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개똥哲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8-18
    방문 : 123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cience_50776
    작성자 : 괴물두뇌
    추천 : 17
    조회수 : 1529
    IP : 121.130.***.13
    댓글 : 42개
    등록시간 : 2015/06/03 14:47:51
    http://todayhumor.com/?science_50776 모바일
    궤도 엘리베이터 실사용시 예상되는 각운동량 보존에 관한 문제점
    옵션
    • 창작글
    <div style="text-align:left;">우주 엘리베이터(궤도 엘리베이터)에 관한 글이 얼마 전 올라왔었는데요. 그 글에 댓글 좀 달았다가 댓글만으로는 제 생각이 잘 전달되지 않을 것</div> <div style="text-align:left;">같아서 글 하나 작성해봅니다. 심심하신 분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이 글의 작성 동기가 된 예전 게시글 (<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50698"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50698</a>)</div> <div style="text-align:left;">※ 제가 작년 이맘 때 작성했던 게시글  (<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science_33981" target="_blank">http://todayhumor.com/?science_33981</a>)</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60" height="720" alt="궤도 엘리베이터.gif"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303172jiHoy2r9yrV8LJe.gif"></div> <div style="text-align:left;">설계상 원하는 모습의 궤도 엘리베이터는 길이 10만km 급의 강체 막대를 지구에 꽂아놓은 것처럼 보이는 초대형 돌팔매(?)의 느낌이라 할까요?</div> <div style="text-align:left;">움짤처럼 회전하는 궤도 엘리베이터는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부분일수록 엄청 빠르게 회전하게 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런데 '저궤도'라고 표시한 분홍색 호가 그려지는 곳에서 선속도 v로 회전하는 물체를 '정지궤도' 및 '카운터웨이트 궤도'에 옮겨놓은 상황을</div> <div style="text-align:left;">상상하면 빨간색 호 및 황토색 호 정도밖에 따라가지 못합니다. (속도가 v로 같기 때문에 세 가지 색깔의 호의 길이는 매 순간마다 동일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러니 궤도 엘리베이터의 기둥에 해당하는 카본나노튜브 와이어는 지구에서 먼 거리일수록 올라가는 화물이 더 빨리 돌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해</div> <div style="text-align:left;">줘야만 하지요.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20" height="565" alt="궤도 엘리베이터 1.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303185CFdq832UawwBWvGbt.png"></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림에 내용을 대략 넣어놨습니다만 첨언하자면 분홍색 '저궤도'에서 빨간색 '정지궤도'로 엘리베이터를 올려보내는 사이에 빨간 화살표 방향으로</div> <div style="text-align:left;">관성이 작용하니까 엘리베이터 기둥(와이어)이 꺾어지는 효과가 생깁니다. (궤도가 지구에서 멀어질수록 빠르게 회전해야 곧은 모양이 유지되는데</div> <div style="text-align:left;">지상 기지에서는 화물의 승하강 에너지만 부여하므로 회전 방향으로 속도를 높힐 운동에너지는 알아서(?) 얻어내야 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에너지 보존법칙의 지배를 받는 이상 피해갈 수 없는 과정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10" height="569" alt="궤도 엘리베이터 2.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303190pdUQZfBUbFa5RfTDH3Bsk8L4jGULsKSQ.png"></div> <div style="text-align:left;">결국 화물이 끝까지 올라가면 엘리베이터 와이어는 다시금 기둥처럼 곧은 모양을 갖추긴 하겠지만 카운터웨이트가 뒤로 제껴지는 상황이</div> <div style="text-align:left;">발생할 것입니다. 그러면 지상 기지 쪽이 문제가 되겠지요. 