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애비28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8-14
    방문 : 2841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istory_24374
    작성자 : 애비28호
    추천 : 15
    조회수 : 3789
    IP : 58.124.***.22
    댓글 : 6개
    등록시간 : 2015/12/05 00:50:19
    http://todayhumor.com/?history_24374 모바일
    조선의 역대 영의정(領議政) (1부)
    옵션
    • 창작글
    • 외부펌금지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10.6667px;line-height:19.2px;">(선조 임금의 피난 이야기 후에 함흥차사 이야기를 올리기로 했습니다만 함흥차사 이야기를 쓰다가 너무 재미 없는 관계로 콘텐츠를 좀 더 보강하기 위해 잠시 접어두고 영의정 이야기를 올립니다.)</span></p><p style="line-height:1.8;"><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br></span></strong></p><p style="line-height:1.8;"><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br></span></strong></p><p style="line-height:1.8;"><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조선의 역대 영의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領議政) (1부)</span></strong></p><p><br></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영의정의 탄생</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1401년(태종1년) 7월 13일 개정된 관제에 따라 영의정부사</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領議政</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府事)라 칭하고 초대 영의정부사에는 개국공신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이서(李舒)</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가 취임한다.</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영의정(혹은 영의정부사)은 정1품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뭔 말인지는 잘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모르겠지만 상당히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있어 보인다</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며,</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조선에서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임금 아래로 신하들 중 가장 높은 계급이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일인지하만인지상(</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人</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萬</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人</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上. 위로 한 명 아래로 만 명)이라고 영의정의 자리를 빗대어 말하기도 한다. (<strike><span style="font-size:8pt;">물론 편집자의 경우 만인지하무인지상...ㅠ 주르륵</span></strike>)</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의정부의 최고 상급자이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영상(</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領</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相</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으로 불렸으며, 상상(</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上</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相</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상대(上台), 영대(領台),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수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首</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揆</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원보(</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元</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輔</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등의 약칭(애칭)으로도 불려졌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그러나 개국 초기, 영의정(부사) 자리는 명예적인 느낌이 강하였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좌의정은 이조(兼判吏曹事, 겸 판이조사), 우의정이 병조(兼判兵曹事, 겸 판병조사)의 최고 결제권자인 판사를 겸 하는 등 실질적인 권력은 좌, 우의정의 손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어찌하였든 당시는 개국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의정부에서 대부분의 일을 주관하고 임금은 결제만 하는 분위기인, 정도전이 바라던 재상중심의 정치가 형식적으로나마 엇비슷하게 펼쳐지고 있었다고 보여진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태종 임금</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불안했던 초기의 영의정</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태종 임금의 집권 후 영의정 부사의 관직이 생긴 1401년(태종 1년) 부터 세종 대왕에게 왕위를 넘긴 1418년(태종 18년)까지 모두 이서(李舒) 2번, 하륜(河崙) 2번, 성석린(成石璘) 할배가 3번의 영의정(부사)를 지내는 등 총 13번의 영의정 교체가 있었다. 평균 1.3년(年)에 1회의 비율로 영의정이 교체 되었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개국 공신들도 챙겨야 하고 1, 2차 왕자의 난에 대한 보상도 이루어져야 하는 등 창업공신들에 대한 나눠 먹기성 인사들도 많아 개국 초기의 어수선함이 그대로 들어난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육조(六曹)체제의 강화</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강력한 국가는 강력한 군주의 힘에서 나온다는 것을 굳게 믿는 태종 임금께서 이날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의정부, 육조, 승정원 등의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관제를 개정한다.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1405년(태종 5년) 1월 15일. 