병은 다 받아들이기 때문이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하지만 자국민는 입대가 거부되었던 초기와 달리 요즘은 입대의 문이 열려 점점 스페인의 전례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프랑스 외인부대는 최초 프랑스의 해외 식민지들을 관리하기 위해 창설 되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때는 1831년 식민지 알제리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시민왕이 창설한 용병부대가 그 시초가 되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width:320px;height:461px;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루이 필립.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896847xOVIIPOFZC5GcfqCak.jpg"></div> <div style="text-align:center;"><루이 필립 1세></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이후 보불전쟁, 1,2차 세계대전은 물론 인도차이나 전쟁을 거쳐 걸프전, 아프칸전 등을 비롯 구 식민지였던 르완다 같은 혼란스러운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평화유지군 투입, 가장 최근의 북부 말리에서의 작전 등 아직까지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부대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사실 프랑스 외인부대는 특수부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세간에 그렇게 인식되어 있는 이유는 200여년을 존속하며 3만회가 넘는 전투를 치른 이런 실전경험을 높게 쳐주기 때문이기도 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하지만 그걸로 이런 정예부대의 이미지가 형성되지는 않죠. 왜 외인부대하면 프랑스일까? 프랑스의 외인부대는 왜 정예라는 생각이 먼저들까?</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단순히 외인부대의 로망일까? 과거를 묻지 않아 범죄자 같은 거친 사내들이 입대해서?<strike>(여기에 대한 오해는 나중에...)</strike></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그런건 아니죠. 역사적인 근거가 있습니다. 프랑스 외인부대의 가장 영광스런 전투로 간주되어 기념일까지 지정되어 있는 카메론 전투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br><strong><em>‘여기에 60여명도 채 안돼는 사나이들이 적의 군대 전부에게 대항하여 버티고 서 있었다. 그들의 힘은 적들을 압도하였다. 용기를 버리기보다는 차라리 목숨을 버렸던, 이들은 프랑스 병사들이었다’</em></strong></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width:320px;height:328px;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프랑스 외인부대1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898490141LCkXGWGDCitoFUjyrSzQca7bc6y.jpg"></div> <div style="text-align:center;"><프랑스 외인부대원></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1830년대 멕시코에 주둔하고 있는 프랑스군의 사령관은 푸에블라 시를 공격하려는 멕시코 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도시에 보관하고 있는 물자들을</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빼내기로 결정합니다. 그리고 쟝 당쥬 대위와 64명의 외인부대원들에게 그 수송의 호위를 맡기죠. 원래 다른 부대가 맡기로 되어 있는 임무였으나</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황달병의 창궐로 당쥬 대위가 이 임무를 맡게 되었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런데 수송 도중 800여명의 멕시코 기병대와 마주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64 VS 800...도망가도 충분히 이해가 갈만한 절대적인 병력의 열세 속에서 그것도 전투의 와중에 보급품을 실은 마차도 모두 도망가 버린 상황에서 외인부대원들은 전투를 결정하고 인근 농장으로 들어갑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하지만 멕시콘 2000여명이 곧 증원되고 프랑스 외인부대원 들은 40배가 넘는 병력의 열세 속에서 전투를 시작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사막의 기후속에서 자신의 소변과 피로 갈증을 달래는 혹독한 전장상황에서 당쥬 대위는 멕시코군의 총격에 목숨을 잃었고 전투개시 7시간만에 남은 외인부대원은 12명..가지고 있는 탄약도 모두 떨어진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소수의 병력으로 압도적인 열세를 극복하는 외인부대원들의 자세에 멕시코군 지휘관은 항복을 권했지만..