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뭐이어드래?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12-04
    방문 : 521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istory_13174
    작성자 : Belisarius
    추천 : 23
    조회수 : 7211
    IP : 24.55.***.225
    댓글 : 9개
    등록시간 : 2013/12/24 15:08:50
    http://todayhumor.com/?history_13174 모바일
    중국사 최강의 막장 왕가, 유송(劉宋) - 1
    <div> </div> <div> </div> <div>중국 역사상 최고의 막장가도를 달린 왕조가 하나있다.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바로 <strong>송(宋)</strong>이란 나라다. </div> <div> </div> <div> </div> <div>흔히 송(宋)나라라고 하면 서기 10C경에 조광윤(趙匡胤)이 건국한 그 송나라를 떠올리지만, 여기서의 송나라는 흔히 <strong>위(魏)-진(晉) 남북조(南北朝) 시대라 불리우는 시대에 세워졌던 서기 5세기 무렵의 송(宋) 왕조를 말한다. </strong></div> <div><strong></strong> </div> <div>여기서 국호가 동일한 관계로 역사에서는 앞서 말한 조광윤의 송(宋)과 구별하고자 이때의 <strong>송(宋) 왕조는 건국자인 유유(劉裕)라는 사람의 성씨인 '유(劉)' 를 붙여서 '유송(劉宋)' 이라 부른다. </strong></div> <div><strong></strong> </div> <div><strong></strong> </div> <div>워낙 인지도가 떨어지는 나라이니만큼 대강이나마 유송(劉裕)에 대해 설명을 해보자면.. </div> <div><strong></strong> </div> <div><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style="text-align: left"><img width="556" height="537" style="border: currentColor" alt="Southern_and_Northern_Dynasties_440_CE.pn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7856250UkmMwy6Qh8MNZ1WxotERUTfRxM.png" /></div></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서기 440년 무렵의 중국 판도.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남쪽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영역이 유송(劉裕)이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위의 파란색 영역은 북위(北魏)라는 나라.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삼국지연의로도 유명한 <strong>삼국시대를 통일한 나라는 진(晉)</strong>.<strong> </strong>그러나 진(晉)도 내란과 이민족의 침입으로 멸망하고, 뒤이어 갖은 이민족들이 침입해와 중국에 저마다의 나라를 세우는 이른바 <strong>5호 16국 시대</strong>가<strong> </strong>도래한다. 한편 멸망한 진(晉)의 명맥을 잇고자 한족(漢族)들은 양자강 이남에서 다시 진(晉)을 건국하니 이가 곧<strong> 동진(東晉)</strong>이다.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중국의 화북(華北)지방에서는 이민족들에 의한 5호 16국 시대가, 화남(華南)에서는 한족(漢族)의 동진(東晉)이 존속되던 중, 서기 420년에 이르러 동진(東晉)은 당시 권신이었던, <strong></strong>바로 위에서도 말한 <strong>유유(劉裕)</strong>에 의해 멸망당한다. 그리고 이 유유(劉裕)는 송(宋)을 건국하니, <strong>화남(華南)에서는 남조(南朝)시대가 시작된다. </strong>그리고 화북에서도 서기 439년에 <strong>북위(北魏)</strong>란 나라가 5호 16국 시대를 종결짓고 <strong>화북을 통일하니 이때부터를 북조(北朝)시대라 한다.</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style="text-align: left"><img width="411" height="490" style="border: currentColor" alt="63d9f2d3572c11df959c6da9632762d0f603918fa1ecead7.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7857349atik31Lr8n9Ym7KVW.jp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송</strong>(<strong>宋) 고조(高祖) 무제(武帝) 유유(劉裕).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나중에 자손들이 벌인 행각들을 보았더라면 초상화에서의 모습처럼 마냥 사람 좋은 미소만 짓고 있지는 않았겠지.</strong></div></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남조(南朝), 북조(北朝)란 말은 각각 남북에서의 여러 왕조들을 의미한다. 화남에서의 송(宋), 화북에서의 북위(北魏) 이후로도 해당왕조를 잇는 왕조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남북에서 여러 나라가 세워졌던 시기라 하여 이를 두고 남북조(南北朝) 시대라고 부른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이렇듯 남조(南朝)시대의 첫 왕조이기도 했던 <strong>유송(劉宋)은 한마디로 말해 막장왕조였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총 8대 59년만에 단명해버린 왕조인데, 황제들의 평균 재위기간을 계산해보면 각 황제들의 재위기간이 7~8년 밖에 안된다는 얘기가 된다</strong>. 하지만 이것도 그나마 성군(聖君)이라 칭송받던<strong> 제3대 황제, 태조(太祖) 문제(文皇帝) 유의륭(劉義隆)</strong>과 <strong>4대 황제 세조(世祖)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 : 유준은 성군이 아니다),</strong> 그나마 10년 조금 넘게 재위에 있던 이 두명을 감안한다면 그 평균치는 더 낮아진다.