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뭐이어드래?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12-04
    방문 : 521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istory_15164
    작성자 : 캬캬오톡
    추천 : 11
    조회수 : 1119
    IP : 14.46.***.60
    댓글 : 8개
    등록시간 : 2014/04/02 01:27:01
    http://todayhumor.com/?history_15164 모바일
    권력을 통해 자신의 학문을 전파한 왕숙.txt
     
    왕숙_1~1.JPG
     
    게임 삼국지12에서의 왕숙 짤
     
     
    왕숙이란 인물은 삼국시대 위(魏)의 신하로서 <삼국지>를 읽어보신 분들에게도 연의에서의 활약은 그닥 눈에 띄지 않는 탓에 별로 인지도 없는 인물입니다. 우선 이 왕숙으로 말할 것 같으면 연의에서도 나오듯 제갈량과의 썰전에서 피꺼솟해서 죽은 위나라의 고위대신 왕랑의 아들이자 훗날 진(晉)을 세우는 사마염의 외조부가 됩니다. 한마디로 빵빵한 명문가의 자제라고 하겠는데 화려한 이미지와는 달리 왕숙은 유교 쪽에서는 한 학파의 창시자로 여겨질 정도로 주로 학문 쪽으로 두각을 드러낸 학자 스타일이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삼국시대가 정립되기 전시대인 한(漢) 왕조는 국가 이념을 유교로 택했고 또한 관학화를 통하여 유교를 탐구하는 학문인 경학 역시 융성해집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한 왕조는 쇠퇴해갔고 후한 말에 이르러서는 환관들이 국정을 농단하기 시작하매, 이에 반발한 관료들과의 마찰로 빚어진 사태인 소위 '당고의 화(黨錮之禍)' 라 불리우는 사건으로 인하여 많은 유생들이 피해를 입고 변을 당하게 됩니다.
     
    사실상 이때를 시작으로 유교는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후한의 몰락의 첫 신호탄이라 할 수있는 황건적의 난을 시작으로 오랜 전란 속에서 많은 선비들은 당장 코앞에 닥친 전란과 기아 속에서 허덕이며 유교경전을 내팽개칠 수 밖에 없었고 더구나 이후 후한 말의 혼란을 틈타 집권한 조조가 탈유교적인 성격의 인물이었던 점 또한 한몫했습니다. 그래서 이 위진 남북조 시기에는 유교보다는 주로 불교나 도교가 도탄에 빠진 민중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비약적인 발전을 보였던 것이고요.  

    그러나 이러한 추세 속에서도 등한시 되는 유교를 붙들고 연구하는 학자들은 존재했습니다. 대표적인 이들이 바로 정현(鄭玄)이란 인물과 이 글의 주인공인 왕숙(王肅)입니다.
     
    7acb0a46f21fbe094a13d44769600c338744ad17.jpg
     
    정현
     
    정현으로 말할 것 같으면 뭐 연의에서는 유비가 노식과 정현에게 글을 배웠다카더라 식으로 무슨 동네 서당스승 이미지로 등장합니다만 실상은 당대 최고의 유학자이자 권위자로 일컬어지며 높은 식견으로 만인의 존경을 한몸에 받는 지성인이었습니다. 오랜세월 유교를 연구하며 많은제자들을 양성하여 정현학파라 불릴만큼 당시 유학의 주류학파로서 자리잡고 있었던 것인데, 왕숙은 정현학파와는 비교적 다른 입장을 취하는 반대학파였습니다.
     
     
    여기서 이 얘기를 조금이나마 수월하게 이해하기위해서는 정현과 왕숙이 학문의 연구를 두고 씨름을 벌인 원인인 유교경전의 해석방법들인 고문학/금문학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합니다. 근데 이것까지 다 세세하게 짚고 넘어가자면 머리 아프니 대강이나마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이렇습니다.
     
    먼저 고문학이란 과거 진(秦)나라 이전의 유교문헌들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하고 금문학이란 한(漢)대의 유교문헌들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근데 여기서 문제는 두 학문이 내놓는 해석이 각기 다르다더라는 데에 있었던 것인데요, 이는 과거 진시황이 분서갱유로 유교경전들을 깡끄리 불태워 버린 이후, 한대에 유교가 국교로 택해짐에 따라 유교경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비교적 후대인 한대에 유학자들이 편찬하여 내놓은 유교경전과 분서갱유에서 살아남아 전해진 진나라 시대 이전의 유교경전 원본들과 비교해보니 내용도 다르고 해석도 다르더라는 거죠. 그래서 여기서 논란이 불거지기 시작했던 겁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자면 정현은 경학연구의 양대 학문인 고문학/금문학을 두고 고문학을 주로 하되 금문학을 가끔 채용하여 경학을 해석했던 것에 비해 이 왕숙은 정현처럼 고/금문학 중 어느 한 학문을 택해 주장하고 연구했다기 보단 굳이 어느 특정 학문을 정해서 경학을 연구할 필요없이 고/금문학이건 뭐건 둘다 이용해서 경학을 연구하자라는 식의 실용적 입장에서 바라본 학문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원체 정현의 학파가 유학의 주류학파로서 입지가 굳건했던지라 왕숙의 이러한 주장은 정현학파에 밀려 묻히고 맙니다. 자신의 학문연구 방식을 주장하자니 정현의 학파에 비해 자신을 따른 학파의 배경도 규모도 협소했던 왕숙에게 자신의 학문을 입증할 찬스가 도래합니다.
     