</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외인부대원들은 착검돌격으로 대답을 대신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결국 죽음을 각오한 용기에 탄복한 멕시코군 지휘관은 사격중지를 명하고 마지막에 살아남은 3명의 외인부대원들을 처형하지 않고 보내줍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 전투에서 멕시코군은 500여명의 전사자가 발생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다음날 프랑스 본군이 카메론에 도착했고 이 전투에 대해 보고받은 나폴레옹 3세는 깊은 탄복과 함께 외인부대의 군기에 카메론 1863을 새기는것을 명했다고 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 후 이 농가에는 기념비가 세워졌고 그 기념비에 새겨진 문구가 바로 초반에 나왔던 저 글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어쩃든 카메룬 전투이후 외인부대는 매년 4월 30인을 카메룬 데이로 정하고 기념식을 거행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width:480px;height:270px;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class="chimg_photo" alt="프랑스 외인부대1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899933ckBToABtd56saA9aly9tP9LqK.jpg"></div> <div style="text-align:center;"><카메룬데이></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 전투에서 전사한 지휘관 당쥬 대위는 과거의 전투에서 한손을 잃어 의수를 착용하고 있었는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 의수는 프랑스 외인부대의 정신적 대표이자 투혼의 상징로 카메룬 데이에서 부대원들의 사열을 받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의수.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02954QPxp3RwBQUwJbfZb.jpg" width="524" height="339"></div> <div style="text-align:center;"><의수></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하지만 이런 혁혁한 전과와 자랑스런 전통에도 불구하고 외인부대는 많은 의미없는 전투를 치르기도 하였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어떻게 보면 자국민으로 이루어진 정규군이 아닌 외국인으로 이루어진 부대라는 한계이기도 한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자국의 식민지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투입되어 명분없는 전투를 치른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식민지 국민들의 독립열망을 저지하는 돈에 팔린 제국주의 용병군이라는 오명도 같이 갖고 있지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아 그리고 소설이나 영화에서 프랑스 외인부대원들은 범죄자가 많아 자국에서 도망쳐온 거친 사내들이 자주 입대하는걸로 묘사되어 있는데</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요즘은 안 그렇습니다. 이라크전, 아프칸전 등에 참전한 실전경험있고 훈련받은 군인들의 수요가 많아 요즘 프랑스 외인부대는 옛날처럼 과거를 묻지 않는 그런 이미지가 아니라더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다음으로는 영국의 왕립 구르카 연대입니다만..그 전에 사진 하나만 투척하고 가겠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width:320px;height:450px;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스페인.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1142Z3uHp65WR.jpg"></div> <div style="text-align:center;"><스페인 외인부대원></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프랑스 외인부대를 다루면서 잠깐 등장했던 스페인 외인부대'Tercio de Extranjeros'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최초 1920년 창설 당시는 외인부대였으나 1987년 외국인의 입대를 금지시키면서 이름만 외인부대가 되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나토 소속으로 각종 평화유지임무에 동원된다고 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래도 시초가 외인부대라 잠깐 언급해봤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제 구르카인가요? 인지도로 따지면 프랑스 외인부대보다 더 많이 알려졌을 쿠르카..</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사실 구르카는 다 아시겠지만 네팔의 용병을 뜻합니다.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 타고난 용맹성으로 영국은 물론 파키스탄, 인도...심지어 싱가폴까지 각국에서 용병생활을 하고 있지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하지만 그 중에서 영국의 쿠르카가 가장 경쟁률이 높고 그만큼 엘리트들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실제로 영국의 모병에서 떨어진 쿠르카들이 인도쪽으로 빠진다는 이야기를 들은것 같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구르카.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2163YjwE2WLG5CWCY3KMmysS2x3bIOrD7wC.jpg" width="520" height="334"></div> <div style="text-align:center;"><엘리자베스 여왕에게 예를 표하는 구르카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구르카들의 칼인 쿠크리는 워낙에 유명하니 일단 패스하겠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영국군이 구르카들을 만난것은 다들 아시다시피 1814~1816년 네팔과의 전쟁에서였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최신무기로 무장한 영국군이 쿠크리를 든 구르카들에게 당하기 시작하면서 이들의 용맹성에 반한 영국은</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동인도 회사의 용병으로 이들을 채용하기 시작했죠. 