이때까지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의정부(議政府)에서 각사(各司)를 총괄하고, 사평부(司平府)에서 전곡(錢穀)을 관장하고, 승추부(承樞府)에서 갑병(甲兵)을 관장하고, 상서사(尙瑞司)에서 전주(銓注)를 관장하게 하고, 좌·우정승(左右政丞)으로 판사(判事)를 겸하게 하여,</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육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六曹</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에서는</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조정(朝政, 조정의 정사를 논하는 일</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에 참여하지 못하였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 개정으로 인해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사평부를 혁파(革罷)하여 호조(戶曹)로 귀속(歸屬)시키고, 승추부를 병조(兵曹)로 귀속시켰으며, 동서반(東西班) 전선(銓選, 관리의 천거 및 임용</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을 이조(吏曹)와 병조(兵曹)로 귀속시키고, 의정부의 서무(庶務)를 나누어서</span><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육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六曹</span></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trong>)로 귀속시켰으며</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육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에 각각 <strong>판서(判書) 한 명을 두고</strong>, 직질(職秩)을 정 2품으로 하였으며, 전서(典書)와 의랑(議郞) 각각 두 사람씩을 없애고 좌,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우참의(左右參議) 각각 하나씩을 두었는데, 계급은 통정(通政, 정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3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으로 하고, 정랑(正郞)과 좌랑(佐郞) 각각 한 사람씩 새로 더 두었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의정부에서 하던 대부분의 기능을 육조로 이관하고 육조에 실무 정원도 많이 늘리는 등 육조를 실질적인 권력기구로 만들고 정승들의 지위를 명예직 비슷하게 낮추는 개정이었다.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것이 국사책에서 배우는 재상 정치의 </span><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의정부서사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署</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事</span></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trong>制)</strong>에서 왕권 강화 목적의 </span><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육조직계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六</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曹</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直</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啓</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制</span></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trong>)</strong>로 바뀌었다는 뜻이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그럼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맡으신 할배들은 뭘 하시는 건가? 과연 조선이라는 나라에서 최고의 관직에 따른 최고의 녹봉(연봉)을 받는 할배들을 그저 놀고 먹게만 할 것인가? 아래에 나오는 구절에 그 부분이 잘 나오리라 믿는다.​</span><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br></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br></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영의정이 겸(兼) 하는 직책</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 style="color:#3a32c3;">영의정이 현재 국무총리급의 업무를 수행하지만 당시 본 임무 이외에도 여러가지 업무를 겸(兼) 하여야 했다.</span></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임금이 공부하고 학문적인 토론을 하는 경연<span style="font-size:8pt;">(經筵) 자리의 책임자인 </span>경연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영사</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經筵</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領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물론 경연이 매일 열린다고 하더라도 실무진들이나 매일 참여하는 것이고 삼정승들이나 높은 직위의 사람들은 번갈아 한번씩만 참여한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 밖에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홍문관 영사(</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弘文館</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領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예문관 영사</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藝文館</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領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춘추관 영사(</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春秋館領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관상감 영</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사(</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象</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監嶺</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실록의 편수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책임자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실록청</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實錄廳</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영관사(領館事).