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복소기하학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6-08-01
    방문 : 115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757944
    작성자 : 복소기하학
    추천 : 1
    조회수 : 1310
    IP : 211.49.***.241
    댓글 : 1개
    등록시간 : 2016/08/31 22:59:19
    http://todayhumor.com/?sisa_757944 모바일
    혐) 교보, 알라딘, Yes24 인터넷서점 편집부에서 추천하는 책
    옵션
    • 펌글
    <img src="http://i.imgur.com/uOAUI7C.jpg" alt="" filesize="98029"><div><img src="http://i.imgur.com/X7vQMOB.jpg" alt="" filesize="228817"></div> <div><img src="http://i.imgur.com/T8YMppN.jpg" alt="" filesize="522658"></div> <div><div class="p_tit" style="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 <h1 style="margin:0px 0px 6px;padding:0px;font-size:12px;font-weight:normal;"><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d_t50.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531"></h1></div>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line-height:20px;"><strong style="font-size:9pt;">"’남</strong><strong>자답게, 여자답게’에서 ‘인간답게’로"</strong><br>성평등지수가 145개 나라 가운데 115위인 나라에서 남자라 살기 힘들고 불편하다는 이야기가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에서 한국 사회의 20대를, <진격의 대학교>에서 기업의 노예가 된 한국 대학을 비판적으로 살펴본 사회학자 오찬호가 이번에는 자신을 포함한 한국 남성에 주목한다. <br><br>당연히 개별 남성을 드러내 면박을 주려는 게 아니라 ‘남자답게, 여자답게’라는 ‘이분법적 망상’이 어떻게 내면화되었는지 그리고 날로 심화되는 경쟁과 불안정한 노동 시장에서 이런 구도가 어떻게 강화되는지 돌아보자는 제안이다. 그는 최근 시급한 사회 문제로 대두된 여성혐오를 “한국 사회의 이상한 ‘남자다움’을 맹목적으로 강요받았던 누군가가 ‘여자다움’에 길들어져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 불만을 느껴 ‘인간다움’을 넘어선 행동”이라 정의하고,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 자는 시민이 아니”라고 선을 긋는다. '남자답게, 여자답게'를 넘어 '인간답게' 살기 위한 태도와 방향은 너무나 분명하고, 우리 모두가 남자와 여자 이전에 인간이라는 건 다시 말하지 않아도 너무나 확실한 사실이다. <div style="text-align:right;width:710px;color:#c16f82;">- 사회과학 MD 박태근 (2016.07.29)</div> <div class="npd_pspace" style="clear:both;padding:25px 0px;"></div></div><a style="color:#333333;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a><span style="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span> <div class="p_tit" style="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 <h1 style="margin:0px 0px 6px;padding:0px;font-size:12px;font-weight:normal;"><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d_t05.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308"></h1></div>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line-height:20px;"> <div style="padding:10px 0px;"><a style="color:#333333;">저자는 한국 남자를 이해하는 코드로 군대와 학교 교육,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Male breadwinner model, 남자가 생계를 책임지고 여자는 이를 지원하는 가족 모델)을 꼽는다. 권위주의와 경쟁주의 문화에 절어 있는 학교 그리고 폭력, 명령, 복종만이 절대 진리인 군대를 거치면서 남자(sex, 생물학적 성의 개념)는 점점 남성(gender, 사회적 성)으로 변해간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이다. <br><br>그 결과는 소통 능력과 공감 능력의 상실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는 ‘약자를 공격하는 남성들의 집단 세력화(예컨대 일베나 소라넷 등등), 약자에 대한 혐오 범죄, 결혼율과 출산율의 현격한 저하에 따른 인구 감소’라는 심각한 사회문제와 결코 무관치 않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br><br>또한 저자는 우리가 상식처럼 믿고 있는 성에 대한 개념들이 얼마나 사회.