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애비28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8-14
    방문 : 2841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istory_24593
    작성자 : 애비28호
    추천 : 13
    조회수 : 2700
    IP : 58.124.***.22
    댓글 : 5개
    등록시간 : 2015/12/19 11:06:50
    http://todayhumor.com/?history_24593 모바일
    조선의 역대 임금이야기(3)
    <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조선의 역대 임금이야기(3)</strong></span>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기장 어린나이에 왕위에 오른 왕 </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font-size:9pt;"><span style="color:#3a32c3;font-size:9pt;">​24대<span style="font-size:9pt;"> </span><font color="#000000"><span style="color:#3a32c3;font-size:9pt;">헌종(憲宗) 임금으로 8세에 즉위 하였다.</span></font></span></span></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font-size:9pt;"><span style="color:#3a32c3;">​</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헌종 임금은 순조(純祖) 27년(1827년) 7월 18일에 태어나 순조 30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1830년)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왕세손</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王世孫)으로 책봉되고 1834년 11월 18일에 즉위한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13</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대 명</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종(明宗) 임금이 1534년 5월 22일에 태어나 1545년 7월 6일 형 인종(仁宗)이 사망하고 11세에 왕위를 물려 받아 2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12세에 즉위한 6대 단종(端宗),  26대 고종(高宗) 임금이 3위, 9대 성종(成宗) 임금이 13세에 즉위하여 4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가장 어린 나이에 책봉 된 왕비</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24대 헌종(憲宗) 임금이 8세에 즉위하고 안동(安東) 김씨로 왕비를 책봉한다.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font-size:9pt;">그녀가 10세에 왕비가 되는 효현(孝顯) 왕후 김씨</span><span style="font-size:9pt;">.</span>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순조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28년(1828년) 출생하여 1837년(헌종 3년) 3월 18일 왕비로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책봉(冊封)된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이후부터 세자빈, 왕비, 후궁 관련 인물의 대상자는 세자빈으로 왕이 된 세자와 혼인한 경우, 정비의 부재로 계비가 된 경우, 후궁의 신분으로 차기 왕이 된 왕자를 생산 한 경우를 포함한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font-size:9pt;">​</span>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br></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조선 초기의 군인 수(數)</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태종 2년(1402년),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경기 좌우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양광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경상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전라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서해도(西海道)</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교주도(交州道)</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강릉도(江陵道)</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등 8도에 마병(馬兵)·보병(步兵)과 기선군(騎船軍)이</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합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20만 8백여 명이고, 자제들과 향리(鄕吏)·역리(驛吏)와 여러 유역자(有役者)가 10만 5백여 명이라 하였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br></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pan style="font-size:9pt;">​</span>가장 늦은 나이에 세자에 책봉된 임금</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color:#3a32c3;font-size:9pt;">2대 정종(定宗) 임금으로 42세에 책봉 되었다.</span></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정종 임금은 1357년 7월 1일 태어나서 1398년 8월 26일 세자로 책봉되고  9월에 즉위하여 가장 세자 생활을 짧게 한 왕이며 가장 늦게 즉위 한 왕이기도 하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가장 늦은 나이에 책봉된 세자빈은 정종 임금의 처(妻)인 정안(定安) 왕후 김씨로 44세의 나이에 약 4일 세자빈으로 책봉되어 정종임 왕위에 즉위하고 왕비로 책봉된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color:#3a32c3;font-size:9pt;">​</span></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태종 임금의 노예해방</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태종 17년(1417년)에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사노비</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私奴婢)라는 신분이 없어질뻔 하였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1361년, 고려 공민왕 10년에 홍건적이 고려의 수도인 개경을 함락하여 중앙에서 관리하던 문서가 다 타버렸는데 노비문서도 포함되었다</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p>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이 시절 백업 서버가 있던 것도 아니고... 