일종의 독점 용병 계약을 맺은겁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후 영국이 참전한 모든 전투에서 최고의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2차대전 당시 임팔 전투에서 디마푸르 중사가 24명의 일본군 목을 땃다는 이야기, 지평리 전투에서 1개 대대가 1개 사단을 격퇴한 이야기, 구르카가 온다!는 영국군의 심리전에 속아 아르헨티나 포트스탠리 수비군 전체가 항복했다는 이야기 등 이들의 무용담은 끝이 없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아~ 비록 영국군은 아니지만 최근에도 그런게 하나 있었지요. 혼자서 40명의 열차강도를 박살낸 구르카의 이야기..</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끝이 아닙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2014년 9월 아프칸에서 왕립 구르카 소총연대 소속의 폰 상병이 경계 근무중 탈레반 30여명을 쓸어버린 사건도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무려 400여발의 소총탄과 17발의 수류탄을 던지며 탈레반을 상대로 결사항전을 벌인 폰 상병은 마지막에는 쿠크리를 뽑아들고 근접전을 벌였다고 하니</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 명성이 과장된것이 결코 아니라는것을 증명하였습니다. 후에 세어본 탈레반의 시체는 30여구에 달한다고 하는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어쨋든 그 공로로 폰 상병은 빅토리아 훈장을 수여받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width:320px;height:309px;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구르카 전설.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33307t9bNWmqLZIc5QrPv1WOOr.jpg"></div> <div style="text-align:center;"><폰 상병></div> <div style="text-align:left;" align="center">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래서 그런걸까요. 영국의 구르카 용병에 대한 대우는 네팔 현지의 물가를 고려했을떄 매우 좋습니다. 제대후 연금은 물론 월급 자체도 네팔 평균 임금의 약 50배에 달하는 금액을 지급하고 있지요. 최근에는 제대 구르카들의 영국정착에 대한 법을 통과시킴으로 그 인기가 하늘을 찌른다고 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 경쟁률이 수백대일이고 현지에서는 입대학원까지 성황리에 운영중이라고 하는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제대해도 세계 각국의 보안업체에 취직이 잘 되는 편이라고 합니다. 영국군에서 복무한 탓에 영어에 능통하고 실전으로 단련되었으며 고도의 훈련을 받은 숙련된 인원인데다가 인건비 역시 비교적 싼 편이라 구르카들에 대한 수요는 항상 있다고 하는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하지만 24Kg짜리 군장을 메고 800m의 히말라야 산악을 2분 45초만에 통과해야 하는등 그 선발기준은 장난이 아닙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구르카들의 이야기는 이만하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다음은 바티칸 시국의 스위스 근위대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어찌보면 용병이나 외인부대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부대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스위스.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7508B7WLoG4fwX2eGBy9mdPv.jpg" width="400" height="271"></div> <div style="text-align:center;"><충성서약식></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하지만 그 시초는 용병이 맞습니다. 당시 스위스 용병은 꽤 유명했기 때문이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마치 중세의 네팔이랄까요? ㅎㅎ 땅이 척박했던 스위스는 중세 말기부터 용병으로 유명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스위스는 각 주별로 군역을 부과한 특성탓에 잘 훈련되어 있었고 그 특유의 밀집대형과 용맹성, 훈련도, 포로를 잡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큰 명성을 떨쳤습니다. 그런 탓에 많은 나라들이 스위스인을 용병으로 고용했고 그 과정 중에 용병 = 스위스인 이라는 인식을 만들어내기도 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strike>(그래봐야 뭐 란츠크...밀려...)</strike></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어쩃든 교황청에 스위스 용병대가 들어오게 된 것은 1503년의 일입니다. 