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엘랑™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5-05-10
    방문 : 437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cience_51382
    작성자 : 엘랑™
    추천 : 6
    조회수 : 969
    IP : 218.232.***.147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6/18 10:51:24
    http://todayhumor.com/?science_51382 모바일
    혜성 탐사선 - 로제타, 필레 스토리.
    옵션
    • 창작글
    <p><span style="font-size:10pt;">2014년 11월에 ESA(유럽우주국)의 혜성 탐사선 - 로제타, 필레가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도착하였습니다. 로제타와 필레는 모선/착륙선으로, 탐사선인 로제타에 탑재된 필레 착륙선 커플입니다.</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span style="font-size:10pt;"></span></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4592222iAotsDxvO8VP5NJgw.jpg" width="740" height="555" alt="1.jpg" style="border:none;"></div> <p></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 로제타 탐사선에서 분리되어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착륙하는 필레 착륙선 - 이미지 : ESA ]</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로제타/필레 탐사선은 2004년 3월 3일에 적도상에 있는 기아나 우주기지에서 유럽연합의 아리안5G+ 로켓으로 발사되었습니다. 아리안5G+ 로켓은 정지위성천이궤도(GTO)에 7.1톤의 페이로드를 운반할 수 있는 대형로켓으로, 로제타(2.9톤)/필레(0.1톤)를 제2우주속도 이상으로 가속시켜서 지구중력권을 벗어나게 할 수 있었습니다.</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은 지구-화성의 중간지점과 목성 살짝 바깥쪽의 긴 타원궤도를 6.5년 주기로 돌고 있는 비교적 짧은 주기의 혜성입니다. 머나먼 카이퍼벨트 바깥쪽에서 접근하는 혜성들이 수십~수백년 주기인 것에 비하면 탐사하기에 좋은 궤도인 셈이죠.</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자~ 이렇게 말로만 로제타/필레 탐사선이 어떻게 혜성에 도달하는지 설명하기 보다는 한방에! 영상자료로 보는게 훨씬 좋습니다. 친절한(?) ESA에서는 홍보와 교육 목적으로 아주 쉽게 다양한 영상자료를 만들었기에 우주에서 행성간 항행궤도역학에 대해 이해하기 쉬운 희귀한 자료가 됩니다. 꼭!! 보세요.</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 align="left"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4pt;"><b>=> 로제타/필레 탐사선의 항행궤적 : <a target="_blank" href="http://sci.esa.int/where_is_rosetta/" target="_blank" class="con_link">http://sci.esa.int/where_is_rosetta/</a></b></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459222295bQMvxxxnMto.jpg" width="740" height="487" alt="2.jpg" style="font-size:13.3333330154419px;line-height:18.1818180084229px;text-align:left;border:none;"></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위 링크된 ESA의 웹페이지에 들어가면 태양계 지도와 움직이는 행성들의 그림, 그리고 로제타 탐사선과 혜성이 움직이는 궤적이 나옵니다. 마우스 오른쪽/왼쪽 버튼과 휠을 조작하면 태양계가 입체적으로 움직이면서 시점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링크를 관람하시면 아마도.... "아니? 왜 저렇게 빙빙 돌아서 가는거지? 한번에 가는거 아니었나?" 이런 생각이 드실겁니다. 하지만 태양계의 행성들은 공전하고 있기에 저런식으로 포물선/타원궤도를 그리면서 행성간 여행이 가능합니다. 지구에서 화성으로 갈때도 현재 지구가 있는 곳에서 거의 태양 반대편쪽을 넘어서야 화성에 도달할 수 있는거죠.</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그런데 로제타/필레 탐사선은 일반적인 행성들처럼 안정적인 원형궤도를 돌고 있지 않은 큰 타원궤도의 혜성에 접근해야 하므로 지구에서 출발하면 혜성과의 상대속도차이와 궤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매우 큰 가속도가 필요합니다. 현재 인류가 가지고 있는 화학연료식로켓으로는 도저히 낼 수가 없는 가속도죠. 그래서 행성들의 중력을 훔치는 스윙바이(Swing-by)라는 항해법을 적극 사용합니다.</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b><span style="font-size:11pt;">=> 스윙바이란? : </span><span style="font-size:11pt;"><a target="_blank" href="http://blog.naver.com/chsshim/50157852926" target="_blank" class="con_link">http://blog.naver.com/chsshim/50157852926</a></span></b></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로제타/필레는 지구를 출발한 뒤에 차츰 궤도를 변경하면서 지구를 3번, 화성 1번의 스윙바이를 통해 목표지인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도달합니다. 