</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style="text-align: left"><img width="500" height="734" style="border: currentColor" alt="4a36acaf2edda3cce49e56cd01e93901203fb80e7aecbad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7860158QIrLCtLLIv3YnLR8QExO2jPOyH.jp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송(宋) </strong><strong>태조(太祖) 문제(文皇帝) 유의륭(劉義隆).</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유송(劉宋)에서 뿐만 아니라 남조(南朝)시대에서 몇 안되는 태평성대를 이룩한 성군(聖君).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아버지</strong> <strong>고조(高祖) 무제(武帝) 유유(劉裕)와 함께 유송(劉宋)에서 몇 안되는 정상적이었던 황제들 중 하나.</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이 때의 치세만큼은 당시의 연호인 '원가(元嘉)' 를 따서 '원가지치(元嘉至治 : 원가 때의 정치라는 뜻)' 라 하여 별도로 치고 있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하지만 이 유의륭도 나중에는 아들에게 살해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고 만다. 이 역시 황족간의 골육상쟁 때문.</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대충 감이 온다 하겠는데, 사실 감을 따지고 할 것도 없이 <strong>역대 황제들 중 대다수가 싸이코 내지 변태들이었기에 죄다 제 명에 못죽고 폐살당하거나 제위에서 쫓겨났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이 여덟명의 황제들 중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strong>최강의 막장 황제는 바로 제5대 황제, 폐제(廢帝) 유자업(劉子業)</strong>이라고하는 걸출한 인물로, 이 글에서 다루고자하는 주인공 되시겠다.</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style="text-align: left"> <div style="text-align: left"><img width="380" height="468" style="border: currentColor" alt="09553540F-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7860125zshR2ruQ.jpg" /></div></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폐제(廢帝) 유자업(劉子業) 초상화.</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유자업(劉子業)의 재위기간은 고작 1년(서기 464년~465년). 당시 16~17세의 나이였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정녕 저게 중3~고1의 얼굴이란 말인가?</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한자를 좀 아시는 분들이라면 유자업(劉子業)의 시호에서 이미 대충 눈치채셨을지도 모르겠다. 유자업의 시호는 <strong>폐제(廢帝)</strong>. 사실 이건 시호도 아니라 그냥 임의로 붙인 것이다. 왜냐면<strong> 폐위(廢位)되었기 때문에. 폐위 했다하여 '폐(廢)' 자를 갖다 붙여 그냥 폐위된 황제란 뜻의 '폐제</strong><strong>(廢帝)' 로 불리는 것이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대관절 뭐하다 폐위당했는지 이제부터 알아보도록 하자.</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유자업(劉子業)은 </strong><strong>4대 황제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의 아들로, 서기 449년에 태어났다.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그 무렵의 송(宋) 왕조는 고조(高祖) 무제(武帝) 유유(劉裕) 사후 이래로  2대 황제인 소제((少帝) 유의부(劉義符) 치세부터 시작된 <strong>황족간의 권력싸움에 의한 골육상쟁으로 피바람이 한창 몰아치던 때로, 친형제는 물론이고 조카, 사촌에다가 심지어는 작은 할아버지까지 제거대상이 되는 패륜이 판치는 시기였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유자업(劉子業)의 선대인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의 대에도 친족숙청은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었고, 유자업도 불과 네 살때 그 권력다툼에 연루되어 목숨을 잃을 뻔한 적까지 있었다 하니 어린애고 뭐고 가릴 것없이 칼부림을 하던 <strong>당시의 실태를 짐작할 만하다.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이러한 상황에서 유자업(劉子業)은 태자(太子)가 된다. 하지만 어렸을 때 험한 일을 겪어 트라우마라도 생겼는지 유자업은 <strong>평소 실수를 자주 범하고 행동거지가 그리 올바르지는 못했다. </strong>(애시당초 싹수부터가 노랬다)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거기다 어릴 적부터 관심을 두는 쪽이라고는 삼국시대 위(魏)의 조조(曹操)가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직책인 <strong>발구중랑장(發丘中郞將 : 황제나 왕의 무덤을 도굴하여 부장품을 챙겨 관리하는 벼슬)</strong>이나 <strong>모금교위(摸金校尉 : 역시 도굴전문 관리직)와 같은 괴상하고 비정상적인 분야였다. 그리고 이토록 관심을 두던 분야에서 빛을 발하는 때가 머지않아 오게되니 이는 밑에서 확인하기 바란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이 때문에 <strong>아버지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으로부터 자주 혼나고 꾸중들었는데, 이것에 대해 유자업은 앙심을 품었으니 훗날 유자업이 보여준 패륜행위들 중 하나를 장식하는 계기가 된다.