문화적인 편견으로 가득 차 있는지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 왜 여성을 비하하는 단어는 주기적으로 유행하는지, 논개는 왜 기생이라고 알려졌으며 성조차 불리지 않는지, 술집이나 식당에서는 왜 “이모~”라고 부르는지 등등 사회 다방면에서 벌어지는 사회현상 이면에 깔려 있는 성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풀어헤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br><br>해외 학자의 연구 결과나 이론을 토대로 인용 및 첨삭을 한 저작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주로 저자의 삶과 연구 과정, 다시 말해 직접 경험을 통해 길러낸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 현실을 다룬 여러 사회 비평서 및 페미니즘 도서를 기반으로 삼고 있다. 저자가 향하고 있는 비판의 대상에 저자 자신을 포함시키는 매우 성찰적인 애티튜드 역시 독자에게 큰 울림을 준다.</a></div><a style="color:#333333;"> </a> <div class="npd_pspace" style="clear:both;padding:25px 0px;"><a style="color:#333333;"></a></div><a style="color:#333333;"> </a> <div class="p_tit"><a style="color:#333333;"> </a> <h1 style="line-height:50px;margin:0px 0px 6px;padding:0px;font-size:12px;font-weight:normal;"><a style="color:#333333;"><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d_t06.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228"></a></h1><a style="color:#333333;"></a></div><a style="color:#333333;"></a>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a style="color:#333333;"></a> <div><a style="color:#444444;"> </a> <p><a style="color:#444444;"><b>추천의 글</b> 내가 마초라는 걸 깨닫는 순간, 천지가 개벽한다! -서민(기생충 박사, 칼럼니스트) <br><b>PROLOGUE</b> 약자의 삶이 익숙지 않은 한국 남자의 딜레마 <br><br><b>Ⅰ. HEAD 머리____“내가 배워야 할 건 군대에서 다 배웠다”</b><br>왜 ‘군대’는 금기어가 되었나? <br>군대 다녀오길 정말 잘했구나 <br>우리는 복종에 찬성합니다 <br>내가 배워야 할 건 군대에서 다 배웠다 <br>괴물과 싸우면서 괴물이 되는 남자들 <br>예비군 훈련과 민방위 훈련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 <br><br><b>Ⅱ. HEART 가슴____“나처럼 좋은 남자도 없어”</b><br>‘개저씨’는 혁명의 단어다 <br>한국 남자들에겐 ‘배신의 DNA’라도 있단 말인가? <br>수치심과 폭력을 견디며 남성이 되어가다 <br>남자는 왜 쓸데없이 당당해서 화를 자초할까? <br>초등학교 여교사가 신붓감 1순위인 것은 사실이잖아요! <br>누가 ‘김 여사’의 운전을 욕하는가 <br>남편은 왜 명절 때만 되면 가부장이 될까?<br>예쁜 여자 앞에서만 초능력을 발휘하는 남자 <br>옷을 그렇게 입고 다니니까 성추행을 당하지 <br>나처럼 좋은 남자도 없어 <br>남자들은 원래 그래 <br><br><b>Ⅲ. SHOULDER 어깨____ “남자로 살기 너무 힘들어”</b><br>남자로 살기 너무 힘들어 <br>나는 왜 여학생들을 더 좋아했을까? <br>회사에 남자가 많은 건 다 이유가 있다니까 <br>절대자의 성은 과연 남성일까? <br>누가 논개를 기생이라 말하는가 <br>나쁜 속담들이 없었다고 상상해보자 <br>요즘 젊은 엄마들이 정말 문제라니까! <br><br><b>Ⅳ. BACK등____“내가 여자한테까지 무시당해야 돼?”</b><br>동네북이 되어버린 여자들 <br>여성 흡연자들이 예의가 바른 이유 <br>술집에서는 왜 ‘이모~’라고 부를까? <br>왜 누나는 남동생의 밥을 챙기는 걸까? <br>아침 드라마가 막장으로 가는 특별한 법칙 <br>남자의 호구로 사는 여자들 <br>기도밖에 할 게 없는 여자들 <br><br><b>EPILOGUE</b> ‘남자답게, 여자답게’는 이제 지겹지 않니? <br><b>감사의 글</b> <br><b>주</b></a></p><a style="color:#444444;"></a></div></div> <div class="npd_pspace" style="clear:both;padding:25px 0px;"></div> <div class="p_tit"><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d_t07.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vertical-align:middle;" alt="" filesize="721"><div class="button_none" style="text-align:center;display:inline-block;padding:0px;vertical-align:middle;border:0px;overflow:hidden;float:right;"><a class="button_small" href="http://www.aladin.co.kr/shop/common/wbook_talktalk.aspx?ISBN=K172535792&CommunityType=Underline" style="color:#444444;font-size:11px;line-height:18px;display:block;white-space:nowrap;padding:2px 7px 1px 8px;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img border="0" alt=""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tn_more3.