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국가적인 중대 사안의 범죄 행위의 조사 책임자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의금부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제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義禁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都</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提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국가의 예법을 제정하는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의례 상정소 도제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儀禮詳定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都提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왕실의 무덤 관리 및 제사 관리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종묘서 실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도제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宗廟署實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都提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국가의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제사(祭祀)와 시호(謚號)를 정하는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봉상시 실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도제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奉常寺實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都提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봉상시는 원래 정3품이 책임자인 부서이지만 정치적인 사안이 걸린 시호 제정 문제가 있을 경우 영의정이 도제조를 맞는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임금이나 왕자의 혼례 담당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가례색 도제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嘉禮色</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都提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임금이나 왕비의 장례의 책임자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국장 도감 도제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國葬都監</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都提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외교 문서 담당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승문원 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제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承文院都</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提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한양의 시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市廛) 관리, 감독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경시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제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京市署都</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提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선농(先農) 제사의 행</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사(行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집사관(執事官),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군기감(軍器監),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약방</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藥房, 내의원</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사복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司僕寺</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등의 제조.</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과거시험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독권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讀券官</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뭐 더 있는데 이 정도로 써 두어도 다들 업무가 많다는 것을 아시리라...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결론은 임금 이외의 조선 사람이 잘못하면 전부 영의정 책임이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시대에 따라,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 업무 분장의 변화가 심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자. 시대에 따라 더하고 덜하는 직책이 있겠으나 어쨌던 뼈골 빠지게 일이 많으시다.)</span></p><p><span style="font-size:14.66px;line-height:20.53px;font-family:'새바탕';text-align:justify;text-indent:20px;"><span style="font-size:14.66px;line-height:20.53px;"><span style="font-size:14.66px;line-height:20.53px;"><span style="font-size:14.66px;line-height:20.53px;"><span style="font-size:14.66px;line-height:20.53px;"><span style="font-size:14.66px;line-height:20.53px;"><font color="#a0a0a0"><span style="font-size:14.66px;line-height:20.53px;color:#000000;"><br></span></font></span></span></span></span></span></span></p><p><br></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가장 오래 재임 한 영의정</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1431년(세종 13년) 9월 3일에 취임하여</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1449년(세종 31년)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10월 5일 좌의정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하연(河演)에</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게 영의정 자리를 넘겨 준 그 유명한 황희(黃喜) 정승 되시겠다.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도합 18년 6개월(윤달 5번 포함.), 무려 222개월 동안 영의정을 하셨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물론 중간중간에 탄핵도 당하고 병도 걸리고 사표도 쓰고 그러셨지만 이 분 덕분에 세종 대왕이 한글도 만들고 측우기도 만드는 등 여러가지 분야에서 신경을 써서 체제를 정비하고 나라를 발전 시켜 조선이라는 나라의 기반을 다진 주역 중의 주역이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trong>​</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영의정의 연봉과 복지혜택</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태종 7년, 정승에게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녹봉</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祿俸</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 연봉</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으로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녹미(祿米) 1백 석(石), 주포(紬布)·정포(正布) 합하여 32필</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匹)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여기에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과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科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으로 1백 50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結)</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의 경작용 토지를 따로 주었다.