당시 교황인 율리오 2세는 200여명의 스위스 용병을 파견해 줄것을 스위스 연방에 요청했고 이에 응해 무려 700Km의 거리를 행군해 150여명의 스위스 용병이 교황청에 입성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리고 1527년 5월 스위스 용병대의 충성심과 위용을 만천하에 알리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부르고뉴의 왕 샤를 5세가 로마를 침탈한 것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여기에 대항해 189명의 스위스 용병들은 죽기를 각오하고 항전하였으며 교황을 호위한 인원을 뺀 나머지 147명은 800여명 이상의 적군과 함께 죽음으로 그 위치를 지켰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아 참고로 1792년 프랑스 혁명 당시 프랑스 왕궁을 지키던 스위스 위병 역시 죽음으로 그 위치를 지켰다고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때문에 이후 500여년간 스위스 신병들은 매년 5월 6일에 충성서약식을 거행하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1527년 이후 스위스 용병대...아니 이제 근위대라고 불러야겠죠..ㅋ</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하여튼 근위대는 당시와 같은 전투를 두 번 다시 치르지 않았습니다. 역사적 위기마다 교황의 명령으로 무장을 해제했기 때문이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나폴레옹이 쳐들어 왔을 때도 히틀러가 등장했을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하지만 근위대의 용맹과 충성심은 이미 증명되었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스위스 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901095Tfcz1naUVyxceTUI.jpg" width="250" height="413"></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div> <div style="text-align:left;">현대 바티칸 시국의 근위대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조건이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1. 전과가 없는 스위스 국적자일것</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2. 카톨릭 신자일것</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3. 독일어 사용 가능자로 미혼일것</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4. 나이 19~30세일것과 키 174cm이상일것</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5. 스위스 군에서 기초군사교육을 받은 군인일것</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 조건을 충족하면 지원이 가능합니다. 사실 이 정도는 스위스인이라면 대게 쉽게 충족이 가능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스위스인이니 당연히 1번은 패스(범죄자만 아니면..) 카톨릭 신자도 문제 될것은 없죠. 독일어 역시 스위스에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방이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나이나 키가 약간 걸리나요? ㅋ 기초군사교육 역시 스위스는 징병제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런 조건 때문에 간혹 유색인종이 근위대원으로 합격되어 근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어렸을적에 스위스에 입양되어 스위스 국적을 가지는거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eksl.gif"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09555KJmBsDiXPSrAtuJKCq7e2ZRfI4C.gif" width="350" height="276"></div> <div style="text-align:center;"><최초의 유색 근위대원으로 인도계 스위스인 "다니 바흐만"></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스위스는 외국군에 자국민이 입대하는것을 법으로 엄격히 금지하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근위대는 예외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또한 스위스 참모총장이 신병선서식에 참가한다고 하니 스위스와 바티칸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겠죠.</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어찌되었던 이들은 교황의 개인경호원의 역할도 겸하므로 고도의 훈련을 받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소수의 인원으로 편제되어 있는 이들은 편제상 장군계급은 없으며 근위대장인 대령의 휘하에서 복무하는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계약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2년에서 최대 25년정도라고 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재밌는것은 이들의 연봉은 한국을 기준으로 해도 그다지 높은 편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바티칸 근위대의 일원이었다는 자긍심과 명예,</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세계에서 가장 보안이 강한 장소에서의 근무경험 때문에 각국의 보안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스카웃해 간다고 하는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center;"><img style="border-bottom:medium none;border-left:medium none;border-top:medium none;border-right:medium none;" alt="스위스 현대.