그러하여 누가 노비인지, 아닌지의 소송을 30년 넘게 끊이지 않았다.(일설에는 고려가 망한 이유 중 이 노비문제도 크게 작용하였다고도 한다.) 아무튼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중앙에서 관리하던 노비문서가 다 타버리니 개인이 가지고 있던 노비문서를 위조, 분실한 경우 정말 대책이 없었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이 난리로 인한 문서 소실로 고려 말부터 조선 개국 초기까지 노비 송사가 엄청나게 많아졌고 이 때문에 노비소송 전담 부서였던 형조의 업무가 마비될 지경었고 태조 4년(1395년)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노비 변정 도감(</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奴婢辨定都監</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이라는 노비의 소유권과 노비 신분인지 아닌지에 대한 전문적인 소송 관공서까지 생기기까지 하였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이어 태종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13년(1413년)에는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노비 중분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奴婢中分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이라는 법까지 생겼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이후 일반 백성은 물론 태조를 도운 개국공신들이나 태종을 도운 좌명공신 등 공신들끼리도 노비 소송으로 서로간에 감정이 생기고 난리도 아니었다.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이에 나라의 존립 조차도 위태롭게 보던 태종 임금이 태종 17년(1417년) 6월, 영의정 유정현(</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柳廷顯</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에게 고민 끝에 생각난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문제는 그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근원을 없에면 된다는 생각으로 아예 사노비를 없에 버리면 서로간에 감정이 쌓인 소송이 없지 않을까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하는 소박한 생각을 전해본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그 소리를 들은 영의정 유정현이 이렇게 이야기하고 이 아이디어는 더 이상 거론되지 않는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동방(東方)의 고사(故事)이므로 갑자기 혁파함은 불가합니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br></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9pt;">노비 중분법(</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9pt;">奴婢中分法</span><span style="color:#009e25;font-family:arial;font-size:9pt;">) : 조선 초기에 노비(奴婢)의 쟁송(爭訟)이 그치지 않았으므로 태종 13년 9월에 왕명에 의해 소송 중에 있는 노비를 원고(元告)와 피고(被告)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게 한 제도. 소송이 시작되어 해결에 진전이 없으면 소송 당사자간에 소송에 걸린 노비를 절반씩 나누어 주는 강제 조정이 들어간다. 적당한 위조문서와 가짜 증인, 혹은 판결 관리를 매수 할 경우 일부러 소송을 걸어 멀쩡한 남의 집 노비를 빼앗기엔 참 좋은 제도였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br></span></p><span style="font-family:'굴림체', gulimche;"></span> <div class="autosourcing-stub-extra-saved"></div></div></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br></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태종 4년(1404년) 4월에 조사한 조선의 인구 센서스</span></strong></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의정부에서 각도의 전답(田畓)과 호구수(戶口數)를 조사하여 올리었다.</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충청도(忠淸道)</span></strong></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전지(田地) : 22만 3천 90결(結),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호(戶) : 1만 9천 5백 61호, 인구 : 4만 4천 4백 76명.</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전라도(全羅道)</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전지(田地) 17만 3천 9백 90결(結), 호(戶) : 1만 5천 7백 3호(戶) : 인구 : 3만 9천 1백 51명.</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경상도(慶尙道)</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전지(田地) :  22만 4천 6백 25결, 호(戶) : 4만 8천 9백 92호 : 인구 : 9만 8천 9백 15명.</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 style="font-size:9pt;"><strong>풍해도(豐海道) </strong></span><span style="font-size:9pt;">-<strong><span style="font-size:9pt;"> </span></strong></span></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황해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전지(田地) : 9만 9백 22결 : 호(戶) 1만 4천 1백 70호 : 인구 2만 9천 4백 41명.</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강원도(江原道)</span></strong></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전지(田地) : 5만 9천 9백 89결 : 호(戶) 1만 5천 8백 79호 : 인구 2만 9천 2백 38명.</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pan style="font-size:9pt;">동북면(東北面)</span></strong> - 함경도, 강원도 일부</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전지(田地) :3천 2백 71결 : 호(戶) 1만 1천 3백 11호 : 인구 2만 8천 6백 93명.