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0px 0px 2px;" filesize="104"></a></div></div>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 <div><a style="color:#444444;"><strong>P.19</strong> : 약자로서 살아가는 것에 익숙지 않았던 이들은 ‘약자인 줄만 알았던’ 여자가 자신과 동급 혹은 그 이상의 권력을 가지는 걸 도무지 받아들이지 못한다. 남자 상사가 욕을 하면 “그 인간, 성질 한번 더럽네” 하고 넘어가지만, 여자 상사가 욕도 아니고 조금만 강압적인 태도를 보여도 “여자가 나를 무시하네”라는 놀라운 발상을 하게 된다. <br><br></a><a style="color:#444444;"><img border="0" alt=""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tn_close2.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0px 0px 2px;" filesize="97"></a></div></div>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strong>P.70</strong> : 확실한 건 남자들은 군대를 증오하는 만큼 옹호한다는 것이다. 아니 그래야만 한다. 국가가 이 증오의 원인을 해결해주지 않으니 이것만이 유일한 심리적 치유 아니겠는가. <br><br></div>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img src="http://www.aladin.co.kr/img/img_content/K172535792_01.jpg" border="1" vspace="10"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1497285"><br clear="left"><br></div> <div class="npd_pspace" style="clear:both;padding:25px 0px;"></div> <div class="p_tit"> <h1 style="line-height:50px;margin:0px 0px 6px;padding:0px;font-size:12px;font-weight:normal;"><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d_t08.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299"></h1></div><span> </span>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 <div style="float:left;margin-right:5px;"><span class="p_nonunder"><strong>서민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서민의 기생충 열전》 저자)</strong></span> <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let_dropdown.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332"> <br></div><strong>:</strong> <b>내가 마초라는 걸 깨닫는 순간, 천지가 개벽한다!</b> <br>자신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글들이라 그런지 생생하고 가슴에 와 닿습니다. 게다가 이 책에는 제가 오 선생님을 좋아하는 이유가 잘 나와 있습니다. 수시로 사이다 같은 깨달음을 전해준다는 것이지요. ……(중략)…… ‘남자로 태어나서 힘들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이 책을 읽는 게 쉽지 않으실 겁니다. 그럼에도 저는 바로 그런 분들을 비롯하여 전보다 더 많은 남성들이 이 책을 읽으면 좋겠습니다. 이 책을 읽고 느끼는 불편함이 크면 클수록 자신이 ‘마초’로 살아왔다는 얘기고, 지금 이 시대에 마초는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니까요. 자신이 마초였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에야 변화의 가능성이 생기게 마련입니다.</div><span> </span> <div>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div>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 <div style="float:left;margin-right:5px;"><span class="p_nonunder"><strong>동아일보</strong></span> <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let_dropdown.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332"> <br></div> - 동아일보 2016년 7월 30일자 '책의 향기'</div>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 <div style="float:left;margin-right:5px;"><span class="p_nonunder"><strong>한겨레 신문</strong></span> <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let_dropdown.