(대충 발로 계산하면 여의도의 절반이 넘는 크기 정도 되겠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2품 이상의 관리들에게는 나라에서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품위유지용으로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아예 노비 2명을 내려주어 관리의 거동을 돕게 하였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그러나 각 부서별로 부서의 업무를 보조하는 관청노비들이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있는데 이 노비들을 직급에 따라 사노비처럼 사용하기도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하여 폐단이 생기기도 하였다.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세종 7년의 기록을 보면 좌, 우의정 등 정승들이 관청노비를 대략 30, 40명 까지 데리고 행차를 하기도 하고 또,행차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외에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개인적으로 집을 짓거나 농사일을 시키기도 하여 문제가 되었다는 기록도 있었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태종이나 세종 임금 시절의 역사 드라마에서 대감님 행차에 가마꾼 몇 사람에 옆에 집사 같은 사람 하나 데리고 다닌다면 명백한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고증오류이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조선 시대에 관노비를 사적으로 이용하는 정도는 아주 바람직한​ 관리의 표본이었다. 그거 가지고 크게 흠 잡는 사람이 별로 없었다. 오죽하면 나라에서 주는 녹봉으로만 생활하고 노비도 자기집 개인노비만으로 생활을 꾸려가던<span style="font-size:8pt;"> 사람을 '</span></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청백리(</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淸白吏)'라고 하였다. <strike>황희 정승이 청백리로 불리는 이유가 관청의 재물을 자기집으로 실어 나르지 않고 자기 재산으로만 재산증식을 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strike>)</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의정부서사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署</span><span style="font-family:arial;">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制)로의 회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回歸)</span><span style="font-family:arial;">    </span></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1436년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세종 18년) 4월 25일 세종 실록의 한 부분을 그대로 옮겨본다.</span></p><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의정부에서 아뢰기를,</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u>대단치 않은 상시(常時)로 행하는 일은 그대로</u></span><u><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육조</span></u><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u>에 맡겨서</u> 전대로 시행하게 하고, 또</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육조</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가 경외(京外)에서 품외한 공사(公事)를 다만 본문(本文)에 의거해서 전보(轉報)하고 가부(可否)를 의논하지 아니함은 옳지 못하오니, 이후로는 해조(該曹, 육조 각 부서)로 하여금 의논하여 결정해서 <u>본부(本府, 의정부)로 보고</u>하게 하고, 본부에서는 즉시 의논하여 계문(啓聞)하게 하되, 그 변경의 완급(緩急)과 모든 기일에 바쁜 군사에 관한 일들은 해조로 하여금 계문한 뒤에 본부로 보고하게 하며, 미두(米豆) 10석, 돈 10관, 베 10필 이하는 호조로 하여금 본부에 보고하고 시행하게 하여, 연말에 가서 계문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하니, 그대로 따랐다.</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trong>세종실록</strong> 18년(1436 병진 / 명 정통(正統) 1년) 4월 25일(신유) 2번째기사</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결론은 사소한 일은 각 부서에서 알아서 하고 사후 보고, 중요한 일은 의정부에 보고해서 협의 후 임금에게 보고하고 임금의 명령도 중요한 것은 의정부를 통해서 육조에 하달. 외침과 같이 아주 시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의정부에서 다 해먹겠다는 소리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물론 이 때 영의정은 일복 터진 황희 할배였다.</span></div><p><br></p><p><br></p><p><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의정부서사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政</span><span style="font-family:arial;">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署</span><span style="font-family:arial;">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制)의 효과</span></strong></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1436년(세종 18년) 10월 1일. 의정부에서 모든 업무를 주관하기 시작하고 6개월 정도가 흐른 시점.</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그전까지만 해도 육조의 어느 부서에서 안건이 올라오면 해당 부서와 다른 부서간에 의견대립이 시끄럽게 자주 있었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그런데 근래에는 그런 논쟁 없이 의정부에서 어느 부서의 안건이라고 임금에게 보고하면 다른부서에서는 아무소리도 없이 결론이 나는 것이 수상하신 세종 임금. 이날 <span style="font-size:8pt;">세종 임금과 황희 정승간의 대화를 들어본다.