완공 당시에는 엘리베이터 와이어가 기둥처럼 지면에 수직으로 서있었는데</div> <div style="text-align:left;">이제는 꺾여버렸으니까요… 이 상황은 부실공사도 아니고 문자 그대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내려오는 화물보다 올라가는 화물이 많다면</div> <div style="text-align:left;">이러한 현상은 당연히 발생하게됩니다. 만약 내려오는 화물이 더 많다면 상황은 반대로 되겠고요. 두 경우 모두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만 하는</div> <div style="text-align:left;">상황이지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궤도 엘리베이터의 주 목적이 "지상의 화물(월면 개발 및 화성탐사 등 지구로 되돌아올 일이 없는 짐들…)을 궤도상에 값싸게 올리자!" 이므로</div> <div style="text-align:left;">지속적인 질량 유출이 예상됩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의 후방 쏠림은 피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오지요. 나중에 군사위성 수준을 초월하여</div> <div style="text-align:left;">우주전함이라도 만든다고 자재를 올린다면 어찌될런지… 바다에 떠있는 대형 항공모함도 10만톤에 육박하는데, 그 이상 될것이 뻔한 물건을</div> <div style="text-align:left;">궤도에 올린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정지궤도 공전속도는 초속 3.1km정도이니, 지표면에서 초속 0.47km로 지구 자전에 묻어가던 재료들이 '화물을 올렸다는 이유'만으로 그 속력이</div> <div style="text-align:left;">6.6배로 빨라진 우주전함으로 완성되어 버리는데… 운동에너지는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고… 어쩌면 카운터웨이트가 뒤로 쳐지는 것이 생각보다</div> <div style="text-align:left;">금방일지도 모르겠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렇게 급속도로 궤도 엘리베이터가 망가지면 안될테니 엄청 묵직한 카운터웨이트를 설치하는 것이 좋겠군요. 한 10억톤 정도면 괜찮을까요?</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래봤자 10만톤의 1만 배일 뿐이군요. 이 정도가 큰 산 하나 무게라고 어디선가 봤습니다.) 그러면 카운터웨이트로 사용할 10억톤짜리 물체는</div> <div style="text-align:left;">어디서 가져와야할까요? 지상에서 로켓을 수없이 쏴올려서? 이럴거면 그냥 그 로켓으로 직접 우주개척을 하러 나가는게 낫겠지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러면 지구 밖에서 카운터웨이트를 가져와야된다는 소리인데, 소행성을 끌어와야겠네요. 이건 이것대로 문제로군요. 10억톤 이상 될 소행성을</div> <div style="text-align:left;">카운터웨이트 궤도에 진입시켜야만 하는데, 지구낙하가 예상되는 소행성의 궤도를 어떻게 바꿔서 인류 멸망을 피할까? 고민하는 것이 인류의 현</div> <div style="text-align:left;">기술 수준인만큼 그 경지를 아득히 초월하는 요구 조건을 이뤄낼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구에 충돌할 소행성을 빗껴나가게 경우'라면 아무 방향으로나 피해가게만 하면 되는 수준이지만, 카운터웨이트용</div> <div style="text-align:left;">소행성 포획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속력으로 소행성을 컨트롤해야 하니(지구 적도면과 카운터웨이트용 소행성의 공전궤도면이 일치해야만</div> <div style="text-align:left;">하는 초정밀제어가…) 몇 세대가 지나야 시도해 볼만한 기술력을 갖추게 될런지도 의문이고요. 만약에 소행성의 궤도 컨트롤을 잘못하기라도</div> <div style="text-align:left;">한다면 영화가 아닌 현실판 아마겟돈을 전세계 동시개봉(4D로 단 1회 상영?)으로 보게 될지도 모르겠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706" height="698" alt="궤도 엘리베이터 3.