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332"> <br></div> - 한겨레 신문 2016년 7월 28일자</div> <div class="npd_pspace" style="clear:both;padding:25px 0px;"></div></div> <div style="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overflow:visible;"></div> <div class="p_tit" style="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 <h1 style="margin:0px 0px 6px;padding:0px;font-size:12px;font-weight:normal;"><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d_t09.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596"></h1></div>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line-height:20px;"> <div class="p_file"> <ul style="list-style:none;margin:0px;padding:0px;"><li style="list-style:none;margin:0px;padding:7px 0px;height:auto;"><span class="p_bigfont p_blbl" style="color:#396ea4;font-size:14px;"><strong>저자 : </strong></span><a target="_blank" href="http://www.aladin.co.kr/author/wauthor_overview.aspx?AuthorSearch=@2815470" class="p_larfont" style="color:#333333;text-decoration:none;font-size:14px;" target="_blank"><strong>오찬호 </strong></a>  <div class="button" style="text-align:center;display:inline-block;padding:0px;vertical-align:middle;border:1px solid rgb(158,158,158);overflow:hidden;"><a class="button_small" href="http://www.aladin.co.kr/author/wauthor_overview.aspx?AuthorSearch=@2815470" style="color:#444444;font-size:11px;line-height:18px;display:block;white-space:nowrap;padding:2px 7px 1px 8px;text-decoration:none;" target="_blank">저자파일</a></div>  <div class="button" style="text-align:center;display:inline-block;padding:0px;vertical-align:middle;border:1px solid rgb(158,158,158);overflow:hidden;"><a class="button_small" style="color:#444444;font-size:11px;line-height:18px;display:block;white-space:nowrap;padding:2px 7px 1px 8px;">최고의 작품 투표</a></div>  <div class="button" style="text-align:center;display:inline-block;padding:0px;vertical-align:middle;border:1px solid rgb(158,158,158);overflow:visible;"><a class="button_small" style="color:#444444;font-size:11px;line-height:18px;display:block;white-space:nowrap;padding:2px 7px 1px 8px;">신간알리미 신청</a></div></li></ul></div> <table width="100%" cellspacing="0" cellpadding="0" style="border:0px;color:#3e3e3e;font-size:12px;line-height:18px;"><tbody><tr style="padding:0px;margin:0px;text-align:center;"><td width="143" valign="top" style="padding:0px;margin:0px;text-align:left;line-height:20px;"> <div class="p_filethum" style="border:1px solid rgb(229,229,229);padding:3px;margin-right:15px;"><img src="http://image.aladdin.co.kr/author/photo/2815470/2815470_1.jpg" width="120"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52915"></div></td> <td valign="top" style="padding:0px;margin:0px;text-align:left;line-height:20px;">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style="border:0px;color:#3e3e3e;font-size:12px;line-height:18px;"><tbody><tr