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거기다 아버지를 꺼려한 이유는 또 있었다.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유자업에게는 <strong>유자난</strong>(사실 이 유자난도 유준이 사촌 여동생이랑 근친상간해서 낳은 애다. 이 쯤되면 유송 왕조가 얼마나 막장이었는가를 알 수있다. 유자업만 다루어 다<strong>른</strong> 황제들의 아름다운 패륜짓들을 보여주지 못하는게 안타까울 따름)<strong>이란 이복동생</strong>이<strong> </strong>있었는데,<strong> 아버지</strong> <strong>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이 매상 이 유자난만을 총애했기에 유자난을 질투한 것은 물론이고, 자신을 사랑해주지 않는 아버지에게도 분노를 느낀다.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style="text-align: left"><img width="349" height="308" style="border: currentColor" alt="1930018108025313304137275330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312/13878604997PsvEFbB.jp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과 놀아나는 유씨(劉</strong><strong>氏).</strong><strong>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여기서 유씨(劉氏)는 위에서 말한 유자난의 친모로, 사촌오빠였던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과 근친상간을 벌여 이 유자난을 낳은 여인네다.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에게는 숙부가 되는 남군왕(南郡王) 유의선(劉義宣)의 딸로, </strong><strong>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이 반한 나머지 취하려 들었고 근친 짓을 한다는 주위의 시선을 고려해 성씨도 은(殷)씨로 갈아버렸다고 한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여러모로 아버지에 대한 원망과 분노가 싹터가던 차에 <strong>서기 464년,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이 사망하고 그 뒤를 이어 태자였던 유자업이 제위에 오른다. 불과 16세의 어린 나이였다. 이때 </strong><strong>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의 상(喪)을 치루면서도</strong><strong> 유자업은 단 한방울의 눈물도 흘리지 않았다고 한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그런 유자업이 제위에 오르자마자 한 일은 <strong>이복동생이자 사촌동생도 되는 7살 난 유자난을 죽이는 일이었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이유는 위에서 설명했다. 유자난이 끌려가면서 남긴 말은 <strong>"다음 생에는 다시는 황제의 자손으로 태어나고 싶지 않습니다." </strong>였다.</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그러거나 말거나 내키는데로 순식간에 어리디 어린 이복동생을 살해한 유자업은 다음으로 평소에 벼르던(?) <strong>아버지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에게 복수하려 들었는데, 덩달아 은(殷)씨에게도 해코지한다. 그저 </strong><strong>은(殷)씨가 자신이 싫어하는 유자난을 낳았다는 이유만으로.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아버지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과 그 전에 죽은 은(殷)씨의 능(陵)을 파헤치게 하고 부장품을 챙겼으며 그것만으로는 분이 안풀렸는지 똥을 가져다가 뿌렸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온갖 욕을 퍼부어 분풀이를 했다. </strong>(위에서 말한대로 무덤도굴에 관심을 갖고 팠던 보람이 생겼다)</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유자업이 <strong>아버지</strong> <strong>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을 얼마나 증오했는지는 다음으로 소개할 일화로도 알 수있다.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우리나라에도 조선왕조의 역대 왕들의 위패를 모신 종묘(宗廟)가 있듯이, <strong>송(宋) 왕조에도 역대 황제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종묘(宗廟)가 있었다. 그리고 그곳엔 위패 외에도 황제들의 어진이 걸려있었는데, 하루는 유자업이 종묘를 찾아가 </strong><strong>아버지</strong> <strong>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의 초상화를 보고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rgb(255,0,0)">"이놈은 본래 술주정뱅이로서 코가 빨갛거늘, 왜 초상화엔 그것이 안 나타나있는 것이냐?"</font></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그리고는 초상화를 그리는 화공을 불러다가 초상화 속 아버지의 코를 빨갛게 칠하라 명령했다. 화공이 명령한대로 코를 칠해놓자 유자업은 그제서야 만족하며 다시 궁으로 돌아갔다고 한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패륜 중에서 최강의 패륜을 보여주는 유자업이었다. 아버지에게 그런 짓을 저질렀는데 이 패륜아의 수준으로 봤을때, <strong>하물며 어머니에게까지 그러지 못하란 법은 없었을 것이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아니나 다를까, <strong>아버지 사건 이후로 유자업은 자신의 패륜짓엔 한계란 없다라는 것을 보여준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하루는</strong> <strong>유자업의 친모인 태후 왕씨가 병을 앓아 유자업을 불렀다. 