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뭐이어드래?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12-04
    방문 : 521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istory_13001
    작성자 : Belisarius
    추천 : 22
    조회수 : 1722
    IP : 24.55.***.225
    댓글 : 7개
    등록시간 : 2013/12/14 00:55:18
    http://todayhumor.com/?history_13001 모바일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6
    <div> </div> <div><strong>- 흉노의 한(漢) 정권 -</strong></div> <div><strong></strong> </div> <div><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img width="480" height="317" style="border: currentColor" alt="480px-西晉時期北方各族分布圖.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946841sPMikfv7q5NV24oNhw4yI6PbRiwx.p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재탕하는 흉노 한<font color="rgb(12,12,12)">(漢) 정권의 영역. </font></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0c0c0c"><strong>정권 초기에는 흉노 5부의 세력권과 별반 다를 바가 없었을 것이다.</strong></font></div> <div> </div> <div> </div> <div><strong>서기 304년, 10월. 좌국성(左國城 : 병주(幷州) 부근)에서 왕위에 올라 국호를 한(漢)이라 칭하고 연호를 원희(</strong><font face="돋움"><strong>元熙)</strong>라 정한</font><strong> 유연(劉淵)은 즉위문을 하령한다.</strong></div> <div><strong></strong> </div> <div> </div> <div><font color="rgb(255,0,0)">"<strong>옛날 우리 태조(太祖) 고황제(高皇帝)</strong>(->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strong>))가 신무(神武)함으로 천하의 뜻에 응하여 대업을 크게 열고, 태종(太宗) 효문황제(孝文皇帝)</strong>(->한(漢) 문제(文帝) 유항(劉恒))<strong>는 또한 명덕(明德)으로서 나라를 다스려 나가 태평하게 만들었다. 세종(世宗) 효무황제(孝武皇帝)</strong>(->한(漢) 무제(武帝) 유철(劉撤))<strong>는 척토양이(</strong><font face="돋움"><strong>拓土攘夷 : 국토를 개척하고 오랑캐를 물리침)하여 그 땅의 크기가 당(唐 = 당요(唐堯, 즉 요임금) 때를 넘어섰고</strong>...(중간 생략)....<strong>소열(昭烈)</strong>(->촉한(蜀漢)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strong>은 촉(蜀) 땅으로 파월(播越 : 파천, 외지로 떠돔)하면서 불운이 끝나고 태평함이 다시 생겨나 옛 도읍으로 돌아가기를 바란 것이다</strong>(유비가 한(漢)을 다시 부흥시켜 했던 노력을 의미한다). <strong>어찌 하늘은 한(漢)에 내린 화를 뉘우치지 아니하여, 또다시 후제(後帝)</strong>(->촉한(蜀漢) 후주(後主) 유선(劉禪)) <strong>치욕을 당하게 하였는가</strong>(서기 263년 촉한(蜀漢)의 멸망을 가리킴) <strong>사직이 멸망한 이래, 지금까지 종묘에 혈식(血食 : 제사)을 올리지 못한지 40년에 이르렀도다</strong>..(중간 생략)...<strong>이제 하늘이 자신의 속마음을 달래어 한(漢)에 내린 화를 뉘우쳐, 사마씨(司馬氏) 부자형제로 하여금 서로 잔멸하게 하였으나 뭇 백성들은 도탄에 빠져 하소연 할 곳조차 없다</strong>..(이하 생략)<strong> </strong>- 진서 유원해기</font></font></div> <div><font face="굴림"></font> </div> <div>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전편에서 언급한 대로, 유연의 한(漢)은 이 즉위문을 통해 <strong>전한(前漢)-후한(後漢)-촉한(蜀漢)을 잇는 왕조</strong>임을 다시한번 드러내고 있다.</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우선 즉위문 제일 처음에 보면 <strong>'옛날 <u>우리</u>~'</strong> 란 표현을 써, <strong>전한(前漢)의 역대 황제들이 마치 자신의 윗대 조상인 것처럼 </strong>나열하며 그 덕과 공을 기리고 있으며, 또한 촉한(蜀漢)의 유비와 유선 또한 같은 맥락에 넣었다.</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그리고 하늘이 화(禍 : 재앙)을 내려 잠시 <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한(漢) 왕조가 무너졌었지만, 한(漢)을 멸망케한 하늘이 이제 그 잘못을 뉘우쳐 한(漢)을 부흥시키고자 진(晉)의 사마씨(司馬氏)들이 서로 싸우게 만들었으며 촉한(蜀漢)이 멸망한지 40여년 만에 이제 우리의 한(漢) 왕조가 대통을 이어받았다라고 천명한다.</span></span></strong></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즉, <strong>건국한 왕조의 정통성과 명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strong></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흉노족이 진(晉)으로부터 독립하여 감히 무엄하게 제멋대로 왕을 자칭했다는 소식은 성도왕(成都王) 사마영(司馬穎)과 대결을 벌여 몰아냈던 <font color="rgb(12,12,12)"><strong>동영공(東嬴公) 사마등(司馬騰)</strong>의 귀에까지 들어간다. 