style="padding:0px;margin:0px;text-align:center;"><td width="56" valign="top" style="padding:0px;margin:0px;text-align:left;line-height:20px;"><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p_dot.gif" align="top" style="border:none;margin:5px 0px 0px;padding:0px;" alt="" filesize="44"> 최근작 :</td> <td valign="top" style="padding:0px;margin:0px;text-align:left;line-height:20px;"><a target="_blank" href="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K172535792" class="np_bfpm2" style="color:#396ea4;text-decoration:none;font-size:1em;font-family:'돋움';" target="_blank"><그 남자는 왜 이상해졌을까?></a>,<a target="_blank" href="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K182535880" class="np_bfpm2" style="color:#396ea4;text-decoration:none;font-size:1em;font-family:'돋움';" target="_blank"><대통령을 꿈꾸던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a>,<a target="_blank" href="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6000849723" class="np_bfpm2" style="color:#396ea4;text-decoration:none;font-size:1em;font-family:'돋움';" target="_blank"><이따위 불평등></a>… 총 10종 <a class="np_bfpm2" href="http://www.aladin.co.kr/author/wauthor_product.aspx?AuthorSearch=@2815470" style="color:#396ea4;text-decoration:none;font-size:1em;font-family:'돋움';" target="_blank">(모두보기)</a></td></tr><tr style="padding:0px;margin:0px;text-align:center;"><td width="56" valign="top" style="padding:0px;margin:0px;text-align:left;line-height:20px;"><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p_dot.gif" align="top" style="border:none;margin:5px 0px 0px;padding:0px;" alt="" filesize="44"> 소개 :</td> <td valign="top" style="padding:0px;margin:0px;text-align:left;line-height:20px;"> <div><a style="color:#444444;">1978년에 태어났고 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전국의 11개 대학 및 대학원에서 강의를 하며 여러 학생들을 만났다. <br>자본주의를 ‘어쩔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체념적 푸념이 사회에 만연해질 때, 그 안에서 살아가는 개인의 삶이 얼마나 괴기해질 수 있는지를 관찰하는 데 관심이 많다. 어설픈 희망에 집착하는 것보다 명백한 절망을 파괴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 생각하기에 암울한 세상을 ‘암울하다’ 말하는 걸 주저하지 않는다. <br>대학 강의는 갑질하는 교수들이 싫어서 최근에 많이 줄였다. 그래서 조금 힘들지만 아직은...</a>  <div class="button" style="text-align:center;display:inline-block;padding:0px;vertical-align:middle;border:0px;overflow:hidden;"><a class="button_small" style="color:#444444;font-size:11px;line-height:18px;display:block;white-space:nowrap;padding:2px 7px 1px 8px;"><img border="0" alt=""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tn_more3.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0px 0px 2px;" filesize="104"></a></div></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div> <div class="npd_pspace" style="clear:both;padding:25px 0px;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div> <div class="p_tit" style="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 <h1 style="margin:0px 0px 6px;padding:0px;font-size:12px;font-weight:normal;"><img src="http://image.aladin.co.kr/img/shop/2012/bd_t18.gif" style="border:none;margin:0px;padding:0px;" alt="" filesize="678"></h1></div> <div class="p_textbox" style="padding-top:9px;color:#3e3e3e;font-family:'돋움', Dotum, AppleGothic, sans-serif;line-height:20px;"> <div><a style="color:#444444;"><b>“오빠 한번 믿어봐!”