</span></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도승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신인손(辛引孫)</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에게 명하여 정부에 의논하기를,</span></p><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내가 의논하도록 명령한 일은 서로 논박하면서 각기 마음속에 쌓인 바를 진술하면서도,</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육조</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의 상신(上申)하는 일은 뇌동(雷同)하여 계달(啓達)하면서 아무런 다른 의논이 없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하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영의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황희(黃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등이 아뢰기를,</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성상의 명령이 진실로 마땅합니다. 그러나 신 등이 어찌</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육조</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의 상신한 것을 소홀히 하여 그렇게 한 것이겠습니까. 다만 상신한 것이 만약 합하지 못한 점이 있으면, 다시 마감(磨勘)하게 하여 신 등의 의견에 모두 합한 후에야 이를 계달하게 한 까닭으로, 다른 의논이 없는 것입니다.”</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하였다.</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결론. 세종 임금은 왕따 당한거지만 일 잘하는 정승들 덕분에 임금에게는 여유시간이 너무너무 많아지셨다. 왕따는 외로운건가...</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덕분에 한글창제, 측우기 등 천문 기상 기술보유, 서적 인쇄 출판 기술 확보, <strike>왕자와 공주 무한 생산</strike> 등의 업적을 이루실 수 있었다.</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div><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span style="font-family:arial;">​</span></div><p><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세종 대왕 당시의 영의정</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1418년 태종으로 부터 왕위를 물려 받은 세종 대왕은 1450년(세종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32년) 돌아가시기 전까지 32년 동안 겨우 5번의 영의정 교체만이 있었다.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황희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정승이 18년간의 재임 하였고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직(李稷)</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7년, 유정현(柳廷顯) 6년 등으로 5명의 영의정들이 재임하였다.</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평균 재임 기간 6.4년.</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태종 임금이 잘 다진 왕권을 세종 대왕께서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나라의 기반을 확실히 다듬어 놓은, 정치가 안정된 국가 다운 모습의 반증이라 할 수 있겠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br></span><span style="font-family:arial;"> </span></p><p><span style="font-family:arial;"></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비운의 영의정 심온(沈溫)</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1375년 출생. 1418년(세종 즉위년)</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 12월 25일 사망. 사망 원인은 자살로 기록된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1408년(태종 8년) 딸을 충녕대군과 혼인 시킨다. 세종 대왕 즉위년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1418년 9월 3일에 영의정에 제배된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중략)... </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이조판서·공조판서를 역임하고, 양녕대군을 대신해 충녕대군이 세자로 책봉되고, 이어 세종으로 즉위하자 국구(</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國</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舅</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로서 영의정이 되어 정치의 실권을 가까이하기에 이르렀다. 1418년에는 사은사(</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謝</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恩</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使</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로서 명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이 때에 그의 동생 정(</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泟</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이 병조판서 박습(</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朴</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習</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과 함께 상왕인 태종의 병권 장악을 비난한 것이 화근이 되어, 이듬해 귀국 도중에 의주에서 체포되어 수원으로 압송, 사사되었다.(세종 실록의 기록에는 자살한 것으로 나온다.)</span></p><p class="txt"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이 사건은 그가 국구로서 세력이 커짐을 염려한 태종과 좌의정 박은(</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朴</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訔</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의 무고로 밝혀져, 뒤에 세종은 관직을 복위시키고, 안효(</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安</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孝</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라는 시호를 내렸다. 죽기 전 유언으로 박씨와 혼인하지 말도록 당부하니, 오랫동안 지켜졌다.