</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pan style="font-size:9pt;">서북면(西北面)</span></strong> - 평안도</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전지(田地) : 6천 6백 48결 : 호(戶) 2만 7천 7백 88호 : 인구 5만 2천 8백 72명.</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합계</span></strong></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전지 : 78만 2천 5백 43결 : 호(戶) 15만 3천 4백 4호 : 인구 32만 2천 7백 86명.(노비는 제외한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color:#3a32c3;font-size:9pt;"><br></span></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조선시대 왕비의 평균 수명</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48.7세로 임금의 평균 수명인 47세와 거의 비슷하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최장수 왕비로는 6대 단종(端宗)의 왕비였던 정순(定順)왕후 송씨(宋氏)로 태종 즉위년(1440년)에 태어나 중종 16년(1521년) 6월에 사망한다. 향년 82세.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font-size:9pt;">그녀는 </span>사망 당시 단종이 폐위 되어 있는 상태, 그때까지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노산 부인(魯山夫人)</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송씨(宋氏)'로 불려졌고 장례도 일반 왕자의 부인이 죽은 예로 치뤄진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size:9pt;">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br></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왕과 왕비의</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음양오행(</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陰陽五行)</span></strong></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상극(</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相剋)</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의 성씨</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size:9pt;">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음양오행설에 쇠(金)는 나무(木)에 해로운 성질이라 서로 상극이라 한다.(쇠가 나무에게 해롭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金)씨는 목(木)씨 성에 해롭다 하여 전주 이씨(李氏, 나무 목이 들어가는 한자 성</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는 김(金)씨와 혼인하지않는 것이 관례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2대 정종 임금의 정안(定安)왕후 김씨(金氏)를 제외하고 왕비 중 김씨(金氏)는 없었으나 14대 선조 임금에 이르러 인목(仁穆) 왕후 연안(延安) 김씨(金氏),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공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恭嬪) 김해(金海) 김씨(</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金氏),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인빈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仁嬪) 수원(水原) 김씨(</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金氏</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순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順嬪)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김해</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金海) 김씨(</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金氏)</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등 김씨(金氏)로 도배하다시피</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비빈에 책봉 되자 당시 많은 사람들이 불길하다 하였다.</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물론 우연찮게 임진 왜란, 임해군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유배와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계축옥사</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癸丑獄事</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4.93px;color:#252525;">),</span> 영창대군 사건, 능창군 유배, 인목 왕후 서궁 유폐 사건, 인조 반정 등 끊이 없는 대형사건들이 발생 하였다. 과연 음양오행설에 부합한 상극의 성씨였기 때문일까? 아니면 부패하고 무능한 권력자들이 핑계꺼리를 만들기 위하여 끌어 댄 말일까?</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span style="font-size:14px;line-height:14.93px;font-family:sans-serif;color:#252525;"><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14.93px;">​</span></span><span style="font-size:9pt;"> </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span style="font-family:arial;"><br></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성종(成宗)의 묘호</strong></span></div> <div class="cont-paragraph fontBody1"><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제 9대 성종의 묘호는 처음에 인종(仁宗)으로 논의 되었었다<span style="font-size:9pt;">.</span></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우리 나라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중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中朝, 중국 조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를 신하로서 섬기는데, 그</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묘호</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를 범하는 것은 신 등은 미안하다고 생각합니다. 