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02/1454910715c7h5LgHd63qnuALjNonwCKZj.jpg" width="400" height="266"></div> <div style="text-align:center;"><근위대라 하여 의장부대는 결코 아니다.></div></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div> <div style="text-align:left;"><끝></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자세한 보충은 언제나 환영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틀린 부분은 댓글로 말해주세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후 또 생각나면 글 올리겠습니다!></div></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div></div></div></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02/08 15:02:40  112.146.***.41  의문의.L군  526387
    [2] 2016/02/08 15:14:29  112.145.***.89  와운  385314
    [3] 2016/02/08 15:17:18  61.100.***.233  청산적송  333490
    [4] 2016/02/08 15:43:39  121.154.***.94  운디드  325400
    [5] 2016/02/08 17:04:59  175.119.***.211  하얀면봉  529311
    [6] 2016/02/08 17:18:02  14.42.***.219  주먹구구  263456
    [7] 2016/02/08 19:03:10  108.162.***.95  산토리니7  486339
    [8] 2016/02/08 19:20:25  220.230.***.159  4주인의집사  569419
    [9] 2016/02/08 19:31:05  115.21.***.248  소현The럽  678280
    [10] 2016/02/08 19:49:15  112.148.***.110  슈퍼내츄럴  54023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
    블랙잭 [2] 창작글 모카초코 18/02/17 16:16 168 7
    76
    국군 전투복 변천사 [9] 창작글 모카초코 18/02/04 15:56 200 13
    75
    군대와 음악 [3] 창작글 모카초코 18/01/01 11:38 100 14
    74
    충성! 아..아닌가? 필승? 돌격? I CAN DO? [44] 창작글 모카초코 17/08/19 12:58 204 11
    73
    이보게 자네 그거 꽤 좋아보이는구만 [3] 창작글 모카초코 17/07/09 15:58 223 16
    72
    탈덕한 밀덕이 쓰는 마이너 군대 이야기 [6] 모카초코 17/01/07 11:17 149 10
    71
    탈덕한 밀덕이 쓰는 군대가 없는 나라들의 이야기 [1] 창작글 모카초코 17/01/01 13:06 163 14
    70
    탈덕한 밀덕이 쓰는 소련 잠수함의 침몰 이야기 [2] 창작글 모카초코 16/10/03 13:39 182 21
    69
    탈덕한 밀덕이 쓰는 경제전쟁 이야기 [4] 창작글 모카초코 16/09/23 22:13 97 12
    68
    탈덕한 밀덕이 쓰는 첩보전 이야기 [2] 창작글 모카초코 16/09/15 11:14 160 22
    67
    탈덕한 밀덕이 쓰는 나폴레옹 시대의 기병이야기3 [13] 창작글 모카초코 16/09/08 20:31 68 11
    66
    탈덕한 밀덕이 쓰는 나폴레옹 시대의 기병이야기2 [4] 창작글 모카초코 16/09/04 11:30 66 13
    65
    탈덕한 밀덕이 쓰는 나폴레옹 시대의 기병이야기2 에 들어가기 앞선 잡설 [8] 창작글 모카초코 16/08/15 14:57 43 10
    64
    탈덕한 밀덕이 쓰는 나폴레옹 시대 기병 이야기 [7] 창작글 모카초코 16/08/12 22:25 67 14
    63
    탈덕한 밀덕이 쓰는 나폴레옹 시대 병과 이야기 2 [10] 모카초코 16/08/09 21:40 69 15
    62
    탈덕한 밀덕이 쓰는 나폴레옹 시대 병과 이야기 [20] 모카초코 16/08/06 10:32 77 13
    61
    탈덕한 밀덕이 쓰는 나폴레옹 시대 사격교리 이야기 [2] 창작글 모카초코 16/07/23 09:42 81 14
    60
    6.25인데 로고가 없네요..ㅜㅜ [2] 모카초코 16/06/25 10:51 - -
    탈덕한 밀덕이 쓰는 외인부대/용병부대 이야기 [25] 창작글외부펌금지 모카초코 16/02/08 14:54 172 14
    57
    탈덕한 밀매가 쓰는 사람 탄 미사일 이야기 [29] 창작글 모카초코 15/11/21 13:41 96 16
    56
    탈덕한 밀덕이 쓰는 밀리계의 RC카 이야기 [33] 창작글 모카초코 15/11/14 23:20 65 20
    55
    탈덕한 밀덕이 쓰는 크고 아름다운 이야기 [43] 창작글 모카초코 15/11/09 21:01 90 18
    54
    탈덕한 밀덕이 쓰는 황당한 대전차 무기 & 전술 [7] 창작글 모카초코 15/11/06 20:45 86 14
    53
    탈덕한 밀덕이 쓰는 임팔작전의 일본 독립운동가 무다구치 렌야, 그의 전설 [37] 창작글 모카초코 15/11/02 23:37 64 14
    52
    탈덕한 밀덕이 쓰는 영국 SA-80의 전설 [4] 모카초코 15/10/27 01:37 105 28
    51
    탈덕한 밀덕이 쓰는 인도 아준 전차의 전설 [3] 창작글 모카초코 15/10/24 05:16 116 21
    50
    탈덕한 밀덕이 쓰는 일본 전차의 전설 [40] 창작글 모카초코 15/10/21 06:11 155 44
    49
    탈덕한 밀덕이 쓰는 인도 열병식 [19] 창작글 모카초코 15/10/15 04:23 148 18
    48
    왜~ 왜~ 나폴레옹 전쟁을 배경으로 한 외드가 없는가? [7] 모카초코 15/09/20 15:59 39 0
    [1] [2] [3]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