게다가 흉노가 자립한 지역 역시 자신의 임지인 병주(幷州)였다. </font></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0c0c0c"></font></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사마등은 이를 토벌하기 위해 수하무장 섭현(聶玄)이란 자에게 군사를 주어 유연을 치게했지만, 되려 대패하여 쫓겨오자 <strong>사마등은 이를 두려워하여 병주(幷州)의 백성 2만여명을 이끌고 도주한다. </strong></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이에 유연도 대응을 신속히 하여 <strong>조카</strong> <strong>유요(劉曜)를 보내 병주(幷州)의 각 군(郡)과 고을을 함락케 하니, 병주(幷州)는 완전히 흉노의 한(漢)의 손에 넘어가게 된다.</strong></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 <div style="text-align: left"><img width="243" height="300" style="border: currentColor" alt="유요.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949110922tuXxQefp4bFBSyh9dy.jp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유요(劉曜).</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유연의 조카로,</strong> <strong>이후 영가의 난에 활약하면서도 줄곧 등장할 인물이다.</strong> <strong>유연 이래로 몇대를 지나 황제로 즉위한 후, 기존의 국호 </strong><strong>한(漢)을 '조(趙)' 로 고쳤다. 그래서 역사에서는 동시기에 존재한 후조(後趙)와의 구별을 위해 전조(前趙)라 부르고 있다. 차차 다룰 내용이다. </strong></div></span></span>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흉노족이 한(漢) 정권을 수립했다는 소식에 당시 진(晉) 조정에서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에 대한 기록은 찾지 못해 알 수없다.</strong> 하지만 상식적으로 당연히 이를 용납하지 않았음은 분명하다. 깔보던 흉노족이 독립하겠다고 찢어져나가 이제는 제국의 한 주(州)를 떡하니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니 말이다.  </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이 한(漢) 정권에 대항하는 주체가 계속해서 <font color="#0c0c0c"><strong>사마등(司馬騰)</strong>인 것으로 보아 아마 <strong>진(晉) 조정에서는 이 사마등에게 토벌을 명한게 아닌가 싶다. </strong>물론 사마등이야 자신의 임지 병주를 탈환하고자 줄기차게 싸우려 드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font></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0c0c0c"></font></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font></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영흥(永興) 2년(서기 305년), 사마등이 또 사마유(司馬瑜), 주량(周良), 석선(石鮮) 등을 보내 유연을 치게하며  이석(離石)에 주둔했다. 유연은 그의 무아장군(武牙將軍) 유흠(劉欽) 등의 여섯 군(六軍)으로 사마유 등에게 항거하니, 네번 싸워 사마유가 모두 패하였고, 유흠은 대오를 정돈해 개선하여 돌아왔다. - 진서 유원해기</font></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ff0000"></font></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사마등이 박살나자 조정에서는 답답했는지 따로 유연을 토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한다.</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font></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병주자사 유곤(劉琨)을 판교(版橋)에서 요격하게 했으나 유곤에게 패하였다. 이에 유곤은 진양(晉陽 : 병주(幷州)의 군(郡)들 중 하나)<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을 점거하였다<span lang="EN-US">. - 진서 유원해기</span></span></font></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이렇게 지리멸렬한 싸움이 계속해서 오가는 가운데, 한(漢)의 신하들이 유연에게 진언한다.</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전하께서 거병하신 이후로 벌써 만 1년이 다 되어가는데, 오로지 편방(偏方 : 한쪽구석)을 지킬 뿐, 아직 기세를 떨치지 못하였습니다. 실로 사방으로 출전하도록 장수들에게 명해 결기일척(決機一擲 : 기회에 따라 결단해 승부를 겨루다)하여 유곤(劉琨)을 효수하고, 하동(河東)을 평정한 뒤에 제호(帝號 : 황제의 호칭)를 세우고 북을 치며 남쪽으로 진격하여 장안(長安)을 함락하고, 이를 도읍으로 삼는다면 관중(關中 : 장안일대를 가리킴)의 군사로서 낙양(洛陽)을 석권하는 것은 손가락으로 손바닥을 가리키듯 쉬운 일입니다.."(이하 생략) - 진서 유원해기</font></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신하의 진언대로 정권을 세웠다고는 하지만 그 영역은 겨우 병주(幷州)를 비롯한 각 주(州)의 조금씩을 차지한 땅들 뿐이었고 진정 진(晉)의 중앙이라 할 수있는 중원(中原)은 아직까지 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래서<strong> 총공격을 감행하여 제대로 진(晉)과 맞붙어보자고 권하고 있는 것이다. </strong></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거기다 <font color="rgb(12,12,12)"><strong>제호(帝號 : 황제의 호칭)까지 칭할 것</strong>을 은연 중에 권하고 있는데, <strong>나중에 이르러 실제로 그 일이 벌어진다.