몸이 쇠약해지니 정신도 나약해져 간만에 어미의 정으로 아들의 얼굴도 보고 위로도 받을 생각으로 부른 것인데, 이 아들이란 놈이 어머니 태후의 방에 들어서자마자 내뱉는 소리가 가관이었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rgb(255,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rgb(255,0,0)">"환자의 방에는 귀신이 많다고 하던데, 황제인 내가 어찌 들어가겠는가?"</font></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그러고는 곧장 걸음을 돌려 돌아가자, 태후 왕씨가 기가 막히고 분통이 터지는 나머지,</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rgb(255,0,0)">"내 배를 갈라보거라, 도대체 어떻게 내가 저런 짐승을 낳았는지 봐야겠다!"</font></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rgb(12,12,12)"><strong>분을 삭이다 못해 홧병까지 얻은 태후 왕씨는 얼마 후에 죽고 만다.</strong></font></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그리고 <strong>태후 왕씨는 유자업의 꿈에 나타나 이렇게 저주했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rgb(255,0,0)">"너는 어질지도 못하고 불효를 저지르는 놈으로, 황제의 자격이 없다. 네 아비또한 난폭하고 황음무도하여 하늘과 백성들로부터 원망을 샀고 너 또한 그러하다. 앞으로는 문황제(文皇帝 : 3대 황제 문제(文帝) </font><font color="rgb(255,0,0)">유의륭(劉義隆))의 자식들에게 황제를 맡겨야겠다."</font></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그리고 유자업은 잠에서 깼고 어머니의 그런 저주가 두려웠는지 <strong>행여나 저주대로 작은 할아버지의 자손들이 정변이라도 일으킬 것을 염려하여 그 자손들을 모조리 죽여 없앴다.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그 중 <font color="rgb(12,12,12)">문제(文帝) 유의륭(劉義隆)의 몇 아들들, 즉 <strong>유자업에게는 숙부가 되는 황족들만은 살려두어 갖고 놀았는데 그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strong></font></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font color="#0c0c0c"></font></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상동왕(湘東王) 유욱(劉彧).</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산양왕(山陽王) 유휴우(劉休佑).</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이 세명의 숙부들은 살려다가 말 그대로 갖고 놀았다. 궁 안에 가두고 갖은 모욕과 고통을 주며 이를 즐겼다고 한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그리고 <strong>별명까지 붙여주었는데, 모두가 하나같이 유치하고 치욕스러운 것들이었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상동왕(湘東王) 유욱(劉彧)은 몸집이 크고 뚱뚱하다 하여 '돼지왕'</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은 살인귀 같이 생겼다 하여 '살인마왕'</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산양왕(山陽王) 유휴우(劉休佑)은 도적질을 잘할 것 같이 생겼으니 '도적왕'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이렇듯 유치한 별명들을 지어주고 매번 놀리고 다녔다.</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특히 <strong>상동왕(湘東王) 유욱(劉彧)이 유독 놀림대상이 되어 유자업의 놀잇감이 되다시피 했는데, 한번은 유자업이 시종들을 시켜 유욱의 옷을 벗기고 양 손을 뒤로 묶어 포박하여 구덩이에 집어 쳐넣고 거기다 밥과 반찬을 담은 바구니를 던져주며 마치 돼지를 사육하듯 시키며 자신은 그 옆에서 웃었다고 한다.</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그리고는 또 어느 날은 아예 죽일 생각이었는지 그 날이 돼지를 잡는 날이라면서 애꿎은 상동왕(湘東王) 유욱(劉彧)을 다시 불러다가 장대에다 묶어 매달고 죽이려던 차에 <strong>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이 보다 못해 동생 상동왕(湘東王) 유욱(劉彧)을 살리려고 유자업의 장단에 맞춰준다.</strong></div></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rgb(255,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rgb(255,0,0)">"돼지를 지금 죽이기엔 아깝습니다. 폐하의 생신 때 그 간과 폐를 꺼내어 죽이는 것이 더 낫지 않겠습니까?"</font></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유자업은 유휴인의 말에 옳다고 말하며 죽이려는 것을 멈췄고 그렇게 유욱은 살아날 수 있었다. 여담이지만 이렇게 조카놈에게 비참한 꼴을 당하는 <strong>상동왕(湘東王) 유욱(劉彧)은 유자업 다음으로 즉위하는 제6대 황제 태종(太宗) 명제(明帝)다. </strong></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strong></strong> </div> <div style="text-align: left">이렇듯 그 패륜행위가 도를 넘어선 그 이상의 정도로 심했는데, 이것 외에도 <strong>조상능욕</strong>은 물론이요, <strong>근친행위</strong>에서도 두각(?)을 드러내니, 이는 다음편에서 다루어보겠다.</div> <div style="text-align: left"><font color="#ff0000"></fon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 style="text-align: left"> </div> <div><br /> </div> <div> </div><br /><br /><br /><br /><br /><br />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12/24 15:22:34  121.254.***.30  미완성면상  51934