비록</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중조</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에서 알지 못하는 것이라 하나, 혹 알게 될 수도 있으니, 안 될 것 같습니다.</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성종(成宗)</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이라 해도 또한 족히 인(仁) 자의 뜻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또</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묘호</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에 인(仁) 자를 올리지 못하므로 휘호(徽號)에 이미 칭하여 올렸습니다.” (연산 1년 1월 14일. 성종의 묘호를 정하는 자리에서 신하들의 의견)</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여기서 칭하는 중조의 인종 황제는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북송</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의 제4대 황제 인종(仁宗)을 칭하는 듯 하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br></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span style="font-size:9pt;">​</span><span style="font-size:9pt;">가장 오래 지낸 세자빈</span></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약 22년 간 세자빈으로 생활한 20대 경종(景宗)의 단의(端懿), 27대 순종(純宗)의 순명(純明) 왕후.</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 style="font-size:9pt;">두</span><span style="font-size:9pt;"><span style="font-size:9pt;"> 세자빈은 각 각 22년</span> 동안 세자빈 생활을 했다.</span></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공교롭게도 두 세자빈은 세자가 즉위하기 전에 사망해서 살아생전 왕비가 되어 보지 못했다.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p></div>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br></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임금의 월중 행사</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3월 1일. 매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월 1일에 정기적으로 신하들에게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조하(朝賀)를 받는 것으로 시작해서,</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한달 동안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경연(經筵) 22회,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상참</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常參</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13회, 조참(</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朝參</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4회, 주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晝講)</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과 석강</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夕講)</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각각 21회, 야대</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夜對</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8회, 상소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처리나 일반 업무</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신하들과 회의 등 19회,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일본 사신 접견 3회,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신규 발령 신하들 접견 3회, 과거시험 문제 출제 및 관람 2회,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공신들과 잔치 1회,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제사준비 1회, 제사 1회, 군인 사열 1회</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등 의 업무를 보았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성종 5년(1474년) 3월의 살인적인 업무량이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성종 임금의 나이 18세 때.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다행히 이번달은 문, 무과의 과거 시험이 있었기 때문에 그나마 업무량이 많지 않았다.</span><span style="font-size:9pt;">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 style="font-size:9pt;line-height:20.53px;font-family:'새바탕';text-align:justify;text-indent:20px;">​</span> </span></p> <p><br></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가장 오랫동안 재임한 왕비</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21대 </span><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영조(英祖) 임금의 정성(貞聖) 왕후는 33년 간 왕비 생활을 했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그녀는 숙종 18년(1692년) 출생하여 영조 즉위년(1724년)에 왕비 책봉 후 영조 33년(1757년)에 사망 한다. 향년 66세.</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2위는 32년 간 왕비 생활을 한 23대 순조(純祖)의 왕비인 순원(純元) 왕후다.