</strong></font></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유연 역시 이에 동의하여 군사를 크게 일으켜 공격을 감행한다.</strong></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이에 진격하여 하동<span lang="EN-US">(河東)을 점거하고 포판(蒲坂)</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 평양(平陽)</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을 공격해 모두 함락하였다<span lang="EN-US">. 그리하여 포자(蒲子)</span></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로 들어가서 그곳에 도읍하니, 하동<span lang="EN-US">(河東), 평양(平陽)의 속현(屬縣)과 그 주변 고을이 모두 항복하였다. 당시 <strong>급상(汲桑)</strong>이 조(趙), 위(魏) 땅에서 거병하였는데 상군(上郡)의 사부(四部) 선비(鮮卑)인 육축연(陸逐延), 저족(氐)의 추대선우(酋大單于)인 선징(單徵),</span></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53, 153, 153); font-size: 9pt; mso-hansi-font-family: 바탕"> </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동래<span lang="EN-US">(東萊) 사람인 <strong>왕미(王彌) </strong>및 <strong>석륵(石勒)</strong> 등이 모두 차례로 와서 항복하니, 원해(元海 : 유연의 자(字))가 그들 모두에게 관작(官爵)을 내렸다. - 진서 유원해기</span></span></font></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font></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font></span></span>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 <div style="text-align: left"><img width="503" height="591" id="image_0.47406657587869954" style="border: currentColor" alt="1386860507wHEQhDBmPU.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947744WSBMW3hcBbrrEDQmlA.jp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0c0c0c"><strong>사주(司州)가 <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12,12,12)">병주(幷州) 옆에 위치한 주(州)임을 지도를 통해 알 수있다. 여기서 사주(司州)라는 </font></span></span></span></span></strong></font><font color="#0c0c0c"><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12,12,12)"><strong>주(州)는 정식 행정구역이 아니라 진(晉)의 수도, 낙양(</strong><font color="rgb(12,12,12)"><strong>洛陽)과 그 일대를 속칭, 사주(司州)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우리나라의 서울 - 경기권 같은 개념이랄까? 흉노의 한(漢)이 그 사주(司州)에까지 진출했다는 말은 진(晉)의 수도, 낙양(</strong><font color="rgb(12,12,12)"><strong>洛陽)도 지척에 놓여진 상태로, 이제는 </strong><strong>흉노의 한(漢)도 상당히 위협적인 존재로 성장했음을 의미한다.</strong></font></font></font></span></span></span></span></font></div></span> <div style="text-align: left"> </div></span> <div style="text-align: left"> </div></font> <div style="text-align: left"> </div></span> <div style="text-align: left"> </div></span> <div style="text-align: left"><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12,12,12)">병주(幷州)를 벗어나 사주(司州)란 주(州)로까지 진출하여 사주(司州)까지 점거했다는 얘기다. 이렇게 흉노의 한(漢)이 위세를 떨치자 당시 진(晉) 각지에서 반란을 일으켜 세력을 꾸리고 있던 군벌들을 비롯한 여러 이민족들이 찾아와 유연에게 항복하며 귀순하는데, 그 중 장창(張昌)의 난을 다루며 한번 언급한 적이 있는 </font><font color="rgb(12,12,12)"><strong>왕미(王彌),</strong> <strong>석륵(石勒)</strong>의 이름도 있다. 특히<strong> 석륵(石勒)은 갈족(<font color="#000000">羯族)이라 하는 돌궐 쪽 계통의 민족으로 오늘날 투르크 계라 보면 되겠다.</font></strong></font></span></span></span></span></div> <div style="text-align: left"><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 style="text-align: left"><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 <div style="text-align: left"><img width="500" height="700" id="image_0.35032665072891944" style="border: currentColor" alt="석륵.