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3303194WoOwUVzwqaOlKEG4FHVCrnpse.png"></div> <div style="text-align:left;">게다가 엘리베이터 승강기 컨트롤 역시 신경쓸 곳이 많아보입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정지궤도는 지구 중력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는 곳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쉽게 말해 무중력 상태이지요. (그러니까 정지궤도에 인공위성이 잘 떠있을 수 있는 것이고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즉, ②번 위치에서 잘 돌고있는 인공위성을 ①번 위치로 옮겨오면 지구와의 거리가 가까워져 중력을 보다 강하게 받기 때문에 ②번 위치보다</div> <div style="text-align:left;">더 빠르게 공전해야 궤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궤도 엘리베이터는 곧은 막대 형상이므로 ①번 위치에서의 회전속도가 ②번 위치보다</div> <div style="text-align:left;">당연히 느립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결국, ①번 위치에서는 지구 중력이 원심력보다 우세하여 엘리베이터의 화물은 가만히 두면 다시 지구쪽으로 낙하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div> <div style="text-align:left;">발생하는 곳이 그림의 짙은 회색 영역입니다. 정지궤도 안쪽 전 영역에 해당되는 이야기이지요. 그러므로 지상기지에서는 화물이 정지궤도에</div> <div style="text-align:left;">도착할때까지는 화물을 우주 밖으로 들어올리는데에 에너지를 쏟아야 합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런데, ③번 위치는 상황이 반대입니다. 정지궤도 바깥이기 때문에 지구 중력이 더 약하고 따라서 천천히 돌아야 궤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하지만 궤도 엘리베이터가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는 이상 ②번 위치보다 빠르게 움직이게 되므로 원심력이 우세하게 되어 화물을 내버려두면</div> <div style="text-align:left;">저절로 지구에서 멀어지는 움직임을 보일 것입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곳은 정지궤도 바깥쪽에 해당하는 밝은 회색 영역입니다. 따라서 올려보내던 화물이 정지궤도를 넘어가는 순간부터는</div> <div style="text-align:left;">상승시키기기 위해 밀어내는 추진력을 줘야하는 것이 아니라 카운터웨이트에 꼬라박(?)지 않도록 견인력을 줘가면 속도조절을 해줘야 하겠지요.</div> <div style="text-align:left;">생각해보면 화물을 옮겨줄 승강기를 컨트롤하는 것도 단순하지만은 않군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또한, 10만 km 거리를 왕복할 승강기의 구동방식도 문제고요. 자체동력을 이용한 자력주행이냐 외부동력에의한 견인방식이냐…</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이처럼 하나씩 따져보면 문제될 내용들이 이것저것 튀어나오는데요. 아~ 이제 글 작성하는게 지겨워(?)져서 이쯤에서 마무리지어야겠습니다.</div> <div style="text-align:left;">생각 정리 및 검토하고 그림 그리고 글쓰고 하는데 하루는 더 걸린 것 같군요. (덕분에 각운동량, 관성모멘트, 제 1, 2 우주속도 등등 여러가지</div> <div style="text-align:left;">복습했네요;;)</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 style="text-align:left;">그냥 재미삼아 보셨길 바랍니다. (좀 무리일까요;;)</div>
    출처 본인 생각
    괴물두뇌의 꼬릿말입니다
    Mon coeur est en céramique,
    Dur, affûté et résistant à la rouille,
    Il se brise dés qu’il tombe à terre.

    Il n’y a rien que je ne puisse acquérir
    Honneurs, gloire, richesse
    Mais il est une chose qui ne peut être mienne
    Et je la désire de tout mon coeur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6/03 15:00:30  143.248.***.130  냠냠우유  114230
    [2] 2015/06/03 15:01:19  114.108.***.206  글몽  104601
    [3] 2015/06/03 15:06:03  115.94.***.51  Capacitor  169675
    [4] 2015/06/03 15:29:53  211.206.***.80  의미  625355
    [5] 2015/06/03 15:36:12  118.131.***.214  레이즈  211735
    [6] 2015/06/03 15:39:52  118.39.***.97  소원이있어요  608725
    [7] 2015/06/03 15:52:10  137.22.***.225  진부한닉네임  547075
    [8] 2015/06/03 15:56:35  211.36.***.24  별의목소리  44730
    [9] 2015/06/03 16:02:00  124.0.***.60  S.Guri  5374
    [10] 2015/06/03 16:11:28  210.180.***.43  사닥호  42560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