</span></p> <p style="line-height:1.8;"><br></p> <p><span style="font-size:9pt;">​</span><span style="font-size:9pt;">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인조(仁祖)의 묘호</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일단 조(祖)와 종(宗)을 쓰는 묵시적인 기준을 확인해 보자. </span></p> <p style="line-height:1.8;"><strong><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창업지군칭조(創業之君稱祖),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계체지군칭종(繼體之君稱宗)</span></strong></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나라를 창업한 군주는 조(祖),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왕권 계승한 임금은 종(宗)</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br></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trong><span style="font-size:9pt;">유공왈조(有功曰祖), </span><span style="font-size:9pt;"> 유덕왈종(有德曰宗)</span></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다들 잘 알고 계시는 공이 있으면 조(祖), 덕이 있으면 종(宗)</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8pt;"></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입승왈조(入承曰祖), 계승왈종(繼承曰宗)</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왕자가 아닌 사람이 왕위를 받으면 조(祖), 왕자가 왕위를 받으면 종(宗)</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물론 세가지 조건이 모두 부합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절충하여 사용 하였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묘호라는 것은 그 다음에 왕위를 이어받은 임금과 신하들이 정하는 것이므로 다음 임금 재임시절의 초기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조선에서는 역대 중국에서 비슷한 업적을 가지고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있는 ​왕이나 황제의</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묘호를 차용하는 사례가 많았고 꺼꾸로 다음왕이 선대왕을 위해 너무 욕심내어 묘호를 좋은 것으로 지으려 하면 중국 황제의 묘호를 참징한다 하여 못하게 반대 하기도 했다.</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16대 인조(仁祖) 임금의 최초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묘호(廟號)는 열조(烈祖)라 정하였데 광해군 폐위와 국난 극복(정묘, 병자호란) 등 의 이유로 창업에 버금간다 하여 처음부터 논쟁없이 조(祖)호를 붙이기로 하였다. 열</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자는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덕을 지키고 업(業)을 높였다는 뜻.</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그러나 열(烈)자는 당시 조선사회에서 패륜왕 정도로 통하던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남당(南唐)</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의 임금</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서지고(</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徐知誥)의</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묘호와 똑같다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하여 다시 개정하는 논의가 있었다. 그리하여 성종 임금 때 금기시 되었던 인(仁)자가 다시 논의 되어 결국 인조(仁祖)로 개정 하였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br></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p> <p><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가장 짧은 재위 기간과 가장 긴 재위 기간</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가장 짧은 재임 기간</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12대 인종(仁宗)</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1544년 11월 20일에 즉위하여 1545년 6월 29일 이복동생인 명종에게 왕위를 물려주어 약 7개월 정도 왕위에 있었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가장 긴 재임 기간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21대 영조(英祖)</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1724년에 즉위하여 1776년 사망으로 53년 간 왕위에 있었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영조 임금의 재임시절 동안 39차례의 영의정 교체가 있었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가장 오랜 기간동안 왕위에 계신 영조 임금 덕분에 영조의 왕비였던 ​정성(貞聖) 왕후도 약 33년 간 왕비로 머물렀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또한 정성 왕후가 사망하고 국모(國母)의 자리가 비었기에 이 자리를 정순(貞純) 왕후가 영조 35년(1759년) 왕비로 책봉 되는데,</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당시 영조 임금의 나이는 66세, 왕후의 나이는 영조 21년(1745년) 출생으로 15세였다. 왕과 왕비의 나이 차이가 50세.</span></p> <p style="line-height:1.8;"><br></p> <p style="line-height:1.8;"><br></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trong><span style="font-size:9pt;">가장 짧게 재임한 왕비</span></strong>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11대 중종(中宗) 임금의 단경(端敬) 왕후는 약 7일 간 왕비 생활을 하였다.</span><span style="font-size:9pt;"> </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그녀는 연산군의 처남인 신수근(</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愼守勤, 연산군의 부인인 폐비 신씨의 오빠</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의 딸이었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신수근은 중종반정에 참여하지 않고 관망하다 살해 되고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역적으로 몰렸고 그의 딸을 왕비로 둘 수 없다 하여 반정 후 7일 뒤에 폐출된다. 