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6948993zLcigCQE8.jp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font color="#0c0c0c">석륵(石勒). </font></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0c0c0c"><strong>갈족(</strong></font><font color="#000000"><strong>羯族)이라는 이민족으로, 당시 </strong><font color="#0c0c0c"><strong>진(晉)에 한창 유입되던 이민족들 중 한 부류다. 뒤에 다룰 내용에서도 서술하겠지만, 특히 석륵은 유독 독보적인 존재로, 한때 흉노족의 한(漢) 정권 아래에서 영가의 난에 참전하며 몰래 독자세력을 구축하고 결국에는 독립하여 후조(後趙)를 건국한 시조가 된다. 국호는 '조(趙)' 지만 위에서 서술한 유요</strong><strong><font color="#000000">(劉曜)의 조(趙)와 구별하고자 전조(前趙)보다 늦게 건국되었다 하여 편의상 후조(後趙)라 불리운다. 진(晉) 멸망 직후에 도래한 '5호 16국 시대' 의 주역이기도 했다. 근데 이렇게 미리 써놓으면 스포일러인가?</font></strong></font></font></div></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12,12,12)"><strong>왕미(王彌)나</strong> <strong>석륵(石勒)은 </strong></font><strong>흉노의 한(漢) 정권의 연재를 마치고 영가의 난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흉노를 제외한 다른 이민족 세력이나 군벌들을 다루는 편에서도 좀더 깊게 살펴보려한다.</strong></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12,12,12)"></font></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12,12,12)">그리고  2년 반 가량이 지난<strong> 서기 308년. 진(晉)에서는 회제(懷帝) 사마치(司馬織)의 치세가 시작된지도 2년째에 접어들었던</strong> <strong>영가(永嘉) 2년. </strong></font></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font color="#0c0c0c"></font></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font></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255,0,0)">영가(永嘉) 2년, 가을 갑진일(2일), 유원해(劉元海)가 평양(平陽)을 침범하니 평양태수(平陽太守) 송추(宋抽)는 낙양(洛陽)으로 달아나고 하동태수(河東太守) 노술(路述)은 힘껏 싸우다 죽었다..(중략)..그해 겨울 10월 갑술일(3일), <strong>유원해(劉元海)가 평양(平陽)에서 제호(帝號)를 참칭하고는 한(漢)이라 칭하였다. </strong>- 진서 유원해기</font></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font color="#0c0c0c"></font></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0c0c0c"><span style="color: rgb(153, 51, 0);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바탕"></span></span></span></font></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rgb(12,12,12)">위에서는 평양(平陽)을 이미 점거했다는 기록을 싣어놓았는데 여기서는 또 다시 평양을 침범했다 되어있어 갸우뚱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이다. 아마 처음에 평양을 점령하고난 서기 305년부터 이 기록의 배경시점인 서기 308년까지 2~3년간 계속해서 진(晉)과 교전을 펼치며 세력권 싸움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font></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font color="#0c0c0c"></font></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그리고 기록의 마지막 문구대로, <strong>유연은 결국 황제를 자칭하고야 만다. 연호는 영봉(永鳳). 도읍은 <font color="#0c0c0c">평양(平陽)에 두었다.</font></strong></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font color="#0c0c0c"></font></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font color="#0c0c0c"></font></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역사에서는 <strong>유연이 황제를 칭한 서기 308년부터를 영가의 난의 시작이라 본다. </strong></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진(晉)에 대한 본격적인 공세를 갖추는 때이기 때문이다.</strong></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다음 글에서는 영가의 난에 들어가기에 앞서 잠시 한숨돌려 흉노의 한(漢) 정권 수립이외의 기타 사건 및 인물들에 관해 연재할까 한다. </strong></span></span></span></span></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trong></strong></span></span></span></span> </div> <div><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span lang="EN-US"></span></span></span></span> </div><br /><br /><br /><br />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12/14 01:12:42  121.169.***.216  후루루냠냠  362145