     
    서기 249년, 당시 위나라의 실세가였던 황족 조상을 비롯한 그 일파가 정적 사마의의 쿠데타로 일거에 소탕되는 사건이 일어나니, 이를 일명 '고평릉 사변' 이라 부릅니다.
     
    1391051539sslu3zGQkj.jpg 
    사마의.
     
    1391053144l3X5kc3mQ.jpg
     
    조상.
     
     
    당시 왕숙은 사마의 세력 쪽 인물이었는데요, 이 고평릉 사변을 계기로 왕숙은 사마의 정권 하에서 고위직을 역임하게 됩니다. 또한 자신의 딸은 사마의의 차남이자 사실상 위(魏)를 멸하고 진(晉)을 세웠다고 볼 수있는 사마소와 혼인시켜 명실명백한 권력의 최정점에 서게 됩니다. 그리고 위에서 밝혔듯 그 손자는 무제 사마염이고요. 여기서 주목할 점은 왕숙 본인이 사마씨 정권 밑에서 종사하며 고위직에까지 올랐다는 것도 그렇지만 더불어 그의 학문사상도 사마씨들의 비호 하에 주목받기 시작했다라는 점입니다.
     
     
     
    이전에 사마씨 세력이 쿠데타로 집권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당시 위나라에서 유행하던 학문사상은 권력자 조상을 위시한 휘하 추종세력에게서 파생되어 나온 학문사상이자, 위진 남북조 시대의 주요 사상들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이른 바 '현학(玄學)' 이었는데요, 도교사상에 기초하여 기반을 두고 있다고는 하나 역시 경학의 한 부류이기도 했습니다.
     
    즉, 현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는 조상세력을 축출한 사마씨 세력도 마침 자신들도 자세력을 하나로 묶어줄 사상을 필요로 했던지라 여기서 왕숙의 학문사상, 일명 왕학(王學)이라 불리우는 학문을 택하고 적극 후원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왕숙 입장에서도 유학의 주류학파였던 정학(鄭學 : 정현학파)을 몰아내고 자신의 학문을 널리 퍼뜨릴 절호의 찬스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고요.
     
     
    사실 여기까지는 좋다 이건데, 다만 왕숙은 여기서 자신의 학자로서의 인생에 오명을 남길 짓을 저지르는데요, 바로 옛 유교경전들을 자신의 학문을 입증하기에 유리하게끔 일명 '주작' 질을 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그동안 정현의 학문이 유학의 주류로서 자리잡아 온데에는 그만큼 정현의 학문이 무결점 완벽이라고까지 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나름 확연하고 잘 정리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괜히 주류학파로서 군림해온게 아니라는거죠. 이건 정현처럼 고/금문학에 정통했던 왕숙 본인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을겁니다. 자신의 학문을 설파하자니 그동안 정학의 뿌리가 깊다는 걸 깨달은 왕숙은 차마 정현의 학문에 손대지는 못하겠고 아예 옛 유교경전들을 자신의 학문이 옳다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도록 경전을 조작하고 주를 달기로 했던 겁니다.
     
    뭐 결국에는 왕숙이 바라던 대로 '주작' 의 효과는 톡톡히 보게 됩니다. 무엇보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사마씨 정권의 적극적인 후원이 큰 몫을 해냈고 더불어 자신의 주작질로 왕숙의 학문, 즉 왕학은 이 당시 위나라의 최고위 학문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그리고 왕학 vs 정학의 구도는 훗날 남북조 시대에 이르러서도 계속됩니다. 북방의 북조(北朝)가 주로 정학을 유학의 주류로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에 비해 남방의 남조(南朝)는 왕숙의 학문을 택합니다. 하지만 주작질로 뜬 학문이 아무래도 오래갈 수는 없는 법이겠죠. 왕숙의 사상은 이렇다할 후계자도 없이 사실상 남조를 마지막으로 끝나게 됩니다.
     