단경 왕후는 </span><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 그후 명종 12년(1557년)에 71세로 사망한다. 사후 거의 200여 년 뒤 영조 임금 때 복권된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size:9pt;">​</span><br></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span style="font-size:9pt;">​</span><strong><span style="font-size:9pt;">후궁이 없었던 왕</span></strong></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color:#3a32c3;font-family:arial;font-size:9pt;">18대 현종(顯宗) 임금은 명성(明聖) 왕후 김씨(金氏)만 처다보고 살았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현종 임금은 19세에 즉위하여 16년 간 재임하였고 명성 왕후는 약 8년 간 세자빈 생활을 하였고 15년 가랑 왕비 생활을 하였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물론 현종 임금 사망 당시의 나이 34세로 관례상 후궁을 가지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일설에는 명성 왕후가 질투와 투기가 너무 심해 후궁을 돌아 볼 여지가 없었다고 하나 확실한 증거는 없다.</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br></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br></span></p> <p style="line-height:1.8;"><span style="font-family:arial;font-size:9pt;">(출장 관계로 여독이 채 풀리지 않아 3부 글이 다소 부실하네요.^^*)</span></p>
    출처 본인 편집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12/19 11:34:06  175.210.***.28  clock0402  543271
    [2] 2015/12/19 11:39:13  125.177.***.206  더보기  180581
    [3] 2015/12/19 11:48:19  182.209.***.49  루하마  669162
    [4] 2015/12/19 13:18:00  119.69.***.224  이깐바카르  518794
    [5] 2015/12/19 13:54:13  117.111.***.98  뻐꾸기77  597022
    [6] 2015/12/19 15:27:41  211.207.***.177  뇨롱뇨롱  247803
    [7] 2015/12/19 20:07:22  59.31.***.62  칼세이건  419934
    [8] 2015/12/19 21:23:22  121.164.***.209  [⊙_⊙]#001  645924
    [9] 2015/12/19 22:03:17  223.62.***.16  유욱수  556897
    [10] 2015/12/20 00:18:38  125.138.***.253  성공과좌절  66200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
    밀리터리 게시판 부흥 기원 (재탕주의)"최종병기 활" [10] 애비28호 16/09/27 01:11 146 18
    151
    "호적에 빨간줄"에 대해 araboja [2] 애비28호 16/09/26 20:17 458 47
    150
    조선시대 백이(栢伊)의 3자 사기 사건(문종)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6/02/17 01:13 38 11
    149
    조선시대 악처(惡妻) 김씨(金氏) 이야기 [3] 애비28호 16/02/16 00:32 59 19
    조선의 역대 임금이야기(3) [8] 애비28호 15/12/19 11:06 50 13
    147
    "창녀가 없는 나라"라는 글에 대한 또 다른 시각입니다.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10 22:38 36 4
    146
    조선의 역대 임금이야기(2)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09 00:38 36 14
    145
    조선의 역대 임금이야기(1) [24]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06 19:39 56 17
    144
    조선의 역대 영의정(領議政) 이야기(2부) [2]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05 15:39 46 17
    143
    조선의 역대 영의정(領議政) (1부) [7]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2/05 00:50 24 15
    142
    선조 임금의 피난길(6부-마지막 글) [14]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5 23:49 21 14
    141
    선조 임금의 피난길(5부)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5 20:41 33 14
    140
    선조 임금의 피난길(4부) [8]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5 16:38 47 14
    139
    선조 임금의 피난길(3부) [5]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4 13:44 29 14
    138
    선조 임금의 피난길(2부) [4]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4 00:06 26 13
    137
    선조 임금의 피난길(1부) [12] 창작글외부펌금지 애비28호 15/11/23 22:03 45 14
    136
    초절정 악덕관리자 이순신장군(부제-장군은 못말려) 약간 스압주의 [5] 창작글 애비28호 15/11/23 18:40 55 16
    135
    최종병기 활 [28] 애비28호 15/11/10 17:23 36 18
    134
    (약 19금) 조선시대 트렌스젠더 사방지 [25] 애비28호 15/08/07 20:20 118 10
    133
    바둑이에게 명하는 글 애비28호 15/07/27 21:08 47 3
    132
    조선시대 재해에 대한 임금의 행동들(태종, 세종) [14] 창작글 애비28호 15/07/20 22:04 51 14
    131
    아래 이순신 장군 생신일이라는 글을 보고 씁니다. [1] 애비28호 15/04/29 23:41 30 0
    130
    선조 임금에 대한 후대의 평가 [7] 애비28호 15/04/01 23:37 62 3
    129
    조선시대의 '이해충돌방지법' "상피(相避)" [4] 애비28호 15/03/09 22:37 61 13
    128
    김성근 감독 이야기 몇가지(90년대 초중반) [1] 애비28호 14/11/04 19:07 142 10
    127
    김성근 감독 이야기 몇가지(원년~89년) [12] 애비28호 14/10/29 21:43 138 23
    126
    간단하게 숫자와 기록으로 보는 조선왕조 [9] 애비28호 14/09/17 22:48 43 12
    125
    조선시대 포천 매장원 동사사건 [6] 애비28호 14/08/20 22:18 37 11
    124
    태종 임금과 사관(史官) [4] 애비28호 14/08/20 19:21 57 11
    123
    이순신(李舜臣) 장군에 대한 사후(死後) 평가 [1] 애비28호 14/08/06 20:27 74 12
    [1] [2] [3] [4] [5] [6]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