<br>군대, 의리, 가오의 대명사, 대한민국 남자를 해부하다!<br><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진격의 대학교>의 오찬호, 대한민국 남자를 분석한다!</b><br>기생충 박사 서민 강추 _“수시로 사이다 같은 깨달음을 전해준다!”<br><br>★‘사회가 바뀌었다. 여기저기 여자들이 설치는 세상이 돼버려서 남자는 점점 더 살기가 힘들다.’<br>경쟁 논리에 잠식당한 이십 대와 그들을 둘러싼 사회 환경을 비판적 시각에서 파헤친 첫 책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이십 대의 자화상』과 ‘취업사관학교’로 전락한 대학의 현실을 비판한 『진격의 대학교 : 기업의 노예가 된 한국 대학의 자화상』으로 우리 사회에 큰 화두를 던진 바 있는 사회학자, 오찬호. 그가 이번에는 이 땅에서 평범하게 사고하고 평범하게 살아가는 ‘대한민국 남자’에 메스를 들이댔다. <br>강남역 10번 출구에서 얼굴에 가면을 쓴 채 ‘모든 남자를 잠재적 가해자로 보지 말라’는 시위를 하는 남자, 군대 이야기만 나오면 입에 침을 튀기면서 고생담에 치를 떨면서도 “그래도 남자란 모름지기 군대를 갔다 와야 사람이 된다”라며 매우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는 남자, 예전처럼 열심히 가장으로서 일해도 제대로 된 대접도 못 받고 살기가 점점 더 힘들어진다며 하소연하는 남자. 저자 오찬호의 그물망에 걸린 대상은 바로 이런 남자들, 즉 우리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보통 남자들이다. <br>★그는 우선 그들의 주장대로 정말 여자들이 설치는 세상이 되었는지 그 팩트부터 짚고 넘어간다. 실제로 세계경제포럼(WEF)의 ‘세계 성 격차 보고서 2015’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성 평등지수는 0.651(여성이 남성 임금의 65퍼센트 정도의 경제, 정치적 권한을 누린다는 뜻, 스웨덴이나 노르웨이가 0.8 수준이다)로 조사 대상 국가 145개국 중 115위인 세계 최하위 수준이다(OECD 국가 중 꼴찌일 뿐만 아니라). 사정이 이러한데도 왜 많은 남자들은 남자로 태어나서 살기 힘들고 대접받지 못해서 너무 억울하다고 주장하는 걸까? <br>저자는 한국 남자를 이해하는 코드로 군대와 학교 교육,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Male breadwinner model, 남자가 생계를 책임지고 여자는 이를 지원하는 가족 모델)을 꼽는다. 권위주의와 경쟁주의 문화에 절어 있는 학교 그리고 폭력, 명령, 복종만이 절대 진리인 군대를 거치면서 남자(sex, 생물학적 성의 개념)는 점점 남성(gender, 사회적 성)으로 변해간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이다. 그 결과는 소통 능력과 공감 능력의 상실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는 ‘약자를 공격하는 남성들의 집단 세력화(예컨대 일베나 소라넷 등등), 약자에 대한 혐오 범죄, 결혼율과 출산율의 현격한 저하에 따른 인구 감소’라는 심각한 사회문제와 결코 무관치 않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이 책은 해외 학자의 연구 결과나 이론을 토대로 인용 및 첨삭을 한 저작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주로 저자의 삶과 연구 과정, 다시 말해 직접 경험을 통해 길러낸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 현실을 다룬 여러 사회 비평서 및 페미니즘 도서를 기반으로 삼고 있다. 그만큼 원고가 갖고 있는 공감력과 흡입력, 생생한 현장감이 남다르다. 저자가 향하고 있는 비판의 대상에 저자 자신을 포함시키는 매우 성찰적인 애티튜드 역시 독자에게 큰 울림을 주고 있다. <br><br><b>그 남자 1</b><br>장소는 강남역 10번 출구,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로 죽은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모인 인파들 앞에서 가면을 쓴 채 피켓을 든 그 남자. 피켓에는 ‘모든 남자를 잠재적 가해자로 보지 말라’고 써 있다.<br><br><b>그 남자 2</b><br>장소는 시청역 근처의 한 호프집. 한 무리의 남성들이 맥주 한잔을 하며 군대 시절을 이야기하고 있다. “졸라 말도 안 되는 고생시키면서 다 국가를 위한 거라고 개소리하는 게 제일 × 같았어!”, “쓸데없는 일 시키면서 나 괴롭힌 박 병장, 그 인간 망종 새끼 내가 다시 만나면 가만 안 둬!” <br>하나같이 군대에서 고생했던 이야기들을 쏟아냈지만, 그들은 결국 “그래도 군대니까 어쩔 수 없지 뭐”, “모병제를 하는 건 시기상조지!”, “아무리 그래도 더 이상 군 복무 기간을 단축하면 진정한 군인이 될 수 없다고 봐”라는 말들로 화제를 마무리한다.<br><br><b>그 남자 3</b><br>장소는 어느 기업의 사무실 안. 경력 25년차 파트장인 김 부장이 말한다.<br>“뭐 성희롱? 내가 만지기를 했어, 들여다보길 했어. 그게 성희롱이야? 예전에는 찍소리도 못 하던 것들이 세상 좋아졌다고 건방지게 설치고 지랄이야! 여자들이 말이야, 진짜 사회생활을 제대로 못 한다니까!”