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알아볼까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4-01-13
    방문 : 1360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581658
    작성자 : 알아볼까
    추천 : 2
    조회수 : 852
    IP : 119.56.***.81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3/16 21:41:16
    http://todayhumor.com/?sisa_581658 모바일
    외신, 능력도 없는 나태함만 드러난 박근혜의 대통령직 표류하고 있다


    뉴스프로에서 보기 -   https://thenewspro.org/?p=11083


    인터프리터, 박근혜의 대통령직 표류하고 있다 보도
    -변화나 개혁의 의지도, 능력도 없는 나태함만 드러나
    -대담한 조처 없으면 임시 대통령직으로 추락할 수도


    호주의 독자적이고 초당적인 싱크탱크인 로위국제정책연구소가 발행하는 매체인 인터프리터는 13일 ‘박근혜의 대통령직은 표류 중’ 이라는 강한 제목으로 부산대학교 정치학과 로버트 켈리 교수의 기고문을 기사로 실었다.


    참고 : 로버트 켈리 교수는 미 오하오이주립대 정치학 박사 출신으로 2008년부터 부산대 정외과 교수로 근무 있으며. 아시아 국제정치 전문가로 영국 BBC와 중국 CCTV, 알자지라 등에 출연하거나 글을 기고하고 있다.


    2014년 서울에서 열린 학술회의에서는 국내외 안보전문가 15명이 참석해 '통일 한국'이 중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에 미칠 긍정적 영향에 대한 견해와 연구 결과를 공유했습니다.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등이 주최한 영향력있는 학술 대회에 초청될 정도로 로버트 켈리 교수는 권위 있는 전문가 인듯 합니다.. 그런 전문가가 쓴 이 기사의 국제적 파급도 나름 엄청 나겠지요..)
     
    Screenshot_2015-03-16-21-29-07.png
    Screenshot_2015-03-16-21-27-29.png
    Screenshot_2015-03-16-21-26-18.png




    켈리 교수는 이 기사 도입부에서 박근혜의 대통령직을 “갈피를 잡지 못하고, 불투명하고 초점이 없다”고 평가했으며 “인사 논란과 스캔들은 이 행정부의 상징”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스캔들로 마비가 되고 변화를 이뤄낼 의지도, 능력도 없어 나태함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그저 “현 상황을 수호하고자 하는 특색 없고 우편향적인 인물”로 박근혜 대통령을 묘사하며, “대담한 조치들을 취하지 않는다면, 그녀의 대통령직은 임시직으로 추락”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켈리 교수는 박근혜의 문제점을 “대통령직에 출마한 방식과 대통령직을 수행한 방식 사이의 극명한 대조”에서 나온다고 분석했다. 박근혜는 선거에서 이기기 위해 인기 없던 전임 대통령의 신자유주의와 결별하고 사회민주의의를 표방하며 복지, 재벌 규제 등의 ‘경제 민주화’를 이루겠다고 약속했으나 실제로 박근혜가 속한 세력은 보수와 재계로서 개혁이나 변화가 아니라 현상유지를 원하기 때문에 공약을 실천할 의지도 능력도 없다고 그는 보았다.

    켈리 교수의 말에 따르면, 박근혜는 심지어 ‘창조 경제’조차도 “인가된 업체에 국가자금을 지원하는 식의 구태의연한 방식”으로 추진하고자 했다. 또한 박근혜의 ‘증세 없는 노인복지’의 공약은 빈말일 뿐이었고, 세월호 참사로 드러난 문제를 처리하는 일에 있어서도 박 대통령은 그저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이에 대해 비난을 받자 특징인 침묵으로 일관했다고 기사는 지적한다.

    기사는 남은 임기 3년 동안 박 대통령은 노력하지 않고 대충 임기를 때울 것으로 전망했으며, 그러다 “북한이 도발하기라도 하면 그녀의 지지율은 증가할 것이라고 비꼬았다. 켈리 교수는 온갖 문제들이 그녀의 임기 중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을 것이나, 안타깝게도 차기 대통령이 그 문제들을 떠안게 될 것이라 말하며 기사를 마무리 짓는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인터프리터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www.lowyinterpreter.org/post/2015/03/13/Park-Guen-Hyes-presidency-is-adrift.aspx?COLLCC=2925513746&COLLCC=3380174427

     

    Park Geun-Hye’s presidency is adrift

    박근혜의 대통령직은 표류 중

    13 March 2015 12:55PM, Robert E Kelly

    Park Geun-Hye has been president of South Korea for just over two years, with almost three still go, and the emerging consensus here (I’m writing from South Korea) is that her presidency is already adrift.