     
     
     
    두서없이 횡설수설 적은지라 앞뒤문맥이 어색할 수도 있겠네요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4/02 01:29:33  61.82.***.8  소프대위  282904
    [2] 2014/04/02 01:38:11  113.131.***.130  ILoveCaRRier  479013
    [3] 2014/04/02 02:00:17  218.156.***.149  돛을올려라  536166
    [4] 2014/04/02 10:27:01  14.32.***.71  알아?  371518
    [5] 2014/04/02 11:15:25  58.225.***.106  거참..  29132
    [6] 2014/04/02 15:24:52  39.114.***.32  Nabu  12717
    [7] 2014/04/02 17:06:41  203.226.***.91  해가람  351298
    [8] 2014/04/02 17:18:17  210.115.***.211  춘일  498900
    [9] 2014/04/02 18:45:04  119.71.***.38  도똘레리아  532330
    [10] 2014/04/02 19:06:21  39.7.***.175  Nardien  429952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6
    요즘 일뽕 거하게 맞은 벌레하나가 창궐했던데 [72] 으리!으리! 14/05/28 21:33 37 10
    125
    중국이 마오쩌둥을 못놓는 이유는 뭘까요 [9] 캬캬오톡 14/05/28 00:30 44 3
    124
    생각해보면 후한만큼 기형적인 나라도 없는듯 합니다 [7] 캬캬오톡 14/05/27 20:29 76 2
    123
    베트남 패기의 시작.txt [27] 캬캬오톡 14/05/27 17:51 149 19
    122
    신라와 스키타이 관련 설은 학계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나요? [3] 캬캬오톡 14/05/17 09:18 66 1
    121
    아하 잡았다 요놈 이제보니 동일아이피로 분탕치는 분탕종자였구나? [4] 캬캬오톡 14/05/14 00:47 45 13
    120
    중국사에서 마이너한 국가 전량(前凉)에 대해 알아봅시다 - 2 [9] 캬캬오톡 14/05/13 16:45 58 11
    119
    중국사에서 마이너한 국가 전량(前凉)에 대해 알아봅시다 - 1 [5] 캬캬오톡 14/05/12 22:40 61 17
    118
    중국 사천지방은 유독 도교 색이 짙은 동네였던 것 같습니다. 캬캬오톡 14/05/05 22:30 38 3
    117
    하(夏)나라가 실재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4] 캬캬오톡 14/05/04 22:03 46 2
    116
    중국 신화에 대해 궁금한점 [1] 캬캬오톡 14/04/26 00:50 39 1
    115
    종회와 혜강 이야기.txt 캬캬오톡 14/04/25 17:13 53 6
    114
    저쪽 말대로 이 나라 사학계가 친일사관에 물들어 있다고하면 캬캬오톡 14/04/12 16:28 36 2/4
    113
    중국에서 살던 백인종 갈족에 관한 잡썰.txt [2] 캬캬오톡 14/04/11 00:44 91 5
    112
    유선은 개인의 능력이 탁월해서 암군소리 안듣는다기보단 캬캬오톡 14/04/09 13:27 72 2
    111
    중화요리에서 튀김 및 볶음요리 관해서 말인데요 캬캬오톡 14/04/09 01:02 34 2
    110
    중국에 대항한 베트남의 여성 지도자들 캬캬오톡 14/04/05 01:59 53 14
    109
    춘추전국시대를 한방에 설명해주는 짤.jpg 캬캬오톡 14/04/04 20:53 34 0
    권력을 통해 자신의 학문을 전파한 왕숙.txt [4] 캬캬오톡 14/04/02 01:27 54 3
    107
    갑골문 말입니다 캬캬오톡 14/03/30 01:12 31 4
    106
    신하들이 짱짱맨이었던 나라 동진(東晉) - 下 Belisarius 14/03/28 18:25 59 3
    105
    나폴레옹 휘하 부대에 맘루크라는 용병대가 있더군요 [1] Belisarius 14/03/28 12:03 59 1
    104
    5.18이 북한군이 개입해서 빚어진 사태라면 [2] Belisarius 14/03/16 09:52 114 0
    103
    간단하게 끄적여보는 중국 삼국의 문화.txt [5] Belisarius 14/03/15 23:54 64 6
    102
    환단고기가 정통사서니 위서가 아니라는 주장은 [4] Belisarius 14/03/14 09:11 78 4
    101
    조조가 사람들을 낚는 법.txt [3] Belisarius 14/03/12 23:53 80 5
    100
    신하들이 짱짱맨이었던 나라 동진(東晉) - 中上 Belisarius 14/03/12 20:44 40 3
    99
    신하들이 짱짱맨이었던 나라 동진(東晉) - 中 Belisarius 14/03/12 00:28 60 4
    98
    솔직히 여군징병이니 여군장교 폐지니 이런거 제쳐두고 Belisarius 14/03/11 20:24 53 0
    97
    신하들이 짱짱맨이었던 나라 동진(東晉) - 上 [1] Belisarius 14/03/11 18:49 75 6
    [1] [2] [3] [4] [5] [6] [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