    [2] 2013/12/24 15:45:21  175.202.***.138  紅  82785
    [3] 2013/12/24 15:46:22  220.117.***.156  정탁  344825
    [4] 2013/12/24 16:00:55  147.46.***.21  3시간만들기  260313
    [5] 2013/12/24 16:09:20  210.182.***.2  콩국수  419934
    [6] 2013/12/24 17:03:44  115.143.***.29  깡조아  273812
    [7] 2013/12/24 17:17:19  218.36.***.102  AmiConX  322886
    [8] 2013/12/24 17:17:56  61.252.***.154  칼립소  463348
    [9] 2013/12/24 17:38:07  114.205.***.187  GwangGaeTo  124470
    [10] 2013/12/24 18:19:47  14.32.***.71  알아?  37151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
    명(明) 왕조 멸망사 : 만력중흥(萬曆中興) [2] Belisarius 13/12/30 13:28 86 23
    35
    명(明) 왕조 멸망사 : 몰락의 전조 [1] Belisarius 13/12/29 13:22 55 27
    34
    주색잡다 나라를 말아먹은 황제, 진숙보(陳叔寶) [4] Belisarius 13/12/26 12:09 95 5
    33
    중국사 최강의 막장 왕가, 유송(劉宋) - 完 [2] Belisarius 13/12/25 14:51 88 27
    중국사 최강의 막장 왕가, 유송(劉宋) - 1 [2] Belisarius 13/12/24 15:08 95 3
    31
    이해하면 무서운 사진.jpg [2] Belisarius 13/12/23 23:29 295 4
    30
    중국의 3대 대전 중 하나, 비수대전(淝水大戰) - 完 Belisarius 13/12/23 04:48 90 4
    29
    중국의 3대 대전 중 하나, 비수대전(淝水大戰) - 1 [1] Belisarius 13/12/22 04:20 94 5
    28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完 [2] Belisarius 13/12/20 17:39 38 27
    27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23 Belisarius 13/12/20 02:11 35 0
    26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22 [1] Belisarius 13/12/18 11:13 66 3
    25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21 Belisarius 13/12/18 02:42 56 1
    24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탓인지 기독교화된 로마는.. [1] Belisarius 13/12/17 14:08 55 3
    23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20 Belisarius 13/12/17 12:40 62 6
    22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9 [1] Belisarius 13/12/17 03:13 62 1
    21
    달과 같은거리에 행성들이 있다고 가정했을때 보이는 광경 [23] Belisarius 13/12/16 12:47 76 85
    20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8 [2] Belisarius 13/12/15 05:44 79 4
    19
    군대작업 중 빡치고 무의미했다고 생각했던 거 하나씩 말해봅시다 [2] Belisarius 13/12/14 14:25 91 2
    18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7 Belisarius 13/12/14 14:10 38 2
    17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6 [1] Belisarius 13/12/14 00:55 37 2
    16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5 Belisarius 13/12/13 16:50 54 2
    15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3 [3] Belisarius 13/12/13 02:30 64 3
    14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3 Belisarius 13/12/11 14:21 56 1
    13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2 Belisarius 13/12/11 02:27 44 0
    12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1 Belisarius 13/12/10 15:05 56 2
    11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10 [2] Belisarius 13/12/10 06:11 78 2
    10
    심심한데 각자 출신부대나 대봅시다 [10] Belisarius 13/12/09 12:44 152 2
    9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9 Belisarius 13/12/09 04:17 63 19
    8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8 Belisarius 13/12/08 17:25 48 29
    7
    삼국을 통일한 진(晉) 제국 - 7 Belisarius 13/12/08 07:31 92 22
    [1] [2] [3] [4] [5] [6] [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