특히 화성 스윙바이시에는 화성 표면에서 고작 250km 고도까지 접근했는데 이때 화성에 태양이 가려져서 태양패널로 전력을 공급하는데 위태롭기도 했습니다.</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로제타 탐사선은 혜성에 도달하는 중간에 2867 Šteins, 21 Lutetia 두 소행성에 근접해서 별도의 탐사활동도 벌였습니다.</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아무튼 2014년 8월에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접근해서 같은해 11월에 필레 착륙선을 투하합니다. 이 과정을 ESA에서 제작한 아동 홍보용 애니메이션으로 한번 감상하시죠. (영문자막을 켜고 보시면 됩니다)</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div><object width="720" height="405" data="https://www.youtube-nocookie.com/v/33zw4yYNGAs?version=3"><param name="allowScriptAccess" value="never"><param name="allowNetworking" value="internal"><param name="movie" value="https://www.youtube-nocookie.com/v/33zw4yYNGAs?version=3"><param name="allowFullScreen" value="true"><embed src="https://www.youtube-nocookie.com/v/33zw4yYNGAs?version=3"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720" height="405"></object></div> <p><span style="font-size:9pt;">- 유투브 링크 : </span><font color="#0000ee"><u><a target="_blank" href="https://youtu.be/33zw4yYNGAs">https://youtu.be/33zw4yYNGAs</a></u></font></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애니메이션에서 보여줬듯, 필레 착륙선은 불행히도 목표로 했던 안정적인 착륙지점에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고 튕겨져 나가서 두차례 더 착륙시도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안착한 지점이 하필 태양빛이 제대로 비추지 못하는 그늘진 곳이라 전력을 충전하지 못해서 필레 탐사선은 짧은 시간만 활동하고 가사상태에 들어갑니다.</span></p> <p><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10pt;">소행성이나 혜성은 행성에 비하면 매우 질량이 작기 때문에 극히 미약한 중력만 존재합니다. 그래서 혜성의 지표면에 착륙(?) 한다는 개념보다는 우주선끼리 도킹하는 개념에 더 부합합니다. 소행성이나 혜성 탐사선들은 지표면 근처에서 배의 닺과 비슷한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붙어있게 됩니다.</span></p> <p><br></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4592222vLwpszOL.jpg" width="615" height="409" alt="3.jpg" style="font-size:13.3333330154419px;line-height:18.1818180084229px;text-align:left;border:none;"></p> <p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span style="font-size:9pt;">[ 필레 착륙선의 3단 착지 - 이미지 : <a target="_blank" href="http://www.mirror.co.uk" target="_blank" class="con_link">www.mirror.co.uk</a> ]</span></p> <p align="left"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9pt;"><br></span></p> <p align="center"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필레 착륙선은 절반의 성공만 거두고 제대로 된 혜성 표면 관측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필레가 다시 전력을 충전하여 부활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예측되었는데요, 그동안 조금씩 햇빛을 모아 충전하여 다시금 데이터 전송이 이뤄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력량은 여전히 부족하여 완벽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지는 두고 봐야겠네요.</span></p> <p align="center"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 align="center"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필레의 전송데이터는 로제타 탐사선이 중계하여 지구로 전송합니다. 그리고 혜성의 궤도가 2015년말을 지나면 지구에서 크게 멀어지기 시작하므로 로제타/필레의 혜성탐사가 가능한 기간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span></p> <p align="center"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 align="center"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미국을 제외한 나라들에서 소행성이나 혜성 탐사는 흔히 자국(또는 연합)의 우주과학기술력을 과시하고, 대중에게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마케팅의 의미도 강합니다. 