    박근혜가 지난 2년 남짓한 기간 동안 한국의 대통령으로 일하며 아직 거의 3년의 임기를 더 남겨두고 있는 가운데 현재 이곳(나는 한국에서 이 글을 작성하고 있다)에서 느껴지는 공통된 정서는 그녀의 대통령직이 이미 표류하고 있다는 것이다.

    It is not a catastrophe ? she is not the George W. Bush of Korea ? but it is flailing, opaque, and unfocused. Her administration’s endless staffing controversies and scandals have become emblematic. In January, after less than two years on the job, her approval rating had fallen below 30% ? an astonishing collapse so early in a presidency.

    그녀의 대통령직은 재난이라고 말할 정도는 아니지만 ? 박근혜는 한국의 조지 W. 부시는 아니다- 갈피를 잡지 못하고, 불투명하고 초점이 없다. 박근혜 행정부의 끝없는 인사 논란과 스캔들은 이제 이 행정부의 상징처럼 됐다. 임기 2년도 안된 지난 1월 그녀의 지지율은 30% 이하로 추락했다 ? 대통령 임기 중 이렇게 일찍 추락하는 것은 놀랄 만한 일이다.

    Park’s curious inactivity, due to both the paralysis of scandal, and her own apparent unwillingness or inability to push major change, is becoming increasingly obvious. Unless Park takes some bold steps soon, her presidency is likely to go down as a caretaker one. She is becoming a bland, centre-right defender of the status quo, guarding extant structures that may have served Korea well in the past but most agree need reform today.

    스캔들로 인해 마비가 된 데다가, 주요한 변화를 이루는 것에 대한 박 대통령 자신의 명확한 무의지, 혹은 무능력에 기인한 박 대통령의 이상할 정도의 나태함이 점점 명백해지고 있다. 박 대통령이 몇 가지 대담한 조치들을 취하지 않는다면, 그녀의 대통령직은 임시직으로 추락할 수도 있다. 그녀는 특색 없고 우 편향적인, 현 상황을 수호하는 인물이 되어가고 있으며, 과거에는 한국에 잘 맞았을지 모르나 지금은 대부분 사람들이 개혁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잔존하는 시스템을 지키려 하고 있다.

    Much of Park’s trouble stems from the obvious contrast between how she ran for president, and how she has governed. Her predecessor was an unpopular neoliberal conservative. In order to win, her campaign broke with that, running towards the social democratic centre. It claimed that a Park presidency would make the economy fairer (wealth inequality has becomea large issue in Korea lately), expand welfare state support, especially for the elderly, and discipline Korea’s largest corporations (the chaebol), who often act above the law (well-illustrated in the recent hubris of the so-called ‘nut rage’ chaebol scion). All of this was captured in the trendy phrase of Korean politics in 2012, ‘economic democratisation’.

    박근혜의 많은 문젯거리는 그녀가 대통령직에 출마한 방식과 대통령직을 수행한 방식 사이의 극명한 대조로부터 기인한다. 그녀의 전임자는 인기 없는 신자유주의적 보수주의자였다. 선거에서 이기기 위하여, 그녀의 선거운동은 신자유주의적 보수주의와 결별하고 사회민주주의적 중심을 향했다. 선거 캠페인에서 박근혜가 대통령이 되면 경제를 더 공평하게 할 것이며 (최근 한국에서 부의 불평등이 커다란 이슈가 되어왔다), 복지 국가 원조, 특히 노인에 대한 원조를 확대하고, 법 위에 자주 군림하는(소위 ‘땅콩 분노’ 재벌가 자녀의 최근의 오만불손함에서 잘 설명되는) 한국의 대기업들(재벌)을 규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모든 것들은 2012년 한국 정치의 트렌디한 문구, ‘경제 민주화’에 담겨있다.

    But Park’s domestic coalition has little interest in liberalising, social democratic change, and Park herself is very much a product of the conservative-industrial deep state of Korea. In one of the first posts I wrote for The Interpreter, I argued that she was unlikely to shake-up Korea because she comes from the very domestic coalition that benefits from the status quo.