</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trong>한국민족문화대백과</strong>, 한국학중앙연구원</span></p><p><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br></strong></span></p><p><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br></strong></span></p><p><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강경파와 온건파</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강(强), 온(穩)의 조화를 이루었던 세종 대마왕 시절의 영의정</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세종 대왕 시절의 영의정은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 style="font-size:8pt;">심온</span>(沈溫, 1년 미만 재임), 유정현(柳廷顯, 6년 재임),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직(李稷, 7년 재임),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황희(黃喜, 18년 재임),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하연(河演, 2년 재임)의 순서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심온은 태종이 상왕 시절에 외척세력 확장 방지 등의 명목으로 처형 시켜버렸고 곧바로 태종 때도 영의정을 지낸 경력이 있는 좌의정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유정현(柳廷顯)을 임명한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유정현은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순탄한 관직생활을 보냈으며 성</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품이 무척 과단성이 있고 또한 검소, 근면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도 이치를 따지고, 옳은 일을 주장할 때에는 조금도 꺼리지 않았다고 한다. 결정적으로 그는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태종이 양녕대군의 세자위를 폐할 때 누구도 감히 말을 꺼내지 못하였으나, 그가 먼저 현명한 이를 세자로 책봉해야 한다고 주장한, 태종 임금의 입장에서는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친 충녕대군파라 볼 수 있는</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인물을 영의정에 세운 것이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황희(黃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와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직(李稷)은 태종 말기 양녕에서 충녕으로 세자를 바꾸는 논의를 반대하다가 태종에게 미움을 사서 유배 당한 인물이다.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보통 이런 사건에서 나중에 배척 당한 왕자가 왕이 된 경우 반대파들을 숙청하는 것이 흔한 일 아닌가?</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그러나 세종 대왕은 자기를 세자 자리에서 배척한 인물들을 중용하여 영의정까지 해먹게 하신, 능력만 있으면 과거 따위는 무시하고 등골을 다 빼다 드시는 악덕군주로 유명한, 좀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trike>변태스런</strike></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훌륭한 왕이었고 또, 이 신하들도 그 기대에 맞게 최선을 다하여 신하의 도리와 임무를 수행하던 시기였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하연(河演)은 세종 대왕 말년인 세종 31년에 영의정이 되어 세종조에서 영의정으로</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는 별다른 활약을 보일 시간이 없었으나,</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그가 세종 대왕 시절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대사헌으로서 조계종(</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曹</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溪</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宗</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등 난잡했던 불교 7종파를 선(</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禪</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교(</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敎</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양종(</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兩</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宗</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36본산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는 국가로 환수 하였고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판이조사로서 이조의 일을 맡아 공세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貢</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稅</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을 마련했으며(우리가 예전 역사책에서 배웠던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연분9등, 전분6등법을 이 분이 세종 대왕과 함께 만든것이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각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품의 행수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行</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을 제정 하는 등 세종 대왕에게는 치밀한 행정능력을 과시한 인물이라 다음 임금을 위해 자리를 정비하고 왕권을 넘겨 주는 중요한 시기의 영의정이었다.(물론 하연이 영의정에 제배 된 때 그의 나이가 74세라는 핸디캡이 있었지만...)</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br></span></p><p style="line-height:1.8;"><br></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1466년 세조12년 1월 15일 부터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를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영의정</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領議政</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으로 고쳐 부르게 된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trike>정부 문서에 '영의정부사'라고 다섯 글자를 쓰자니 잉크(먹물)가 아까웠나 보다.</strike></span></p><p><br></p><p>​</p><p><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최연소 영의정</strong></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세조 임금 때 이준(李浚) 28세로 최연소</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 영의정이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李浚)은 세종 대왕의 네째 아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임영대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臨瀛大君)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구(李璆)의 2남이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준은 세조 임금 막바지인 1467년(세조 13년) 발생한 이시애</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李施愛</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의 난을 진압한 공로로 믿을 사람이 없었던 세조 임금에 의해 병조 판서가 되었다가 1년 뒤인 1468년(세조 14년) 7월 17일 <strike>제헌절</strike>에 영의정에 제배 되었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물론 어릴 때 너무 잘나가면 한방에 훅~ 가는 수가 있다는 것을 직감한 이준의 아버지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임영대군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이구(李璆)</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가 이준이 영의정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대궐에 나아가 세조 임금에게, </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이준</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李浚</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 style="color:#009e25;">은 어리석고 어리어 수상(首相)에 거(居)하는 것이 마땅치 않으니, 청컨대 성명(成命)을 거두어 주소서.”