    구의 체적을 반지름으로 미분하면 구의 표면적이 나오는군요… [51] 창작글 개똥哲學 17/07/18 22:38 101 2
    31
    질문 : 닉네임 갱신한 것 언제쯤 적용되나요? [2] 괴물두뇌 17/07/14 01:39 43 1
    30
    내접원과 관계된 직각삼각형의 면적 공식… S=a×b [26] 창작글 괴물두뇌 17/07/06 01:46 118 1
    29
    피타구라스의 정리… [22] 창작글 괴물두뇌 17/07/04 16:17 186 1
    28
    묘한생각 묘한풀이 - 문항 44번 : 정사각형 만들기 [24]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7/07/01 22:50 102 3
    27
    영재발굴단 '오유찬' 어린이에 관한 2건의 게시물을 보고… [9] 창작글 괴물두뇌 17/07/01 02:43 544 11
    26
    [Euclidea] α단계 문제 1.6의 해법 중 5L 5E 논리 전개… [12] 창작글 괴물두뇌 16/09/25 02:34 50 10
    25
    [Euclidea] α단계 문제 1.7의 해법 중 7L 7E 달성 방법… [2] 창작글 괴물두뇌 16/09/21 19:51 27 3
    24
    [Euclidea] α단계 문제 1.6의 해법 중 5L 5E 달성 조건… [15]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6/09/21 05:58 50 3
    23
    일본어 잘하시는 분들 계시면 가사가 잘못된 것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7]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6/09/01 17:56 38 4
    22
    City Hunter'91 의 Image Song 가사에 관한 질문입니다 [1]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6/08/30 14:56 26 0
    21
    Super Robot 大戰 EX 마사키의 장 '나그차트 격파' 영상 창작글 괴물두뇌 16/03/09 01:19 58 1
    20
    어처구니없는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아랫집 아저씨의 명복을 빕니다. [5] 괴물두뇌 16/01/29 17:54 230 11
    19
    IQ 테스트 문제 몇 개 질문드립니다;; [10]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11/09 15:44 59 0
    18
    새로운 문제를 찾으시던 몇 몇 분들을 위한 여섯 문제 [54]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15 00:37 63 0
    17
    How to solve it 관련하여 삭제했던 게시물의 부분 복원 [14] 창작글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13 03:46 56 0
    16
    ????! 님께…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10 21:16 38 0
    15
    우째 이런일이~ 훌륭한 문제 출제자 고1님 읽어주세요. [1] 본인삭제금지 괴물두뇌 15/08/07 18:54 48 2
    14
    옛날 게임 Pipe Dream 에 넣을 수 있는 십자 파이프를 최대값?? [11] 창작글 괴물두뇌 15/07/03 22:36 51 0
    13
    옛날 게임 Pipe Dream 에 십자 파이프를 최대한 많이 넣기에 도전 [17] 창작글 괴물두뇌 15/07/02 04:11 107 3
    12
    진짜로 쌍곡면 중독증상에 걸림;; (선분 중점의 자취가 예술입니다~) [8] 창작글 괴물두뇌 15/07/01 05:25 98 15
    11
    푸리에 급수 움짤 (꼬릿말) [13] 베스트금지베오베금지 괴물두뇌 15/06/11 21:34 16 0
    10
    [BGM] 아폴로니우스의 원뿔 곡선 (타원/포물선/쌍곡선의 진정한 정의) [1] 창작글 괴물두뇌 15/06/07 23:15 46 11
    9
    의뢰(?)를 받고 제작한 푸리에 급수전개 사각파 그래프 (4항까지 전개) [3] 창작글펌글 괴물두뇌 15/06/06 15:30 61 10
    8
    이차곡선의 정의대로 작도한 포물선, 타원, 쌍곡선 구경하세요. [37] 창작글 괴물두뇌 15/06/06 00:14 55 13
    궤도 엘리베이터 실사용시 예상되는 각운동량 보존에 관한 문제점 [47] 창작글 괴물두뇌 15/06/03 14:47 45 17
    6
    파생상품 증거금률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3] 괴물두뇌 15/05/28 20:29 16 0
    5
    축퇴성 혹은 밀집성이라 불리우는 천체에 관한 궁금증입니다. [15] 괴물두뇌 15/05/19 23:38 34 1
    4
    해양포유류들 역시 물을 마시는지 궁금합니다. [7] 괴물두뇌 14/05/21 15:06 65 5
    3
    우주엘리베이터의 기술적 실현 가능성에 관하여 여러모로 궁금합니다. [19] 괴물두뇌 14/04/08 23:08 43 0
    [1] [2]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