    하지만 박근혜의 국내 연합세력은 진보화, 사회민주적 변화에 거의 관심이 없으며, 박근혜 자신이 바로 한국의 깊은 보수적 산업 상황의 산물이다. 인터프리터에 기고한 첫 번째 기사 중 하나에서, 나는 박근혜가 현상유지로 이득을 보는 바로 그 국내 연합세력 출신이기 때문에 그녀가 한국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Her father was an earlier dictator of Korea (Park Chung-Hee), strongly associated with both rapid growth and authoritarian politics. His policies helped create the chaebol (as rough Korean analogues to Japan’s earlier zaibatsu). Park the daughter has, unsurprisingly, not wandered far from this script. She has cracked down on the media and a left-wing party, and in her inauguration she promised another ‘miracle on the Han.’ (The Han River bisects Seoul, and the expression‍ ‘miracle on the Han’ is a self-congratulatory Korean coinage for the country’s rapid modernisation under her father.) But instead of desperately-needed reform of, say, education, child-care, trade policy, or corporate governance, she has offered more of the old technocratic-developmentalist recipe of her father, as if it is still 1975: five-year plans, government investment, more fetishising of the trade surplus, soft loans for the chaebol, and so on.

    그녀의 아버지는 빠른 성장과 독재정치 두 가지 다와 굳건히 연관되는 한국의 전 독재자 (박정희)였다. 그의 정치는 재벌(대충 말해서 예전 일본의 자이바츠와 비유되는)이 만들어지도록 도왔다. 당연하게도 박근혜는 아버지와 그다지 다르지 않은 행보를 보여왔다. 그녀는 언론을 탄압하고 좌파 정당을 해산시켰으며, 그녀의 취임사에서는 또 하나의 ‘한강의 기적’을 약속했다(한강은 서울 한가운데로 흐르는 강으로서,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은 박정희 통치 하에서의 빠른 근대화를 자축하는 의미로 만들어진 단어). 그러나 교육, 보육, 무역 정책, 기업 경영 같은 분야에 있어 절실히 필요한 개혁보다는 박근혜는 마치 지금이 여전히 1975년인 듯 자신의 아버지와 같은 구시대적 기술관료주의적이고 발전주의적인 정책을 더 내어놓았다: 5개년 경제 성장 계획, 정부 투자, 무역 흑자에 대한 집착, 재벌들을 위한 연화 차관 제공 등 같은 정책들이 바로 그 예들이다.

    But this is precisely what Park’s coalition wants.

    그러나 이것이 정확히 박근혜의 연합세력이 원하는 것이다.

    The chaebol have traditionally been closest to Korea’s conservatives and their central political objective for decades has been to fend off serious anti-trust action. And Park was always a curious (read: unlikely) figure to take on these elephants of old Korea which her father helped create. Besides big industry, her other large block of support is the elderly. The strongest correlation of voting for Park in 2012 was age. To elderly Koreans, the miracle on the Han and the chaebol are symbols of the glory days. For such voters, the concerns of modern liberalism ? such as specious media prosecutions for defamation, or the constitutional destruction of an elected political party ? are less pressing, or perhaps just par for the course (sure success) for a generation who remember Park Chung-Hee. Whereas young Koreans are deeply ambivalent about Park Chung-Hee because of the dictatorship, older Koreans are less so.

    재벌들은 전통적으로 한국의 보수주의자들과 가장 가까웠고 수십 년간 그들의 주된 정치적 목적은 심각한 독점금지 움직임을 막아내는 것이었다. 그리고 박 대통령은 자신의 아버지가 애초에 만들어내도록 도운 이런 옛 한국의 재벌들과 대결하기에는 언제나 이상한(적합하지 않은) 인물이었다. 대기업들뿐만 아니라, 그녀의 또 다른 커다란 지지 세력은 노년층들이다. 2012년 박 대통령의 득표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연령이었다. 노년층의 한국인들에게 한강의 기적과 재벌은 전성기 시절의 상징이다. 이 같은 유권자들에게 명예훼손 혐의를 적용하여 거짓으로 언론 매체를 기소하고 선거로 뽑힌 정치정당을 헌법적으로 파괴하는 것과 같은 신자유주의에 대한 우려는 별로 시급하지 않거나 혹은 박정희를 기억하는 세대에게는 어쩌면 정상적인 것일지 모른다. 젊은 층의 한국인들이 독재정치를 했다는 이유로 박정희에 대해 심하게 상반되는 감정을 가진 것에 비해, 노년층의 한국인들은 그런 경향이 덜 하다.