</span>라고 하지만 거부 당하고 이준은 영의정에 오른다. </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세조가 죽고 예종 임금이 즉위 한 후 잠시 영의정 자리에 있다가 아버지의 죽음으로 영의정 자리에서 물러나지만 1470년(성종 1년) 최세호의 난언 사건에 억울하게 연루되어 유배를 가게 되고</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1479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성종 10년) 1월 28일. 유배지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영해(寧海)</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에서 39세의 젊은 나이에 쓸쓸하게 죽고 말았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br></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br></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2부 제작 중입니다.)</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br></span></p><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br></span></p><p style="line-height:1.8;">(개인적인 사견이 좀 많이 들어가는 내용들이라 갑론을박 할 부분도 좀 있으리라 봅니다. 어디까지나 편집자 개인적인 사견이오니 너그러이 양해 하여주시기 바라고 완전 틀린 부분에 대해서는 과감한 지적 부탁 드립니다.)</p>
    출처 본인 편집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12/05 03:12:32  117.16.***.30  윤아말고윤하  308783
    [2] 2015/12/05 04:17:25  1.177.***.47  레디오스  683951
    [3] 2015/12/05 05:54:21  175.211.***.74  Lippe  136838
    [4] 2015/12/05 06:43:40  211.36.***.11  뻐꾸기77  597022
    [5] 2015/12/05 08:22:02  119.71.***.35  스피드_웨건  561620
    [6] 2015/12/05 10:15:23  210.182.***.2  칼세이건  419934
    [7] 2015/12/05 10:38:36  112.145.***.160  항너무커  591170
    [8] 2015/12/05 12:02:15  121.164.***.209  [⊙_⊙]#001  645924
    [9] 2015/12/05 12:32:25  219.250.***.105  맘씨좋은사람  402487
    [10] 2015/12/05 12:56:36  118.217.***.169  로코모코  281814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
    밀리터리 게시판 부흥 기원 (재탕주의)"최종병기 활" [10] 애비28호 16/09/27 01:11 146 18
    151
    "호적에 빨간줄"에 대해 araboja [2] 애비28호 16/09/26 20:17 458 47
    150
    조선시대 백이(栢伊)의 3자 사기 사건(문종)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6/02/17 01:13 38 11
    149
    조선시대 악처(惡妻) 김씨(金氏) 이야기 [3] 애비28호 16/02/16 00:32 59 19
    148
    조선의 역대 임금이야기(3) [8] 애비28호 15/12/19 11:06 50 13
    147
    "창녀가 없는 나라"라는 글에 대한 또 다른 시각입니다.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10 22:38 36 4
    146
    조선의 역대 임금이야기(2)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09 00:38 36 14
    145
    조선의 역대 임금이야기(1) [24]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06 19:39 56 17
    144
    조선의 역대 영의정(領議政) 이야기(2부) [2]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05 15:39 46 17
    조선의 역대 영의정(領議政) (1부) [7]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05 00:50 24 15
    142
    선조 임금의 피난길(6부-마지막 글) [14]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5 23:49 21 14
    141
    선조 임금의 피난길(5부)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5 20:41 33 14
    140
    선조 임금의 피난길(4부) [8]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5 16:38 47 14
    139
    선조 임금의 피난길(3부)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4 13:44 29 14
    138
    선조 임금의 피난길(2부) [4]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4 00:06 26 13
    137
    선조 임금의 피난길(1부) [12]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3 22:03 45 14
    136
    초절정 악덕관리자 이순신장군(부제-장군은 못말려) 약간 스압주의 [5] 창작글 애비28호 15/11/23 18:40 55 16
    135
    최종병기 활 [28] 애비28호 15/11/10 17:23 36 18
    134
    (약 19금) 조선시대 트렌스젠더 사방지 [25] 애비28호 15/08/07 20:20 118 10
    133
    바둑이에게 명하는 글 애비28호 15/07/27 21:08 47 3
    132
    조선시대 재해에 대한 임금의 행동들(태종, 세종) [14] 창작글 애비28호 15/07/20 22:04 51 14
    131
    아래 이순신 장군 생신일이라는 글을 보고 씁니다. [1] 애비28호 15/04/29 23:41 30 0
    130
    선조 임금에 대한 후대의 평가 [7] 애비28호 15/04/01 23:37 62 3
    129
    조선시대의 '이해충돌방지법' "상피(相避)" [4] 애비28호 15/03/09 22:37 61 13
    128
    김성근 감독 이야기 몇가지(90년대 초중반) [1] 애비28호 14/11/04 19:07 142 10
    127
    김성근 감독 이야기 몇가지(원년~89년) [12] 애비28호 14/10/29 21:43 138 23
    126
    간단하게 숫자와 기록으로 보는 조선왕조 [9] 애비28호 14/09/17 22:48 43 12
    125
    조선시대 포천 매장원 동사사건 [6] 애비28호 14/08/20 22:18 37 11
    124
    태종 임금과 사관(史官) [4] 애비28호 14/08/20 19:21 57 11
    123
    이순신(李舜臣) 장군에 대한 사후(死後) 평가 [1] 애비28호 14/08/06 20:27 74 12
    [1] [2] [3] [4] [5] [6]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