<br><br><b>군대, 의리, 가오의 대명사, 대한민국 남자를 해부하다!</b><br>‘사회가 바뀌었다. 여기저기 여자들이 설치는 세상이 돼버려서 남자는 점점 더 살기가 힘들다. 남자 노릇, 가장 노릇을 열심히 해도 예전처럼 ‘가장의 권위’를 제대로 인정받지도 못한다. 이제는 요리까지 잘하고 외모까지 잘 가꾸어야 여자들의 관심을 살 수 있다. 취직은 더 힘들어지고 나보다 더 잘나가는 여자들을 보면 화가 난다. 내가 여자한테까지 무시당해야 하다니…….’<br>경쟁 논리에 잠식당한 이십 대와 그들을 둘러싼 사회 환경을 비판적 시각에서 파헤친 첫 책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이십 대의 자화상』과 ‘취업사관학교’로 전락한 대학의 현실을 비판한 『진격의 대학교 : 기업의 노예가 된 한국 대학의 자화상』으로 우리 사회에 큰 화두를 던진 바 있는 사회학자, 오찬호. 그가 이번에는 이 땅에서 평범하게 사고하고 평범하게 살아가는 ‘대한민국 남자’에 메스를 들이댔다. <br>강남역 10번 출구에서 얼굴에 가면을 쓴 채 ‘모든 남자를 잠재적 가해자로 보지 말라’는 시위를 하는 남자, 군대 이야기만 나오면 입에 침을 튀기면서 고생담에 치를 떨면서도 “그래도 남자란 모름지기 군대를 갔다 와야 사람이 된다”, “군대도 안 갔다 왔으면서 감히 군대에 대해 이야기하다니!”, “군대니까 폭력은 어느 정도 어쩔 수 없는 거잖아”, “지금보다 군 복무 기간이 더 짧아지면 안 돼”라며 매우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는 남자, 예전처럼 열심히 가장으로 일해도 제대로 된 대접도 못 받고 살기가 점점 더 힘들어진다며 하소연하는 남자, “남자는 가오 빼면 시체지. 목에 칼이 들어와도 가오 떨어지는 일은 절대 못 해”라고 일상적으로 말하는 남자, 일 년에 요리하는 날이 며칠 안 되고, 쓰레기 분리수거 정도의 집안일을 하면서도 “나 정도면 괜찮지 않아? 당신은 좋겠다. 내가 가부장적인 남편이 아니라서 얼마나 대박이야?”라고 말하는 남자. <br>저자 오찬호의 그물망에 걸린 대상은 바로 이런 남자들, 즉 우리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보통 남자들이다. 그는 우선 그들의 주장대로 정말 여자들이 설치는 세상이 되었는지 그 팩트부터 짚고 넘어간다. 실제로 세계경제포럼(WEF)의 ‘세계 성 격차 보고서 2015’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성 평등지수는 0.651(여성이 남성 임금의 65퍼센트 정도의 경제, 정치적 권한을 누린다는 뜻, 스웨덴이나 노르웨이가 0.8 수준이다)로 조사 대상 국가 145개국 중 115위인 세계 최하위 수준이다(OECD 국가 중 꼴찌일 뿐만 아니라). 또 사업장에 성교육이 의무화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우리나라 여성 직장인 51.4퍼센트가 직장에서 성희롱을 당한 경험이 있으며 이 중 56.4퍼센트가 외부에 알리지 않고 그냥 묻어둔다고 한다(<한겨레> 2015/12/30). 취업에서 양성평등의 개념이 보편화되었고 공공 기관, 법조계, 의료계, 교육계 등등에서 우먼파워가 세졌다고들 말하지만, 우리나라 1~3급 고위직 여성 공무원은 전체의 4.5퍼센트 수준이며 20대 대기업의 여성 직원 비율은 14.5퍼센트에 불과하다(<여성신문> 2015/5/13, <한겨레> 2014/4/13). 사정이 이러한데도 왜 많은 남자들은 남자로 태어나서 살기 힘들고 대접받지 못해서 너무 억울하다고 주장하는 걸까?<br><br><b>남자라는 이름의 유니폼을 벗기다</b><br>저자는 한국 남자를 이해하는 코드로 군대와 학교 교육,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Male breadwinner model, 남자가 생계를 책임지고 여자는 이를 지원하는 가족 모델)을 꼽는다. 권위주의와 경쟁주의 문화에 절어 있는 학교 그리고 폭력, 명령, 복종만이 절대 진리인 군대를 거치면서 남자(sex, 생물학적 성의 개념)는 점점 남성(gender, 사회적 성)으로 변해간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이다. 그 결과는 소통 능력과 공감 능력의 상실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는 ‘약자를 공격하는 남성들의 집단 세력화(예컨대 일베나 소라넷 등등), 약자에 대한 혐오 범죄, 결혼율과 출산율의 현격한 저하에 따른 인구 감소’라는 심각한 사회문제와 결코 무관치 않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br>또한 저자는 우리가 상식처럼 믿고 있는 성에 대한 개념(예를 들어 여자는 태어날 때부터 지리적 감각이 둔하다, 남자는 원래부터 몸 자체가 육아나 돌봄 노동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등등)이 얼마나 사회.문화적인 편견으로 가득 차 있는지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 왜 진상남, 성희롱남이라는 단어는 없으면서 된장녀, 개똥녀, 김치녀, 맘충 등등 여성을 비하하는 단어는 주기적으로 유행하는지, 논개는 왜 기생이라고 알려졌으며 성조차 불리지 않는지, 술집이나 식당에서는 왜 “이모~”라고 부르는지, 예비군 훈련과 민방위 훈련에서 남자들의 태도가 180도 달라지는 이유가 뭔지, 왜 막말하는 목사들이 이렇게도 많으며 교회에는 여성 신도들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지 등등 사회 다방면에서 벌어지는 사회현상의 이면에 깔려 있는 성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풀어헤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br>이 책은 해외 학자의 연구 결과나 이론을 토대로 인용 및 첨삭을 한 저작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주로 저자의 삶과 연구 과정, 다시 말해 직접 경험을 통해 길러낸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 현실을 다룬 여러 사회 비평서 및 페미니즘 도서를 기반으로 삼고 있다. 