    With a coalition like this, it would have been amazing had Park pushed through modernising changes. She has occasionally tried to make the right noises. For example, she has called on Korea to become a ‘creative economy’, in recognition that the industrial chaebol represent a manufacturing past increasingly out of step with an information economy future. But unsurprisingly, she has sought to stimulate this the old-fashioned way ? with state-led monies for approved firms. This is hardly the way to create Silicon Valley in Korea; no one ever created a cool new gadget with a government bureaucrat looking over their shoulder.

    이러한 연합 세력과 함께 박 대통령이 근대화된 변화를 추진해냈다면 그것은 놀라운 일이었을 것이다. 그녀는 때때로 올바른 소리를 내려고 노력했다. 예를 들어, 그녀는 재계 재벌들이 정보화 경제의 미래에서는 점점 뒤떨어지는 제조업 시대의 과거를 표방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며 한국이 ‘창조 경제’ 국가가 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짐작했던 대로 그녀는 이를 인가된 업체에 국가자금을 지원하는 식의 구태의연한 방식으로 촉진하려고 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국에서 실리콘 밸리를 만드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아무도 정부 관료가 자신들의 어깨너머로 들여다보고 있는 가운데 멋지고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낸 적은 없다.

    And the list goes on: Park promised to expand the geriatric welfare state without raising taxes, which, not surprisingly, has proven impossible. Economic democratisation (reducing inequality, reining in the chaebol) is no longer even talked about in the press. Despite being the first female president, Park has done nothing to fix Korea’s crashing birth rate. Yet again unwilling to challenge Korean industry, she has not pushed for at-work daycare or maternity leave laws. After the Sewol ferry sank, Park proposed tepid reforms of the corporate mismanagement that led to the ferry being routinely overloaded and a threat to passengers. When criticised for the weak response, Park retreated into the opaque silence that has often characterised her administration.

    그리고 목록은 계속된다: 박근혜는 증세 없이 노인복지 제도를 확대할 것을 약속했지만, 놀랄 것도 없이 이는 불가능한것으로 드러났다. 경제민주화(불균형을 줄이고, 재벌의 고삐를 죄는것)는 심지어 더 이상 언론에서도 언급되지 않는다. 최초의 여성 대통령임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떨어지는 한국의 출산율을 개선하기 위해 한 일이 아무것도 없다. 또한 한국 재계에 대항하기를 꺼리며 그녀는 직장 탁아소나 출산휴가법을 추진하지도 않았다. 세월호 여객선 침몰 후 그 여객선에 일상적으로 과적을 일삼아 승객들을 위태롭게 했던 기업의 관리부실에 미온적인 개혁을 제안했다. 그러한 미지근한 대처에 대해 비난받자 박근혜는 종종 박근혜 정부의 특징이 되고 있는 이해하기 힘든 침묵으로 도피했다.

    Because her presidency will only last three more years, Park need not push much. She can coast, and should North Korea act out, her numbers will likely improve. Korea’s structural rigidities (rapid ageing, education conformity, ballooning consumer debt, and so on) will likely not boil over on her watch. But it is a shame to see all these serious problems kicked down the road to the next president.

    대통령 임기는 단지 3년 정도만 지속될 것이기 때문에 박근혜는 많이 노력할 필요가 없다. 대충 임기를 때우다가 북한이 도발하기라도 하면 그녀의 지지율은 증가할 것이다. 한국의 구조적인 경직성의 문제들(급속한 고령화, 교육에 대한 맹신, 부풀어 오르는 소비자들의 채무 등등)은 그녀의 임기 동안 끓어 넘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차기 대통령에게 이 모든 심각한 문제들이 떠넘겨지는 것을 보게 되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Photo courtesy of Flickr user Republic of Korea.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

    뉴스프로에서 영어, 스페인어 번역, 기사 작성, 홍보, 다큐 제작, 사진 등의 많은 분야에 재능을 기부해 주실(자원봉사) 인재들을 모십니다. 뜻을 가지신 여러분들의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지원하실 분은 본인 소개(전화번호, 주소 포함)와 함께 간단하게 지망하시는 동기를 아래 이메일 주소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연락처: [email protected]


    * 뉴스프로 페이스북, 트위터를 팔로우 해 주세요. 