    [2] 2013/12/14 01:38:51  121.237.***.81  칡힌  74565
    [3] 2013/12/14 02:22:44  223.33.***.89  부천간지남  135188
    [4] 2013/12/14 04:26:34  182.213.***.219  평온초  336118
    [5] 2013/12/14 06:52:27  223.62.***.9  미르와르  251642
    [6] 2013/12/14 08:09:54  125.189.***.231  3시간만들기  260313
    [7] 2013/12/14 08:34:53  14.63.***.227  순행길  506064
    [8] 2013/12/14 09:27:38  211.217.***.9  노구리  125137
    [9] 2013/12/14 10:32:12  210.182.***.2  콩국수  419934
    [10] 2013/12/14 10:46:22  110.15.***.139  쇠소깍  52460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
    명(明) 왕조 멸망사 : 만력중흥(萬曆中興) [2] Belisarius 13/12/30 13:28 86 23
    35
    명(明) 왕조 멸망사 : 몰락의 전조 [1] Belisarius 13/12/29 13:22 55 27
    34
    주색잡다 나라를 말아먹은 황제, 진숙보(陳叔寶) [4] Belisarius 13/12/26 12:09 95 5
    33
    중국사 최강의 막장 왕가, 유송(劉宋) - 完 [2] Belisarius 13/12/25 14:51 88 27
    32
    중국사 최강의 막장 왕가, 유송(劉宋) - 1 [2] Belisarius 13/12/24 15:08 95 3
    31
    이해하면 무서운 사진.jpg [2] Belisarius 13/12/23 23:29 295 4
    30
    중국의 3대 대전 중 하나, 비수대전(淝水大戰) - 完 Belisarius 13/12/23 04:48 90 4
    29
    중국의 3대 대전 중 하나, 비수대전(淝水大戰) - 1 [1] Belisarius 13/12/22 04:20 94 5
    28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完 [2] Belisarius 13/12/20 17:39 38 27
    27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23 Belisarius 13/12/20 02:11 35 0
    26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22 [1] Belisarius 13/12/18 11:13 66 3
    25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21 Belisarius 13/12/18 02:42 56 1
    24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탓인지 기독교화된 로마는.. [1] Belisarius 13/12/17 14:08 55 3
    23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20 Belisarius 13/12/17 12:40 62 6
    22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9 [1] Belisarius 13/12/17 03:13 62 1
    21
    달과 같은거리에 행성들이 있다고 가정했을때 보이는 광경 [23] Belisarius 13/12/16 12:47 76 85
    20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8 [2] Belisarius 13/12/15 05:44 79 4
    19
    군대작업 중 빡치고 무의미했다고 생각했던 거 하나씩 말해봅시다 [2] Belisarius 13/12/14 14:25 91 2
    18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7 Belisarius 13/12/14 14:10 38 2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6 [1] Belisarius 13/12/14 00:55 37 2
    16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5 Belisarius 13/12/13 16:50 54 2
    15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3 [3] Belisarius 13/12/13 02:30 64 3
    14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3 Belisarius 13/12/11 14:21 56 1
    13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2 Belisarius 13/12/11 02:27 44 0
    12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1 Belisarius 13/12/10 15:05 56 2
    11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0 [2] Belisarius 13/12/10 06:11 78 2
    10
    심심한데 각자 출신부대나 대봅시다 [10] Belisarius 13/12/09 12:44 152 2
    9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9 Belisarius 13/12/09 04:17 63 19
    8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8 Belisarius 13/12/08 17:25 48 29
    7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7 Belisarius 13/12/08 07:31 92 22
    [1] [2] [3] [4] [5] [6] [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