그만큼 원고가 갖고 있는 공감력과 흡입력, 생생한 현장감이 남다르다. 저자가 향하고 있는 비판의 대상에 저자 자신을 포함시키는 매우 성찰적인 애티튜드 역시 독자에게 큰 울림을 주고 있다. 여자로 살기 하루하루가 힘들다고 느끼는 여성 독자뿐 아니라 스스로 남자로 살기 힘들다고 생각하는 남성 독자에게도 이 책은 큰 해법을 제시할 것이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지 그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면 덜 아프고, 덜 힘들기 때문이다. 이 책이 인문서임에도 매우 실용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a></div></div></div> <div><br></div> <div><img src="http://i.imgur.com/j1pVuBK.jpg" alt="" filesize="154956"></div> <div><img src="http://i.imgur.com/W2WjXYD.jpg" alt="" filesize="165387"></div> <div><img src="http://i.imgur.com/IqG7Qjz.jpg" alt="" filesize="177546"></div> <div><img src="http://i.imgur.com/N3SVy6P.jpg" alt="" filesize="194024"></div> <div><br></div> <div><br></div> <div><img src="http://i.imgur.com/jvG2Mmx.jpg" alt="" filesize="193030"></div> <div><img src="http://i.imgur.com/CrZetjC.jpg" alt="" filesize="174093"></div> <div><img src="http://i.imgur.com/6fE2isV.jpg" alt="" filesize="155796"></div> <div><img src="http://i.imgur.com/OPxEGm2.jpg" alt="" filesize="197705"></div> <div><img src="http://i.imgur.com/g5fLyYc.jpg" alt="" filesize="43810"></div> <div><br></div> <div><img src="" alt=""></div> <div><img src="http://i.imgur.com/yOtN6G0.jpg" alt="" filesize="152565"></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div> <div>일명 진보 지식인들 중 하나인, <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진격의 대학교,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를 쓴 </span><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5;">오찬호 사회학자의 저서입니다. </span></div>
    출처 교보문고, 알라딘, Yes24
    편집부, MD, 편집장 추천 캡쳐는 8월 1일 사진입니다. 방문횟수 때문에 미루다 보니 8월 말일이 됐네요.
    알라딘은 지금 Ebook 편집장의 선택 도서입니다.

    퍼오다보니 가독성이 안 좋은점 죄송합니다.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09/01 00:08:04  119.204.***.71  세틀러  65205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
    오늘자 카이스트 중간고사 문제.kaist [7] 펌글 머리전달함수 16/10/20 23:33 241 2
    11
    오늘자 카이스트 중간고사 문제.kaist [15] 펌글 머리전달함수 16/10/20 20:30 278 6
    10
    다중아이디 차단 유저 재가입 신고 [3] 복소기하학 16/10/03 01:27 - -
    9
    Focal 에서 거물급 헤드폰이 나왔네요 ㄷㄷㄷㄷ [11] 복소기하학 16/10/01 01:52 99 4
    8
    냉혹한 구글의 세계.jpg [2] 펌글 복소기하학 16/09/23 00:07 507 10
    7
    고등학교 역사교과 모의고사 문제라고 하네요 [2] 펌글 복소기하학 16/09/04 21:03 98 1
    6
    유머유머유머) AK-47 vs. M-16 vs. Mosin-Nagant [2] 펌글 복소기하학 16/09/03 00:05 110 11
    혐) 교보, 알라딘, Yes24 인터넷서점 편집부에서 추천하는 책 [1] 펌글 복소기하학 16/08/31 22:59 448 1
    4
    태극기에 전범기 합성한 워마드, 국민신문고 고발 결과 [1] 복소기하학 16/08/31 20:25 495 17
    3
    우울할 때마다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6] 복소기하학 16/08/19 23:04 219 7
    2
    슈뢰딩거의 고양이 농담 [8] 복소기하학 16/08/13 23:03 69 68
    1
    슈뢰딩거의 고양이 농담 [8] 복소기하학 16/08/13 23:03 53 31
    [1] [2] [3]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