일본의 하야부사 소행성 탐사선은 탐사과정이 불굴의 의지로 미화되면서 전 일본인들에게 우주과학에 대한 관심도를 높였습니다. ESA의 로제타/필레 역시 그러한 관점이 큽니다.</span></p> <p align="center"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br></span></p> <p align="center" style="text-align:left;"><span style="font-size:10pt;">우리나라는 2020년대에 달탐사선과 달탐사로보 계획이 잡혀있습니다. 워낙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우주과학기술에 결과물로 국민들에게 소개하기 좋은게 달탐사죠. 우주과학기술이 꼭 달탐사로 국한되는건 아닙니다만, 대중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소재는 몇개 안되기 때문이죠. 하지만 현재 상황을 보면 너무나 홍보와 마케팅에 있어서 최악의 상황입니다. 오히려 국민 다수는 달탐사를 신4대강 사업으로 치부할 정도죠. 정부와 관련기관들은 대국민 홍보를 좀 더 체계적으로, 교육적으로 실시해서 21세기를 제패할 가장 중요한 우주과학기술에 대한 국가적 투자의 국민적 이해와 지지를 구해야 할겁니다.</span></p>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6/18 11:32:45  165.132.***.34  통닭실종사건  501972
    [2] 2015/06/19 05:13:06  175.195.***.30  코뿔소고기  526356
    [3] 2015/07/12 22:06:41  117.111.***.160  로이에  409448
    [4] 2015/08/09 17:23:31  121.129.***.196  시리야  588039
    [5] 2015/08/09 21:05:53  180.227.***.75  카운슬러〆  319402
    [6] 2015/09/02 14:31:38  126.255.***.146  멋진봉이  399555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
    스페이스X 팰컨9 FT의 1단 재착륙 상세설명. [10] 창작글 엘랑™ 16/01/10 21:28 59 12
    90
    아폴로 계획에 대해 잘못 알려진 몇가지 사실들. [16] 엘랑™ 15/08/09 12:50 96 16
    89
    아폴로 우주선은 진짜로 달에 다녀왔을까? [5] 창작글 엘랑™ 15/08/08 09:08 125 16
    88
    뉴호라이즌스가 촬영한 데이터를 몽땅 지구로 전송하려면... [22] 엘랑™ 15/07/17 16:09 95 11
    87
    지구 내부로 들어가면 중력은 이렇게 된다네요. [7] 엘랑™ 15/07/16 13:05 131 9
    86
    그림으로 보는 우리 태양계와 알파센타우리 까지의 거리 [4] 엘랑™ 15/07/15 12:17 133 6
    85
    뉴호라이즌스의 명왕성 사진은 언제쯤 도착하나? [5] 엘랑™ 15/07/14 22:32 88 7
    84
    뉴호라이즌스의 명왕성 데이터는 금년중엔 전부 전송받지 못한단;; [3] 엘랑™ 15/07/14 21:14 127 6
    83
    명왕성, 카론의 최신 이미지 [3] 엘랑™ 15/07/14 12:07 122 16
    82
    명왕성과 카론의 최근 이미지 비교. [1] 엘랑™ 15/07/13 10:12 95 5
    81
    유승민과 이회창, 묘한 싱크로율. [4] 엘랑™ 15/07/07 16:18 120 0
    80
    유승민을 둘러싼 여-야간 미묘한 시각차이 ㅋㅋ 엘랑™ 15/07/07 11:01 135 1
    79
    스페이스X 로켓발사 실패, 새로운 우주전쟁의 시작? [2] 엘랑™ 15/07/01 11:21 50 14
    78
    우주로켓의 궤적을 비교적 상세히 설명하는 영상 (YouTube) [3] 엘랑™ 15/06/30 11:19 45 1
    77
    스페이스X 팰컨9 V1.1 CRS-7 실패 (간략설명) [11] 엘랑™ 15/06/28 23:53 58 10
    76
    아폴로 달착륙 음모론의 대표적인 허구.txt [2] 엘랑™ 15/06/26 12:26 83 12
    75
    망사 게시판 기능이 15년만에 파격적으로 업글되었네요 ㅋㅋ [4] 엘랑™ 15/06/24 10:49 70 0
    74
    왜 과학기술보다 IT가 상위개념일까? [6] 엘랑™ 15/06/20 20:59 53 1
    혜성 탐사선 - 로제타, 필레 스토리. 창작글 엘랑™ 15/06/18 10:51 50 6
    72
    우주 종말에 관한 유력한 가설중 3개. [1] 엘랑™ 15/06/14 22:21 65 8
    71
    아이작 아시모프 단편소설 - 최후의 질문 [2] 펌글 엘랑™ 15/06/14 22:14 42 7
    70
    궁극의 우주항법 - 중력을 훔치자, 스윙바이~ [4] 엘랑™ 15/06/13 09:46 100 12
    69
    리들리 스콧의 화성인 (The Martian) 트레일러 공개. [6] 엘랑™ 15/06/09 18:08 51 3
    68
    DRC 2015에서 카이스트 HUBO가 우승한 비결 (동영상) [9] 엘랑™ 15/06/08 21:40 63 5
    67
    메르스 치사율이 독감에 비해 별거 아니라는 시각.txt [2] 엘랑™ 15/06/05 12:33 566 2
    66
    우주 엘리베이터는 과연 가능할까? [44] 엘랑™ 15/06/01 20:25 95 14
    65
    비행기, 기구에서 우주로켓을 쏘는것이 가능한가? [13] 엘랑™ 15/06/01 13:28 91 13
    64
    오유 과징어를 위한, 우주로켓의 스펙 쉽게(?) 이해하기. [1] 엘랑™ 15/05/31 22:05 52 14
    63
    스페이스X를 위협하는 블루오리진의 뉴세퍼드 로켓 시험발사. [16] 엘랑™ 15/05/31 21:30 57 13
    62
    여시 애들은 왜 자필 사과문 써서 인증하는거죠? 유행인가? [12] 엘랑™ 15/05/31 00:22 122 0
    [1] [2] [3] [4] [5]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