    https://www.facebook.com/TheNewsPro


    https://twitter.com/thenewspro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3/17 02:54:13  68.35.***.239  그라뉴이  402010
    [2] 2015/03/17 20:59:40  150.242.***.9  indisunset  434770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4
    TEST 알아볼까 15/04/23 22:54 26 0
    193
    BBC, 외신 기자가 본 기이한 현장 ... [2] 알아볼까 15/04/23 22:53 91 10
    192
    <포토>, 페루에서 ‘패션 외교’ 펼쳐 [38] 알아볼까 15/04/20 22:32 222 11
    191
    영국 같았으면 어제 경찰 차벽 아주 박살 났을듯 [2] 알아볼까 15/04/19 14:53 142 2
    190
    외신 속보, 광화문 상황 사진 영상으로 상세 보도 [1] 알아볼까 15/04/19 12:28 168 10
    189
    세월호 광화문 집회, 경찰저지선 뚫고 청와대 앞도로 진입까지 [2] 알아볼까 15/04/18 20:39 267 17
    188
    뉴욕 타임스 -2015. 4.16일 - 오늘의 사진 알아볼까 15/04/17 23:30 113 7
    187
    세월호 1주기 상황과 보수 언론 방송의 거짓 보도 알아볼까 15/04/17 22:48 159 6
    186
    TEST 클릭 금지 알아볼까 15/04/15 20:35 27 1
    185
    BBC, 로이터 통신, 르몽드 등 세계 유력 외신들 세월호 특집 보도 [2] 알아볼까 15/04/14 21:26 27 50
    184
    뉴욕타임스 심층보도 : 한국의 세월호 참사, 일 년 후 [1] 알아볼까 15/04/13 22:53 31 6
    183
    박근혜…민감한 상황 때마다 해외 여행 하는 이유 ??? [4] 알아볼까 15/04/12 18:49 150 5
    182
    속보 ㅣ 서울 도심, 광화문 종로 종각 현재 상황 알아볼까 15/04/11 21:12 91 7
    181
    전세계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경제 전문지, 세월호 유가족 심층 인터뷰 알아볼까 15/04/10 19:37 125 3
    180
    KBS 이거 완전 미친 방송국인듯... 외국방송국이 한국 상황 상세보도 [2] 알아볼까 15/04/06 20:00 384 16
    179
    세월호 유가족들은 진실을 요구하고, 박근혜 정부는 회피한다 알아볼까 15/04/05 12:52 28 6
    178
    세월호 유가족을 대하는 박근혜 정부 경찰 실상 외신에서 보도 [1] 알아볼까 15/03/31 00:26 55 15
    177
    꿈에서라도 보고픈 동생, 팽목에서 광화문까지 3보1배 행진중 세월호 누나 [31] 알아볼까 15/03/27 23:54 43 16
    176
    북-중 접경지대 현지취재 기사 [2] 알아볼까 15/03/20 22:33 48 1
    175
    주 4일 근무제 실시하는 치과병원 원장 이야기 [1] 알아볼까 15/03/17 20:44 41 5
    외신, 능력도 없는 나태함만 드러난 박근혜의 대통령직 표류하고 있다 알아볼까 15/03/16 21:41 137 2
    173
    뉴욕타임스, 미 대사 공격 김씨에 국가보안법 고려, 박근혜 정부에 직격탄 [2] 알아볼까 15/03/10 21:31 226 17
    172
    KBS MBC SBS 침묵- 이명박 구속 박근혜 퇴진 시위, 외신 보도 [3] 알아볼까 15/03/01 11:08 324 18
    171
    다시 타오르는 대선부정 투쟁- 이명박 구속,박근혜 퇴진 시위 [외신 자료 알아볼까 15/02/28 22:32 104 5
    170
    뉴욕 타임스ㅣ한국의 정치는 국정원을 둘러싼 스캔들로 인해 마비돼있다 [1] 알아볼까 15/02/21 21:22 114 10
    169
    CNN, 부산 기장군 연화리의 특산 전복죽등 해산물 요리 소개 보도 알아볼까 15/02/20 19:00 102 5
    168
    팽목항 도보행진... 한국 주요방송들은 이젠 보도 외면... [35] 알아볼까 15/02/15 14:42 28 19
    167
    CNN 방송, 세월호 참사 실종자 가족의 슬픔 보도 [1] 알아볼까 15/02/07 11:32 29 11
    166
    알자지라 방송 “한국인들은 왜 거리로 나서지 않나” [4] 알아볼까 15/02/05 21:24 174 12
    165
    주진우 김어준 무죄 판결 후 MIT 공대 노엄 촘스키 교수 방문기 [3] 알아볼까 15/01/23 22:39 90 15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